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위논문] 나쓰메 소세키 작품 연구 : 이미지·불안·시대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Natsume Soseki's novels : focusing on images, apprehension and reflection of the time 원문보기


신윤주 (동의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에 나타난 이미지․불안․시대상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점검한 것이다. 핵심적인 것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일본인에게 있어서 고양이는 애완동물의 정도를 넘어서서 가족의 일원이라 할 정도로 친근한 동물이며, 귀엽고, 온순하고, 다루기 쉬운 동물이란 이미지가 지배적이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에 묘사된 「나」라는 고양이는 인간처럼 떡국과 맥주를 마시는 고급 식문화생활을 즐기고 있지만 인간의 말을 염탐하고, 고양이 주제에 인간을 오만한 속물로 여겨 조롱하고 깔보는 당돌한 이미지로 묘사되어 있다. 또한 「나」라는 고양이는 인간을 오만한 속물로 여겨 깔보며 비판하지만 정신적으로는 나약하고 의지력과 투쟁력이 부족하다. 그리고 맥주에 취해 달님과 안녕 하며 인사를 나눌 정도로 낭만적인 면은 있으나 삶을 초연하게 체념하며 죽음에 의해 마음의 태평을 얻으려는 고양이로 묘사되어 있다. 󰡔夢十夜󰡕 「第七夜」에 나타난 「태양」은 인간 욕망의 역동성과 스피드를 대변하는 동시에 다이나믹한 모습을 이미지화하고 있다. 한편 「바다」는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네 가지 색깔을 통해 근대 일본의 세태 속에서 작용하는 감정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파란 「바다」 색깔이 검붉은 색깔로 전환되는 것은 근대 사회와 근대문명 속에서 겪는 개인의 불안과 절망을 나타낸 것이다. 작품 마지막 부분에 나타난 「바다」는 「태양」과 「나」라는 주인공의 투신자살도 받아 주고 있으므로 포용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그 후󰡕의 주인공 다이스케를 불안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구도덕의 덕목인 「의협심」이란 미명하에 자신이 사랑하고 있던 미치요를 포기한 데서 기인한다. 또한 자신을 「상등인종」으로 생각하여 정연한 논리에 의해 일을 하지 않고 있던 다이스케가 부친의 금전적 원조가 끊기고 부양해야 될 미치요가 생기게 되자 직업을 가져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는 것은, 그의 삶에 있어서 또다른 불안의 원인이 되고 있다. 󰡔문󰡕의 야스이와 오요네의 관계는 법적으로 남남인 동거 사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소스케는 야스이를 오요네의 남편을 대하듯 껄끄러워하고 불안해한다. 소스케의 예민함과 소심한 성격은 과거 친구의 동거녀를 아내로 맞이했다는 죄책감 때문에 작품이 끝날 때까지 불안한 마음에서 벗어나지를 못한다. 반면 오요네는 세 번이나 아이를 잃은 것을 남편 소스케에게 미안해하며 이것을 과거 자신의 죄에 대한 대가라고 생각한다.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 오요네가 「봄이 되어 고맙다」라는 말을 하는데 이것은 자신이 아이를 가질 수 없는 절망과 슬픔으로 인한 불안을 적극적인 자세로 남편에게 호소하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셋째, 메이지 시대 말 경에 󰡔도련님󰡕의 주인공 봇짱이 물리학교를 졸업하고 시코쿠 지방에 있는 중학교에 수학 교사로 취직을 하여 40엔이라고 하는 급료를 받은 것은 파격적인 대우였다. 일본의 근대에는 어느 학교를 나왔느냐에 따라 급료의 차이와 신분의 차이가 났던 시대였다. 메이지 정부가 인정하는 제국대학을 졸업하기만 하면 급료를 많이 받고 고급 관리와 관리직 으로 근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문학교나 중학교를 나온 사람은 제국대학 출신보다 취업 기회와 급료에서 차별을 받았다. 메이지 정부는 학벌에 의한 급료의 차이와 신분의 벽을 만들어 제국대학에 못 들어간 사람들에게는 열등감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 제도를 만들었던 것이다. 일본 근대의 독특한 학벌이라는 사회제도가 존재하는 시대에 봇짱이 제국대학 출신인 아카셔츠를 강자로 인정하지 않고 불신임하고 충돌하려 했던 것은 필연적으로 좌절과 패배를 맛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작품 󰡔마음󰡕에서 메이지 천황 죽음에 대해 부친이 받은 충격은 당시 일본 국민들이 느꼈을 비통함이 부친을 통해 투영되어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주인공 선생의 자살의 원인은 메이지 천황의 죽음에 대한 충격보다는 일본인 특유의 문화구조 중에서 수치(恥)문화와 체면(世間体)문화에 기인했다고 생각한다. 즉, 선생은 자신의 아집 때문에 친구 K가 자살한 데에 대해 늘 사죄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런 와중에 메이지 천황의 죽음과 노기 대장의 자살은 선생에게 죽음의 ...

학위논문 정보

저자 신윤주
학위수여기관 동의대학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일어일문학과
발행연도 2009
총페이지 viii, 200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1801696&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