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논증 텍스트의 '표지'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markers', and their educational application to argumentative text : with particular focus on elementary textbooks원문보기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논증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표지 분석을 통하여 표지들을 유형화하고 그 교육적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의 다원화된 체제에서 갈등과 모순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 논증 교육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국어 교육의 내용이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특히, 논증이 언어 매체를 기반으로 표현된 논증 텍스트의 경우 논증 내용 명제의 생성에만 주목하여 이를 토대로 문장 및 텍스트를 완성하는 교육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필자는 내용 명제 간의 관계 명제를 나타내 주는 표지 개념이 교육에 적용되어야 함을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 의식 하에 관련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들에서 논증 요소와 논증 도식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표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지의 형태는 단순한 연결어나 개념어의 형식을 넘어 하나의 관용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지를 크게 ‘논증 요소 표지’, ‘논증 구조 개관 표지’, ‘논증 도식 표지’, ‘논증적 상호 작용 표지’의 4가지로 나누어 그 하위 유형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각 표지의 대표적인 형태들을 유형화하여 실제 논증 텍스트에서 표지가 나타나는 형태를 함께 제시하였다. 또, 유형별로 교과서 텍스트에서 나타난 표지의 빈도수를 비교하였다. 빈도수가 높을수록 더욱 전형성을 띄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유형별 표지 교육의 순서를 제시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표지는 실제적인 사용 양상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으며 논증 텍스트라는 특정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를 분석하는 유용한 틀이 된다. 앞서 이루어진 표지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적용 방안을 밝혔다.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이해와 표현 활동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표지 목록을 체계적으로 제시해 주는 ‘표지 학습 자료’의 구성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이해 활동 단계를 정하고 각 단계에서의 검토 목록을 제시하여 독자를 설득하고자 하는 논증 텍스트의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닌 비판적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 학생들이 생산한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표지 사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아 표지 표현 교육의 기초 자료로 삼고 학생들의 인지적 논증 절차를 고려한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표현 활동 단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교육에 표지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제시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표지 학습 자료’라고 명명하고 그의 구성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이 표지를 쉽게 찾아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식 구성방법을 따르는데 이해 교육과 표현 교육 두 측면을 따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서 논증 텍스트에 나타나는 표지를 그 쓰임별로 분류하여 교육에 적용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필자가 제시한 논증 텍스트의 표지 분석과 교육적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한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논증 교육을 위하여 다양한 층위의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논증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표지 분석을 통하여 표지들을 유형화하고 그 교육적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의 다원화된 체제에서 갈등과 모순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 논증 교육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국어 교육의 내용이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특히, 논증이 언어 매체를 기반으로 표현된 논증 텍스트의 경우 논증 내용 명제의 생성에만 주목하여 이를 토대로 문장 및 텍스트를 완성하는 교육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필자는 내용 명제 간의 관계 명제를 나타내 주는 표지 개념이 교육에 적용되어야 함을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 의식 하에 관련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들에서 논증 요소와 논증 도식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표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지의 형태는 단순한 연결어나 개념어의 형식을 넘어 하나의 관용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지를 크게 ‘논증 요소 표지’, ‘논증 구조 개관 표지’, ‘논증 도식 표지’, ‘논증적 상호 작용 표지’의 4가지로 나누어 그 하위 유형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각 표지의 대표적인 형태들을 유형화하여 실제 논증 텍스트에서 표지가 나타나는 형태를 함께 제시하였다. 또, 유형별로 교과서 텍스트에서 나타난 표지의 빈도수를 비교하였다. 빈도수가 높을수록 더욱 전형성을 띄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유형별 표지 교육의 순서를 제시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표지는 실제적인 사용 양상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으며 논증 텍스트라는 특정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를 분석하는 유용한 틀이 된다. 앞서 이루어진 표지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적용 방안을 밝혔다.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이해와 표현 활동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표지 목록을 체계적으로 제시해 주는 ‘표지 학습 자료’의 구성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이해 활동 단계를 정하고 각 단계에서의 검토 목록을 제시하여 독자를 설득하고자 하는 논증 텍스트의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닌 비판적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 학생들이 생산한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표지 사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아 표지 표현 교육의 기초 자료로 삼고 학생들의 인지적 논증 절차를 고려한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표현 활동 단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교육에 표지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제시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표지 학습 자료’라고 명명하고 그의 구성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이 표지를 쉽게 찾아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식 구성방법을 따르는데 이해 교육과 표현 교육 두 측면을 따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서 논증 텍스트에 나타나는 표지를 그 쓰임별로 분류하여 교육에 적용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필자가 제시한 논증 텍스트의 표지 분석과 교육적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한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논증 교육을 위하여 다양한 층위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논증 교육의 내용을 구체화·조직화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논증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표지 분석을 통하여 표지들을 유형화하고 그 교육적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의 다원화된 체제에서 갈등과 모순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 논증 교육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국어 교육의 내용이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특히, 논증이 언어 매체를 기반으로 표현된 논증 텍스트의 경우 논증 내용 명제의 생성에만 주목하여 이를 토대로 문장 및 텍스트를 완성하는 교육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필자는 내용 명제 간의 관계 명제를 나타내 주는 표지 개념이 교육에 적용되어야 함을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 의식 하에 관련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들에서 논증 요소와 논증 도식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표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지의 형태는 단순한 연결어나 개념어의 형식을 넘어 하나의 관용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지를 크게 ‘논증 요소 표지’, ‘논증 구조 개관 표지’, ‘논증 도식 표지’, ‘논증적 상호 작용 표지’의 4가지로 나누어 그 하위 유형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각 표지의 대표적인 형태들을 유형화하여 실제 논증 텍스트에서 표지가 나타나는 형태를 함께 제시하였다. 또, 유형별로 교과서 텍스트에서 나타난 표지의 빈도수를 비교하였다. 빈도수가 높을수록 더욱 전형성을 띄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유형별 표지 교육의 순서를 제시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표지는 실제적인 사용 양상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으며 논증 텍스트라는 특정 장르에 속하는 텍스트를 분석하는 유용한 틀이 된다. 앞서 이루어진 표지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적용 방안을 밝혔다.