적정한 자재의 선정은 건축 프로젝트의 품질, 비용, 공정 등에서부터 발주자의 만족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정확한 자재정보의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자재선정에 경험이 적은 설계자는 수많은 자재들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자재선정업무를 진행하게 되어 건축물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설계자가 자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인터넷 검색, 자재 카탈로그, 자재업체 연락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설계자나 자재업체 직원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해야 하기 때문에 풍부한 자재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자재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많은 자재들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수집하여 저장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이다. 수작업을 통한 방법으로는 너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자동 또는 반자동적으로 자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더욱이 자재업체 내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는 자재정보문서는 각 실무 담당자가 작성한 상세한 자재정보를 담고 있으나 업체 전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이 자재정보문서를 기본 데이터로 사용하여 관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자재업체에서 제공하는 자재정보를 필요로 하는 주체는 주로 설계자이나 자재업체 내부에서도 분산․저장되어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자재업체 내부의 자재정보문서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자재정보문서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자재비교표, 인증서, 카탈로그 등 다양한 형식의 문서로 존재하고 있으며 MicrosoftⓇ Excel, 한글과컴퓨터 글, AdobeⓇ AcrobatⓇ 등에 의한 다양한 파일형태로 작성되고 있다. 자재정보를 관리․활용하기 위해 문서파일에 ...
적정한 자재의 선정은 건축 프로젝트의 품질, 비용, 공정 등에서부터 발주자의 만족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정확한 자재정보의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자재선정에 경험이 적은 설계자는 수많은 자재들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자재선정업무를 진행하게 되어 건축물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설계자가 자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인터넷 검색, 자재 카탈로그, 자재업체 연락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설계자나 자재업체 직원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해야 하기 때문에 풍부한 자재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자재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많은 자재들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수집하여 저장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이다. 수작업을 통한 방법으로는 너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자동 또는 반자동적으로 자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더욱이 자재업체 내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는 자재정보문서는 각 실무 담당자가 작성한 상세한 자재정보를 담고 있으나 업체 전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이 자재정보문서를 기본 데이터로 사용하여 관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자재업체에서 제공하는 자재정보를 필요로 하는 주체는 주로 설계자이나 자재업체 내부에서도 분산․저장되어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자재업체 내부의 자재정보문서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자재정보문서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자재비교표, 인증서, 카탈로그 등 다양한 형식의 문서로 존재하고 있으며 MicrosoftⓇ Excel, 한글과컴퓨터 글, AdobeⓇ AcrobatⓇ 등에 의한 다양한 파일형태로 작성되고 있다. 자재정보를 관리․활용하기 위해 문서파일에 메타데이터 개념의 태그정보를 부여한다. 자재의 특성에 적합한 태그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 국내․외 자재분류체계와 국내 오피스 5개 사례를 분석하여 자재품목 태그정보와 적용부위 태그정보를 각각 도출하고 자재문서 제공자에 대한 등록자 태그정보와 문서의 형식에 따른 자재문서 태그정보를 정의하였다. 태그매니저, 자재업체 서버, 검색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문서관리모델을 개발하였다. 태그매니저는 자재업체 직원 PC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며 자재정보문서에 4가지 태그정보를 자동 및 수동으로 부여하여 자재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자재업체 서버에서는 여러 직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자재정보문서를 파일저장소에 저장하고 각각의 문서에 부여된 태그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실무자들은 문서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조건으로 태그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부합하는 자재정보문서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건설자재정보 문서관리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분산․저장되어있는 건설자재정보 문서를 태그정보를 활용하여 수집하고 이를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구축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대상으로 자재업체 실무자의 면담을 통해 시스템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사용자를 확대하여 태그정보 및 시스템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적정한 자재의 선정은 건축 프로젝트의 품질, 비용, 공정 등에서부터 발주자의 만족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정확한 자재정보의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자재선정에 경험이 적은 설계자는 수많은 자재들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자재선정업무를 진행하게 되어 건축물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설계자가 자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인터넷 검색, 자재 카탈로그, 자재업체 연락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설계자나 자재업체 직원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해야 하기 때문에 풍부한 자재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자재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많은 자재들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수집하여 저장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이다. 수작업을 통한 방법으로는 너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자동 또는 반자동적으로 자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더욱이 자재업체 내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는 자재정보문서는 각 실무 담당자가 작성한 상세한 자재정보를 담고 있으나 업체 전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이 자재정보문서를 기본 데이터로 사용하여 관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자재업체에서 제공하는 자재정보를 필요로 하는 주체는 주로 설계자이나 자재업체 내부에서도 분산․저장되어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자재업체 내부의 자재정보문서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자재정보문서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자재비교표, 인증서, 카탈로그 등 다양한 형식의 문서로 존재하고 있으며 MicrosoftⓇ Excel, 한글과컴퓨터 글, AdobeⓇ AcrobatⓇ 등에 의한 다양한 파일형태로 작성되고 있다. 자재정보를 관리․활용하기 위해 문서파일에 메타데이터 개념의 태그정보를 부여한다. 자재의 특성에 적합한 태그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 국내․외 자재분류체계와 국내 오피스 5개 사례를 분석하여 자재품목 태그정보와 적용부위 태그정보를 각각 도출하고 자재문서 제공자에 대한 등록자 태그정보와 문서의 형식에 따른 자재문서 태그정보를 정의하였다. 태그매니저, 자재업체 서버, 검색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문서관리모델을 개발하였다. 태그매니저는 자재업체 직원 PC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며 자재정보문서에 4가지 태그정보를 자동 및 수동으로 부여하여 자재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자재업체 서버에서는 여러 직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자재정보문서를 파일저장소에 저장하고 각각의 문서에 부여된 태그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실무자들은 문서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조건으로 태그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부합하는 자재정보문서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건설자재정보 문서관리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분산․저장되어있는 건설자재정보 문서를 태그정보를 활용하여 수집하고 이를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구축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대상으로 자재업체 실무자의 면담을 통해 시스템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사용자를 확대하여 태그정보 및 시스템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aterial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the customer in terms of construction project quality, cost and process. Therefore, accurat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analysis is necessary. Designers with little experience in construction material selection, ...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aterial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the customer in terms of construction project quality, cost and process. Therefore, accurat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analysis is necessary. Designers with little experience in construction material selection, however, make choices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lowers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 The methods that designers use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construction materials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ree: Internet searches, going over construction material catalogues, and contacting construction material companies. Since the process takes much time and effort, designers and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employees need a system that can quickly provide much information regarding construction materials.
