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얼버라이어티쇼>의 현실성 구축기제 : 상호텍스트성과 수용자의 현실감 원문보기


옥민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90년대 중·후반부터 국내에서 불기 시작한 TV 리얼리티의 바람은 예능/오락 프로그램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다. 초기 유입단계에서부터 줄곧 교양 프로그램에서 활용되어 온 리얼리티 형식이 점차 재미와 웃음을 전달하기 위한 기제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이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예능/오락 프로그램들 대부분이 리얼리티를 접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연구자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둘러싼 각종 이슈들 가운데 특히 해당 프로그램의 ‘리얼리티’에 대해 시청자들이 갖고 있는 신뢰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리얼 버라이어티 쇼가 표방하는 현실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그것을 소비하는 수용자들이 대상으로부터 경험하는 현실감이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텍스트가 구축한 구체적인 기제들에 앞 서 해당 장르에 대한 수용자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에는 수용자들이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어떠한 장르로 받아들이고 있는지, 그리고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트레이드오프' 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대전제가 되었다. 텍스트가 구축한 현실성 기제들이 수용의 차원에서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크게 ‘텍스트 내적 요소’와 ‘상호텍스트적 요소’로 나누어 보았다. 이것은 현장 연구 과정에서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이해하는 데 있어 특히 ‘상호텍스트성(...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pularity of realistic fashion of TV program in the mid-1990s opened new horizon of the entertainment programs in Korea. It was used to be utilized for Documentary programs, but most popular entertainment programs start to adopt the fashion just for fun in these days. In this background, I paid...

학위논문 정보

저자 옥민혜
학위수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언론홍보영상학과
지도교수 박동숙
발행연도 2010
총페이지 xi, 148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1926126&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