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마감재 특성 및 사용 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공간을 각 공간별, 평형대별, 인테리어 컨셉에 따라 마감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내외 어린이집 8개소를 조사하여 리스트를 수집하였다. 분석 방법은 도면과 현지답사, 문헌을 토대로 연구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하였다. 그 후에 각 연구 대상마다 공간별로 마감재 리스트를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을 보면, 1개소를 제외하고는 독립 건물로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마감재 특성 및 사용 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공간을 각 공간별, 평형대별, 인테리어 컨셉에 따라 마감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내외 어린이집 8개소를 조사하여 리스트를 수집하였다. 분석 방법은 도면과 현지답사, 문헌을 토대로 연구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하였다. 그 후에 각 연구 대상마다 공간별로 마감재 리스트를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을 보면, 1개소를 제외하고는 독립 건물로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전용면적의 크기에 따라서는 200㎡이하가 3개소, 200~400㎡가 1개소, 400㎡이상이 4개소로 나타나므로 전용면적의 분포를 알 수 있으며 3개소의 사례조사 대상을 제외한 모두가 1개소의 출입구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치유형으로는 홀형이 4개소, 독립형이 4개소로 나타났으나 규모가 작은 어린이 집일수록 공간 활용도가 높은 홀형을 가장 많이 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이집의 실내건축 계획에 있어서 내장재의 특성과 관련하여 첫 번째로 기본요소별 내장재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각 유형의 분류에 따라 기본 요소별 즉, 바닥, 벽, 천정을 구성하고 있는 내장재를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기본요소별 내장재를 조사하여보면, 바닥의 내장재에 있어서는 경제적인 모노륨장판으로 시정되었고, 대규모 어린이집은 모두 목재와 고무매트로 시공되어져 있다. 여기에 유아의 안전과 쾌적성을 위해 부분적으로 코르크성 마감재를 적용하여야 한다. 주 벽체는 주로 석고보드 위 페인트마감이나, 벽지 마감을 하였으나, 친환경 페인트를 사용한 어린이집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 영·유아들의 환경유해 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천장에 있어 페인트마감과 벽지마감이 주를 이루었으나 텍스 마감을 한 어린이집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것도 석면 등에 영·유아가 노출되어 있음으로 사용을 삼가야 한다. 각 사례별 마감재료의 색조에는 유아들의 시각에 맞춰진 캐릭터가 있는 밝은 색의 비닐시트로 마감되어진 것이 많았고, 색채는 놀이영역에서는 원색컬러를 많이 사용하여 활달함을 주었고, 가구나 보육실은 무채색이나 가벼운 파스텔 톤을 많이 사용하여 안정감을 주었다. 조명은 일반 가정 주택에서 사용하는 긴 형광과 할로겐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유아의 눈부심 방지를 고려해 눈부심 방지 커버등을 설치하지 않은 어린이집이 다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마감재 특성 및 사용 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공간을 각 공간별, 평형대별, 인테리어 컨셉에 따라 마감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내외 어린이집 8개소를 조사하여 리스트를 수집하였다. 분석 방법은 도면과 현지답사, 문헌을 토대로 연구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하였다. 그 후에 각 연구 대상마다 공간별로 마감재 리스트를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을 보면, 1개소를 제외하고는 독립 건물로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전용면적의 크기에 따라서는 200㎡이하가 3개소, 200~400㎡가 1개소, 400㎡이상이 4개소로 나타나므로 전용면적의 분포를 알 수 있으며 3개소의 사례조사 대상을 제외한 모두가 1개소의 출입구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치유형으로는 홀형이 4개소, 독립형이 4개소로 나타났으나 규모가 작은 어린이 집일수록 공간 활용도가 높은 홀형을 가장 많이 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이집의 실내건축 계획에 있어서 내장재의 특성과 관련하여 첫 번째로 기본요소별 내장재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각 유형의 분류에 따라 기본 요소별 즉, 바닥, 벽, 천정을 구성하고 있는 내장재를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기본요소별 내장재를 조사하여보면, 바닥의 내장재에 있어서는 경제적인 모노륨장판으로 시정되었고, 대규모 어린이집은 모두 목재와 고무매트로 시공되어져 있다. 여기에 유아의 안전과 쾌적성을 위해 부분적으로 코르크성 마감재를 적용하여야 한다. 주 벽체는 주로 석고보드 위 페인트마감이나, 벽지 마감을 하였으나, 친환경 페인트를 사용한 어린이집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 영·유아들의 환경유해 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천장에 있어 페인트마감과 벽지마감이 주를 이루었으나 텍스 마감을 한 어린이집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것도 석면 등에 영·유아가 노출되어 있음으로 사용을 삼가야 한다. 각 사례별 마감재료의 색조에는 유아들의 시각에 맞춰진 캐릭터가 있는 밝은 색의 비닐시트로 마감되어진 것이 많았고, 색채는 놀이영역에서는 원색컬러를 많이 사용하여 활달함을 주었고, 가구나 보육실은 무채색이나 가벼운 파스텔 톤을 많이 사용하여 안정감을 주었다. 조명은 일반 가정 주택에서 사용하는 긴 형광과 할로겐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유아의 눈부심 방지를 고려해 눈부심 방지 커버등을 설치하지 않은 어린이집이 다수였다.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usage trend of finishing materials adopted in the interior of child care centers, with the aim of analyzing how finishing materials are used by spaces, sizes, and interior concepts. To that purpose, eight child care centers both domestic and abroad were res...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usage trend of finishing materials adopted in the interior of child care centers, with the aim of analyzing how finishing materials are used by spaces, sizes, and interior concepts. To that purpose, eight child care centers both domestic and abroad were researched and listed. The analysis methodology adopted for this thesis is to identify general information of each case study target based on drawings, site visits, and books. And then, analysis took place based on the finishing material list by spaces as per each child care center.