An analysis of past related studies revealed that the biggest problem in establishing a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s how to collect and save information regarding many different materials. As manual labor requires too much time and human resources, an automatic or semi-automatic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is needed. Furthermore,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of construction material companies contain specific information regarding construction materials drafted by expert personnel, but they are not systematically managed from a comprehensive corporate perspective. In this study, a method of managing and using basic data regarding such documents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materials was examined. The subjects that need the information regarding construction materials provided by construction material companies are the construction project designers, but to improve the reality of the failed storage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companies, the first aim of this study was to share the internal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of construction material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such documents, such as materials comparison charts and certificates and catalogues, and the files were in different forms, such as MicrosoftⓇExcel, Haansoft Hangeul, and AdobeⓇAcrobatⓇ. Tag information (e.g., metadata)was given to each document file to manage and use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therein. To extract the appropriate tag information for each characteristic of a construction material, the exis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terial categorization systems and five domestic office cases were analyzed to decide the tag information on construction material items and adoption areas. A document management model consisting of a tag manager, a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server, and a search interface was developed. The tag manager is independently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personnel’s PCs, and four types of tag information were given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to be sent to the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server. The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server stores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received from different employees in its file storage area, saving the tag information of different documents in one database. Designers can enter tag information when searching the interface and can easily find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that correspond to the entered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 management prototype system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esented as a tool that can collect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using tag information, and that can provide it through a Web interfac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developed prototype system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staffs.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ies, though, that will expand the users of the developed prototype system and that will improve the tag information and the system.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aterial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the customer in terms of construction project quality, cost and process. Therefore, accurat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analysis is necessary. Designers with little experience in construction material selection, however, make choices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lowers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 The methods that designers use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construction materials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ree: Internet searches, going over construction material catalogues, and contacting construction material companies. Since the process takes much time and effort, designers and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employees need a system that can quickly provide much information regarding construction materials.
An analysis of past related studies revealed that the biggest problem in establishing a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s how to collect and save information regarding many different materials. As manual labor requires too much time and human resources, an automatic or semi-automatic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is needed. Furthermore,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of construction material companies contain specific information regarding construction materials drafted by expert personnel, but they are not systematically managed from a comprehensive corporate perspective. In this study, a method of managing and using basic data regarding such documents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materials was examined. The subjects that need the information regarding construction materials provided by construction material companies are the construction project designers, but to improve the reality of the failed storage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companies, the first aim of this study was to share the internal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of construction material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such documents, such as materials comparison charts and certificates and catalogues, and the files were in different forms, such as MicrosoftⓇExcel, Haansoft Hangeul, and AdobeⓇAcrobatⓇ. Tag information (e.g., metadata)was given to each document file to manage and use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therein. To extract the appropriate tag information for each characteristic of a construction material, the exis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terial categorization systems and five domestic office cases were analyzed to decide the tag information on construction material items and adoption areas. A document management model consisting of a tag manager, a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server, and a search interface was developed. The tag manager is independently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personnel’s PCs, and four types of tag information were given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to be sent to the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server. The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server stores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received from different employees in its file storage area, saving the tag information of different documents in one database. Designers can enter tag information when searching the interface and can easily find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that correspond to the entered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 management prototype system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esented as a tool that can collect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documents using tag information, and that can provide it through a Web interfac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developed prototype system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construction material company staffs.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ies, though, that will expand the users of the developed prototype system and that will improve the tag information and the syst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