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이해와 표현 활동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표지 목록을 체계적으로 제시해 주는 ‘표지 학습 자료’의 구성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이해 활동 단계를 정하고 각 단계에서의 검토 목록을 제시하여 독자를 설득하고자 하는 논증 텍스트의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닌 비판적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 학생들이 생산한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표지 사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아 표지 표현 교육의 기초 자료로 삼고 학생들의 인지적 논증 절차를 고려한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표현 활동 단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지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의 교육에 표지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제시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표지 학습 자료’라고 명명하고 그의 구성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이 표지를 쉽게 찾아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식 구성방법을 따르는데 이해 교육과 표현 교육 두 측면을 따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서 논증 텍스트에 나타나는 표지를 그 쓰임별로 분류하여 교육에 적용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필자가 제시한 논증 텍스트의 표지 분석과 교육적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한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논증 교육을 위하여 다양한 층위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논증 교육의 내용을 구체화·조직화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rkers’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categorize them, and to explore the different ways of applying these markers for an educational purposes. While we need an argumentative education system to rationally resolve the conflicts created by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rkers’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categorize them, and to explore the different ways of applying these markers for an educational purposes. While we need an argumentative education system to rationally resolve the conflicts created by today’s divergent education system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is not organized accordingly. The problem lies in the argumentative-media-based argumentative text that only focuses on the creation of argument propositions rather than their application into sentences and texts. The author has recognized the needs for a marker that can accurately represent the connective propositions between the propositions. Recognizing these issues, the author reviews relevant studies and then suggests a new research method. First, the author analyzes the markers by extracting the elements of arguments and the argument schemes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author finds that the markers are made using with idiomatic expressions that are beyond simple connectives or type of simple type of concepts. The marker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rgument elements-markers', ‘argument structure-markers', ‘argument schemes-markers', and ‘argumentative interaction-marker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ub-types is presented in this report. The author typifies each marker’s representative form and presents the marker that appears in the actual argumentative text. Further, the author compares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markers appear in a textbook. The study shows that the higher a marker's frequency of appearance, the more typically it manifests according to the order of markers’ educational type. The analyzed markers demonstrate the practical usage without filtration and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a specific genre argumentative text. Based on the result of the marker analysis, the following has been proposed as an educational application. The author presents a production activity model of argumentative text that utilizes these markers. This model provides a step-by-step investigation of a composition method of the 'markers learning materials'. The author presents an understanding of the activity steps of argumentative text by utilizing the markers and introduces a review list wherein the students can critique and understand rather than just accept the text. An analysis of argumentative writing errors that are commit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included in this research. Finally, the author provides a list of argumentative educational text markers called 'the markers learning materials'. The list allows a dictionary to not only utilize markers but also to aid students locate the markers. It considers both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to be understandable and for it to be expression-able.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classifies the markers according to the argumentative texts and specifies an approach that applies the markers. This research is based on elementary textbooks. To ensure a higher efficiency of argumentative education, diverse levels of texts should be analyzed to determine detailed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rkers’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categorize them, and to explore the different ways of applying these markers for an educational purposes. While we need an argumentative education system to rationally resolve the conflicts created by today’s divergent education system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is not organized accordingly. The problem lies in the argumentative-media-based argumentative text that only focuses on the creation of argument propositions rather than their application into sentences and texts. The author has recognized the needs for a marker that can accurately represent the connective propositions between the propositions. Recognizing these issues, the author reviews relevant studies and then suggests a new research method. First, the author analyzes the markers by extracting the elements of arguments and the argument schemes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author finds that the markers are made using with idiomatic expressions that are beyond simple connectives or type of simple type of concepts. The marker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rgument elements-markers', ‘argument structure-markers', ‘argument schemes-markers', and ‘argumentative interaction-marker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ub-types is presented in this report. The author typifies each marker’s representative form and presents the marker that appears in the actual argumentative text. Further, the author compares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markers appear in a textbook. The study shows that the higher a marker's frequency of appearance, the more typically it manifests according to the order of markers’ educational type. The analyzed markers demonstrate the practical usage without filtration and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a specific genre argumentative text. Based on the result of the marker analysis, the following has been proposed as an educational application. The author presents a production activity model of argumentative text that utilizes these markers. This model provides a step-by-step investigation of a composition method of the 'markers learning materials'. The author presents an understanding of the activity steps of argumentative text by utilizing the markers and introduces a review list wherein the students can critique and understand rather than just accept the text. An analysis of argumentative writing errors that are commit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included in this research. Finally, the author provides a list of argumentative educational text markers called 'the markers learning materials'. The list allows a dictionary to not only utilize markers but also to aid students locate the markers. It considers both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to be understandable and for it to be expression-able.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classifies the markers according to the argumentative texts and specifies an approach that applies the markers. This research is based on elementary textbooks. To ensure a higher efficiency of argumentative education, diverse levels of texts should be analyzed to determine detailed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Keyword
#논증 텍스트 표지 논증 교육 국어 교육 argumentative text marker argumentation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학위논문 정보
저자
정혜선
학위수여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초등국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민병곤
발행연도
2010
총페이지
ⅷ, 128 p.
키워드
논증 텍스트 표지 논증 교육 국어 교육 argumentative text marker argumentation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