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s. First, as for the construction type of child care centers, all except one were built as a fully-detached building. Second, as for the size of the place, 3 were less than 200㎡, one was between 200~400㎡, and four were over 400㎡. All centers except three had one dedicated exit. Third, as for the space allocation type, 4 centers adopted hall-based type and 4 others adopted room-based type and the findings show that child care centers with smaller sizes tend to have hall-based typ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materials of the interior space plan in child care centers, the first item to identify was the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materials and those materials were broken down into categories of floor, wall, and ceiling and thoroughly analyzed. In case of floor, the findings show that Monorium floor paper, which has economic values, were widely used and large-size child care centers all had wood and rubber mat in the floor. Taking into account children's safety and comfort, cork materials should be used partially. In case of wall, the findings show that plaster walls were finished with paint and wallpaper and no center was found to have environment-friendly paint, indicating infants and children are fully exposed to the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In case ceiling, the findings show that the mainstream materials were paint and paper wall with a few centers which used tex materials. This also indicates infants and children are fully exposed to harmful substances such as asbestos and, therefore, the use of such materials should be prohibited. Most colors used in each category tend to be bright colors on vinyl sheets decorated with characters children like. Play area used primary colors to give energy and cheerfulness and furnitures and nursery room used achromatic colors and light pastel colors to give relaxing atmosphere. The lighting were fluorescent lamp and halogen lamp, which are used in ordinary domestic houses, but most centers were found not to have anti-dazzling screen to protect the eyesight of infants.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usage trend of finishing materials adopted in the interior of child care centers, with the aim of analyzing how finishing materials are used by spaces, sizes, and interior concepts. To that purpose, eight child care centers both domestic and abroad were researched and listed. The analysis methodology adopted for this thesis is to identify general information of each case study target based on drawings, site visits, and books. And then, analysis took place based on the finishing material list by spaces as per each child care center.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s. First, as for the construction type of child care centers, all except one were built as a fully-detached building. Second, as for the size of the place, 3 were less than 200㎡, one was between 200~400㎡, and four were over 400㎡. All centers except three had one dedicated exit. Third, as for the space allocation type, 4 centers adopted hall-based type and 4 others adopted room-based type and the findings show that child care centers with smaller sizes tend to have hall-based typ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materials of the interior space plan in child care centers, the first item to identify was the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materials and those materials were broken down into categories of floor, wall, and ceiling and thoroughly analyzed. In case of floor, the findings show that Monorium floor paper, which has economic values, were widely used and large-size child care centers all had wood and rubber mat in the floor. Taking into account children's safety and comfort, cork materials should be used partially. In case of wall, the findings show that plaster walls were finished with paint and wallpaper and no center was found to have environment-friendly paint, indicating infants and children are fully exposed to the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In case ceiling, the findings show that the mainstream materials were paint and paper wall with a few centers which used tex materials. This also indicates infants and children are fully exposed to harmful substances such as asbestos and, therefore, the use of such materials should be prohibited. Most colors used in each category tend to be bright colors on vinyl sheets decorated with characters children like. Play area used primary colors to give energy and cheerfulness and furnitures and nursery room used achromatic colors and light pastel colors to give relaxing atmosphere. The lighting were fluorescent lamp and halogen lamp, which are used in ordinary domestic houses, but most centers were found not to have anti-dazzling screen to protect the eyesight of infa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