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자궁 근종의 육종성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정상 자궁의 평활근, 자궁 근종,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및 자궁 육종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수용체의 발현을 비교 조사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전 자궁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단순한 자궁근종 35명, 빠른 성장을 보인 자궁근종 31명, 자궁 육종 13명과 자궁근종이외의 질환으로 인해 전자궁 적출술을 받은 환자 30명에서 종양절편 또는 평활근에 대한 ...
목적 : 자궁 근종의 육종성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정상 자궁의 평활근, 자궁 근종,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및 자궁 육종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수용체의 발현을 비교 조사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전 자궁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단순한 자궁근종 35명, 빠른 성장을 보인 자궁근종 31명, 자궁 육종 13명과 자궁근종이외의 질환으로 인해 전자궁 적출술을 받은 환자 30명에서 종양절편 또는 평활근에 대한 파라핀 절편을 이용하여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하여 각 군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Estrogen receptor α, ERα) 는 정상 자궁 평활근환자 22명 (73.3%), 단순한 자궁 근종 환자 32명 (91.4%),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환자 19명 (61.3%), 자궁 육종 환자 6명 (46.2%)에서 발현되었다.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과 자궁 육종은 단순한 자궁근종에 비해 ERα의 발현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0.007, P=0.002).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Estrogen receptor β, ERβ) 는 정상 자궁 평활근 환자 13명 (43.3%), 단순한 자궁 근종 환자 15명 (42.9%),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환자 11명 (35.5%), 자궁 육종 환자 3명 (23.1%)에서 발현되었다. 각 군 간에 ERβ의 발현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72).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progesterone receptor, PR) 는 정상 자궁 평활근 환자 29명 (96.7%), 자궁 근종 환자 34명 (97.1%),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환자 31명 (100%), 자궁 육종 환자 9명 (69.2%)에서 발현되었다. 자궁 육종은 정상 자궁 평활근, 단순한 자궁 근종과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에 비해 PR의 발현 빈도가 통계적 유의하게 낮았다 (P=0.024, P=0.015, P=0.005).
결론 : 단순한 자궁근종에 비해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근종과 자궁 육종에서 ERα의 발현이 유의하게 낮은 점과 자궁 육종에서 PR이 유의하게 낮은 점은 낮은 염색강도등을 감안하면 자궁근종의 육종성 변화를 예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목적 : 자궁 근종의 육종성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정상 자궁의 평활근, 자궁 근종,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및 자궁 육종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발현을 비교 조사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전 자궁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단순한 자궁근종 35명, 빠른 성장을 보인 자궁근종 31명, 자궁 육종 13명과 자궁근종이외의 질환으로 인해 전자궁 적출술을 받은 환자 30명에서 종양절편 또는 평활근에 대한 파라핀 절편을 이용하여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하여 각 군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Estrogen receptor α, ERα) 는 정상 자궁 평활근환자 22명 (73.3%), 단순한 자궁 근종 환자 32명 (91.4%),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환자 19명 (61.3%), 자궁 육종 환자 6명 (46.2%)에서 발현되었다.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과 자궁 육종은 단순한 자궁근종에 비해 ERα의 발현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0.007, P=0.002).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Estrogen receptor β, ERβ) 는 정상 자궁 평활근 환자 13명 (43.3%), 단순한 자궁 근종 환자 15명 (42.9%),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환자 11명 (35.5%), 자궁 육종 환자 3명 (23.1%)에서 발현되었다. 각 군 간에 ERβ의 발현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72).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progesterone receptor, PR) 는 정상 자궁 평활근 환자 29명 (96.7%), 자궁 근종 환자 34명 (97.1%),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 환자 31명 (100%), 자궁 육종 환자 9명 (69.2%)에서 발현되었다. 자궁 육종은 정상 자궁 평활근, 단순한 자궁 근종과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 근종에 비해 PR의 발현 빈도가 통계적 유의하게 낮았다 (P=0.024, P=0.015, P=0.005).
결론 : 단순한 자궁근종에 비해 빠른 성장을 하는 자궁근종과 자궁 육종에서 ERα의 발현이 유의하게 낮은 점과 자궁 육종에서 PR이 유의하게 낮은 점은 낮은 염색강도등을 감안하면 자궁근종의 육종성 변화를 예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