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C 들어, 삶의 질을 추구하고자 공적공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도시민들에게 비교적 손쉽게 공적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공공건축물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다. 특히, 공공건축물의 최소단위라할 수 있는 주민자치센터는 동사무소로부터 그 기능이 전환되면서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어, 근린생활권 내에서 대표적인 공적공간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의 건축적 공공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건축적 공공성은 도시와 건축물의 상호관계에서부터 파악될 수 있으며 공공성 구현의 매개체로서, 본 연구는 구체적인 장소에 해당되는 주민자치센터의 공적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관점으로는 도시의 대표적인 공적공간이라할 수 있는 가로공간과 건축물의 관계를 보여주는 침투성 및 다공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제이콥스의 침투성(...
21C 들어, 삶의 질을 추구하고자 공적공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도시민들에게 비교적 손쉽게 공적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공공건축물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다. 특히, 공공건축물의 최소단위라할 수 있는 주민자치센터는 동사무소로부터 그 기능이 전환되면서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어, 근린생활권 내에서 대표적인 공적공간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의 건축적 공공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건축적 공공성은 도시와 건축물의 상호관계에서부터 파악될 수 있으며 공공성 구현의 매개체로서, 본 연구는 구체적인 장소에 해당되는 주민자치센터의 공적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관점으로는 도시의 대표적인 공적공간이라할 수 있는 가로공간과 건축물의 관계를 보여주는 침투성 및 다공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제이콥스의 침투성(Permeability)과 벤야민의 다공성(Porosity)은 대단위로 개발된 기능중심의 근대도시를 비판하고, 보다 인간적인 스케일로서 도보권내에서의 도시생활을 지향하고 있다. 즉, 도시내 보행자들로 하여금 건축물로의 접근 및 인지를 쉽게 하고 그들이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 구축을 통해 도시공간과 건축물의 상호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이들 개념으로부터 본 연구는 접근의 용이성․공간의 인지성․공간이용 및 규모․휴게공간으로의 지원성 등 4가지의 분석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들 요소는 모두 물리적 측면 및 이용적 측면으로 구분해서 분석될 수 있기에, 건축적 공공성 분석의 틀을 2가지로 구분해서 작성하였다. 분석대상은 울산광역시내 58개의 주민자치센터중, 도시지역내 주거지역에 위치하고 기능전환이 시작된 1999년도 이후에 준공된 10군데의 주민자치센터이다. 이에 대해 43개의 항목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 데이터는 SPSS 15.0 버전의 상관관계 분석기법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분석대상 주민자치센터의 건축적 공공성 실태는 다음과 같다. 1)건축적 공공성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특히 공간의 인지성에 대한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건축적 공공성 향상 방안으로 무엇보다 도시와 건축물의 상호침투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3)실외 공적공간과 인접한 보행로의 수를 많게 해 다양한 접근경로를 확보하고, 건축물내에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편의시설을 설치하면 건축적 공공성의 4가지 분석요소를 강화시킬 수 있다. 4)건축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파악한 분석대상 10군데의 주민자치센터가 가지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았다. ①실내‧외 공적공간 계획시 그 중요성이 서로 상반되게 설계되었다. ②실내 공적공간과 인접한 공간이 주민자치사업기능과 연관되지 않으면서, 공적공간에서 주민자치 프로그램의 인지도는 낮았다. ③실내 공적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할수록 건축물 내 이용공간의 면적은 적어, 계획의 의도와는 달리 실내 공적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21C 들어, 삶의 질을 추구하고자 공적공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도시민들에게 비교적 손쉽게 공적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공공건축물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다. 특히, 공공건축물의 최소단위라할 수 있는 주민자치센터는 동사무소로부터 그 기능이 전환되면서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어, 근린생활권 내에서 대표적인 공적공간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의 건축적 공공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건축적 공공성은 도시와 건축물의 상호관계에서부터 파악될 수 있으며 공공성 구현의 매개체로서, 본 연구는 구체적인 장소에 해당되는 주민자치센터의 공적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관점으로는 도시의 대표적인 공적공간이라할 수 있는 가로공간과 건축물의 관계를 보여주는 침투성 및 다공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제이콥스의 침투성(Permeability)과 벤야민의 다공성(Porosity)은 대단위로 개발된 기능중심의 근대도시를 비판하고, 보다 인간적인 스케일로서 도보권내에서의 도시생활을 지향하고 있다. 즉, 도시내 보행자들로 하여금 건축물로의 접근 및 인지를 쉽게 하고 그들이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 구축을 통해 도시공간과 건축물의 상호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이들 개념으로부터 본 연구는 접근의 용이성․공간의 인지성․공간이용 및 규모․휴게공간으로의 지원성 등 4가지의 분석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들 요소는 모두 물리적 측면 및 이용적 측면으로 구분해서 분석될 수 있기에, 건축적 공공성 분석의 틀을 2가지로 구분해서 작성하였다. 분석대상은 울산광역시내 58개의 주민자치센터중, 도시지역내 주거지역에 위치하고 기능전환이 시작된 1999년도 이후에 준공된 10군데의 주민자치센터이다. 이에 대해 43개의 항목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 데이터는 SPSS 15.0 버전의 상관관계 분석기법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분석대상 주민자치센터의 건축적 공공성 실태는 다음과 같다. 1)건축적 공공성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특히 공간의 인지성에 대한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건축적 공공성 향상 방안으로 무엇보다 도시와 건축물의 상호침투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3)실외 공적공간과 인접한 보행로의 수를 많게 해 다양한 접근경로를 확보하고, 건축물내에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편의시설을 설치하면 건축적 공공성의 4가지 분석요소를 강화시킬 수 있다. 4)건축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파악한 분석대상 10군데의 주민자치센터가 가지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았다. ①실내‧외 공적공간 계획시 그 중요성이 서로 상반되게 설계되었다. ②실내 공적공간과 인접한 공간이 주민자치사업기능과 연관되지 않으면서, 공적공간에서 주민자치 프로그램의 인지도는 낮았다. ③실내 공적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할수록 건축물 내 이용공간의 면적은 적어, 계획의 의도와는 달리 실내 공적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With 21C entering, interest in the public space is growing in the name of pursuing quality of the life. Hereupon, the public architecture's role is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urbanite with public space easily. Especially, the Residents' Center which is the minimum unit of the public architecture ...
