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일자리 사업의 필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으나 부족한 자원과 공공자원에 한정하여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한계 속에서 대안을 찾는다면 일자리 유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유형의 비중을 높이는 방안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사업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의 만족도가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 노인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노인일자리 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포 시에 거주하면서 2008년도에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층화 표집을 하여 표본 집단을 구성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도구는 양옥경(1996)의 삶의 만족도 척도이었으며 ANOVA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했던 일자리 유형에 따라 노인의 만족도가 차이가 나는지를 조사한 결과 33개 삶의 만족도 중 9개를 제외한 24개 요소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 유형에서 노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유형은 복지형이었다(3.63). 다음으로 시장형이 3.45이었으며, 교육형이 3.37, 공익형이 3.30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력파견형은 3.26에 그쳐 일자리 유형 중에서 가장 사람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연구결과는 복지형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복지형에 선택과 집중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복지형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문제가 있으므로 각 유형에 나타난 가중치를 부여하여 일자리 유형의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삶의 만족도가 낮은 항목에서 삶의 만족도가 높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노인 일자리 사업의 필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으나 부족한 자원과 공공자원에 한정하여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한계 속에서 대안을 찾는다면 일자리 유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유형의 비중을 높이는 방안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사업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의 만족도가 달라지는지를 규명하고 노인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노인일자리 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포 시에 거주하면서 2008년도에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층화 표집을 하여 표본 집단을 구성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도구는 양옥경(1996)의 삶의 만족도 척도이었으며 ANOVA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했던 일자리 유형에 따라 노인의 만족도가 차이가 나는지를 조사한 결과 33개 삶의 만족도 중 9개를 제외한 24개 요소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 유형에서 노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유형은 복지형이었다(3.63). 다음으로 시장형이 3.45이었으며, 교육형이 3.37, 공익형이 3.30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력파견형은 3.26에 그쳐 일자리 유형 중에서 가장 사람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연구결과는 복지형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복지형에 선택과 집중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복지형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문제가 있으므로 각 유형에 나타난 가중치를 부여하여 일자리 유형의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삶의 만족도가 낮은 항목에서 삶의 만족도가 높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Whil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elderly employment project, the fact that the creation of employment should be done within the boundaries of insufficient resources and public resources limitsthe creation. Thus, to find an alternative in given situation, it is indeed necessary to raise the prop...
Whil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elderly employment project, the fact that the creation of employment should be done within the boundaries of insufficient resources and public resources limitsthe creation. Thus, to find an alternative in given situation, it is indeed necessary to raise the proportion of the most effective types of job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if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elderly varie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types of elderly employment project and to propose measures to develop elderly employment projects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rate of senior citizen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I carried out a survey by organizing a sample group through stratified sampling for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5. The tool used in the survey was the life satisfaction scale by Yang, Ok-Gyeong (1996), using the ANOVA analysis method. After investigating whether or not there is difference in satisfaction rates for the elderly by different job types that this research covers, 24 elements showed a difference in all 33 life satisfactions, except 9 elements. In types of participation, the most satisfactory for the elderly was welfare (3.63), followed by market (3.45), education (3.37), and public good (3.30). However, manpower dispatching only reached 3.26, indicating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in all job types. The research outcome based on the analysis shows that welfare has the highest satisfac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concentrate on welfare. As this would generate a problem in implementation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types by assigning a weight for each type based on survey outcom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reate a measure to raise life satisfaction rate for items with a low satisfaction rate.
Whil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elderly employment project, the fact that the creation of employment should be done within the boundaries of insufficient resources and public resources limitsthe creation. Thus, to find an alternative in given situation, it is indeed necessary to raise the proportion of the most effective types of job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if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elderly varie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types of elderly employment project and to propose measures to develop elderly employment projects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rate of senior citizen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I carried out a survey by organizing a sample group through stratified sampling for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5. The tool used in the survey was the life satisfaction scale by Yang, Ok-Gyeong (1996), using the ANOVA analysis method. After investigating whether or not there is difference in satisfaction rates for the elderly by different job types that this research covers, 24 elements showed a difference in all 33 life satisfactions, except 9 elements. In types of participation, the most satisfactory for the elderly was welfare (3.63), followed by market (3.45), education (3.37), and public good (3.30). However, manpower dispatching only reached 3.26, indicating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in all job types. The research outcome based on the analysis shows that welfare has the highest satisfac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concentrate on welfare. As this would generate a problem in implementation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types by assigning a weight for each type based on survey outcom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reate a measure to raise life satisfaction rate for items with a low satisfaction rate.
Keyword
#노인 일자리 노인 일자리사업 노인 삶 만족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