With 21C entering, interest in the public space is growing in the name of pursuing quality of the life. Hereupon, the public architecture's role is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urbanite with public space easily. Especially, the Residents' Center which is the minimum unit of the public architecture is raising representative public space of the neighborhood as changing its form. With these consid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of the Residents' Center. In this study, the public space of the Residents' Center is considered as concrete space, one of the basic and important carriers which realize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Assuming architecture should keep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ity, this study is to search a starting point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The Permeability and Porosity concepts were chosen to represent the publicness and from these concepts, 4 elements of analysis such as Easiness of Access, Recognition of Space, Spatial use and size, and Affordability to Rest Area are drawn. These 4 elements can be again analyzed according to physical aspects and utilizational aspects of publicness through 43 items. With these considerations, 10 residents' centers in Ulsan urban area were finally chosen to study and the result data were interpreted by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SPSS 15.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 1)Measurement of architectural publicness standardized 10 ratio measure were shown low results. (Easiness of Access : 5.98, Recognition of Space : 4.07, Spatial use and size : 5.37, and Affordability to Rest Area : 4.54) Especially, Recognition of Space has the lowest measurement in the 4 elements. That means 10 Residents' Centers in Ulsan urban area have less space which intermediate with the city. 2)Architectural publicness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f Space in the 4 elements. So, it is necessary to make space which intermediate with the city as first step to improve architectural publicness. 3)Easiness of Access, Recognition of Space, Spatial use and size, Affordability to Rest Area has correlation with each A12, A2, V5, M11 item. So, 4 elements can be reinforced by enhanceing 4 items of A12, A2, V5, M11. 4)Features which is considered as supplement to design Residents' Center are the following. ①Importance of design between interior public space and exterior public space were contrary each other. ②In interior public space, Recognition of program about residents' centers were low. ③Efficiency of interior public space were low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space regarding program of residents' center.
With 21C entering, interest in the public space is growing in the name of pursuing quality of the life. Hereupon, the public architecture's role is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urbanite with public space easily. Especially, the Residents' Center which is the minimum unit of the public architecture is raising representative public space of the neighborhood as changing its form. With these consid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of the Residents' Center. In this study, the public space of the Residents' Center is considered as concrete space, one of the basic and important carriers which realize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Assuming architecture should keep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ity, this study is to search a starting point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The Permeability and Porosity concepts were chosen to represent the publicness and from these concepts, 4 elements of analysis such as Easiness of Access, Recognition of Space, Spatial use and size, and Affordability to Rest Area are drawn. These 4 elements can be again analyzed according to physical aspects and utilizational aspects of publicness through 43 items. With these considerations, 10 residents' centers in Ulsan urban area were finally chosen to study and the result data were interpreted by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SPSS 15.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 1)Measurement of architectural publicness standardized 10 ratio measure were shown low results. (Easiness of Access : 5.98, Recognition of Space : 4.07, Spatial use and size : 5.37, and Affordability to Rest Area : 4.54) Especially, Recognition of Space has the lowest measurement in the 4 elements. That means 10 Residents' Centers in Ulsan urban area have less space which intermediate with the city. 2)Architectural publicness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f Space in the 4 elements. So, it is necessary to make space which intermediate with the city as first step to improve architectural publicness. 3)Easiness of Access, Recognition of Space, Spatial use and size, Affordability to Rest Area has correlation with each A12, A2, V5, M11 item. So, 4 elements can be reinforced by enhanceing 4 items of A12, A2, V5, M11. 4)Features which is considered as supplement to design Residents' Center are the following. ①Importance of design between interior public space and exterior public space were contrary each other. ②In interior public space, Recognition of program about residents' centers were low. ③Efficiency of interior public space were low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space regarding program of residents' cent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