耳鳴은 難聽, 眩氣症과 더불어 중요한 聽器 증상의 하나로서, 외부의 자극 없이 귀나 머리에서 들리는 청각적 자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청각계의 자연적인 활동의 결과이지만, 꾸준히 들리는 소리를 모두 耳鳴이라고 하지는 않고, 단지 일상생활에서 자신에게 심하게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소리가 있을 때 耳鳴이라고 정의 한다. 耳鳴은 전체 인구의 약 17%, 특히 노인층에서는 1/3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 최근 인구의 노령화와 산업사회 발달로 인한 소음, 복잡한 사회 환경과 관련한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耳鳴환자는 점차 늘고 있으며, 병원을 찾아 적극적으로 원인을 밝히고 치료를 받기를 원하는 환자의 수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耳鳴은 임상적으로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구분되어 환자뿐만 아니라 타인에 의해서도 감지되는 객관적인 耳鳴과 자신만이 소리를 느끼는 주관적인 耳鳴이 있으며, 대다수는 타각적 耳鳴보다 자각적 耳鳴이다. 자각적 耳鳴의 원인으로는 구지, ...
耳鳴은 難聽, 眩氣症과 더불어 중요한 聽器 증상의 하나로서, 외부의 자극 없이 귀나 머리에서 들리는 청각적 자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청각계의 자연적인 활동의 결과이지만, 꾸준히 들리는 소리를 모두 耳鳴이라고 하지는 않고, 단지 일상생활에서 자신에게 심하게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소리가 있을 때 耳鳴이라고 정의 한다. 耳鳴은 전체 인구의 약 17%, 특히 노인층에서는 1/3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 최근 인구의 노령화와 산업사회 발달로 인한 소음, 복잡한 사회 환경과 관련한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耳鳴환자는 점차 늘고 있으며, 병원을 찾아 적극적으로 원인을 밝히고 치료를 받기를 원하는 환자의 수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耳鳴은 임상적으로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구분되어 환자뿐만 아니라 타인에 의해서도 감지되는 객관적인 耳鳴과 자신만이 소리를 느끼는 주관적인 耳鳴이 있으며, 대다수는 타각적 耳鳴보다 자각적 耳鳴이다. 자각적 耳鳴의 원인으로는 구지, 외이도 이물 등의 외이도질환, 고막 천공, 급성 또는 만성 중이질환, 메니에르병 등의 내이질환과 이독성 난청,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뿐만 아니라 청신경종양 같은 뇌종양 등이 있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의 전신질환에도 동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개 양측성이다. 타각적 耳鳴은 이관의 이상개방, 연구개근의 경련, 동정맥류 등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耳鳴의 종류는 ‘위-잉’, ‘쐬-’, ‘우-웅’, ‘삐-’, ‘찌-’ 등 표현이 다양하며, 耳鳴에 대한 환자의 반응은 크기와 성상과도 관계가 있으나 환자의 정신적, 성격적 스트레스 즉, 불안, 우울, 초조 및 수면장애 등과 관련이 깊고, 무엇보다도 환자의 주관적 자각 증상이므로 증상의 경중을 객관화하기 어렵다. 耳鳴에 대한 현대 의학적 치료 방법은 내이의 혈액순환장애로 인해 청신경에 이상 흥분이 발생한다는 순환장애설에 입각하여 혈관확장제나 항응고제가 치료제로 쓰여 지고 있으며, 이외에 국소마취제, 항경련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등의 약물치료와 耳鳴차폐법, 최면요법, 정신치료, 수술요법 등 치료방법이 있으나 아직까지 그 효과에 대해서는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못 내리고 있다. 이와 같이 西洋醫學에서는 아직까지 耳鳴의 발생 원인에 대한 정립된 학설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내이, 청신경, 정신적 요소 등이 어떻게 耳鳴을 일으키는가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나 직접적인 접근 또는 구체적인 검사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韓醫學에서의 耳鳴은 “耳中鳴”, “耳數鳴”으로 언급되었으며 《內經》에 처음 기재된 이래로 여러 의가들에 의해 그 원인 및 증상, 치료에 관한 언급이 있어왔으나 실제 임상에서 한의학적인 치료 방법에 의한 耳鳴의 치료는 서양의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쉽지 않다. 《內經》에서는 耳鳴의 원인을 “腸胃之所生”, “陽氣萬物盛上而躍”, “胃中空則宗脈虛”, “髓海不足” 등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運氣學적인 원인도 언급되어 있다. 후세에서는 이를 氣虛耳鳴, 血虛耳鳴, 腎虛耳鳴, 風熱耳鳴, 痰火耳鳴으로 분별하였고, 巢元方과 孫思邈은 腎虛를 주된 원인으로 보았고 朱震亨과 李梴은 痰火가 耳鳴의 주된 원인이라 주장하였다. 크게 實證과 虛證으로 분류하자면 耳鳴이 지속적이고 크며 폐색감을 동반하는 경우, 혹은 손으로 按壓했을 때 소리가 더욱 심해지면 實證에 속하는 경우가 많고, 耳鳴이 간헐적이거나 勞倦할 때 혹은 야간에 심해지면서 손으로 按壓하면 소리가 적어지는 것은 虛證에 속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耳鳴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문헌적 연구와 임상적 연구로 나눌 수 있다. 문헌적 연구에 따르면 신이 耳鳴의 발병원인과 증상에 따라 風邪, 肝膽火, 痰火, 瘀血, 熱氣客於經絡의 實證과 病後, 産後, 氣虛, 血虛, 肝腎虧損, 髓海不足의 虛證으로 분류하였고, 臟腑에 있어서는 肝, 膽, 胃, 膀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經絡 및 鍼灸治療에서는 足少陽膽經, 足太陽膀胱經, 手少陽三焦經, 手太陽小腸經, 手陽明大腸經, 足陽明胃經, 手厥陰心包經이 多用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김은 역대의가들의 문헌들을 조사, 연구한 결과 耳鳴의 원인에 있어서는 腎虛, 氣虛, 痰火, 精氣虛의 순으로 언급되었으며, 內服藥으로는 六味地黃湯, 當歸龍薈丸, 黃芪丸, 蓗蓉丸의 순으로 多用되었고, 外用藥으로는 生烏頭, 生地黃, 烏頭, 菖蒲의 순으로 多用되었음을 보고 하였다. 또한 임상적 연구에서 김이 14명의 耳鳴환자에게서 10회 이상의 鍼治療 후 耳鳴의 자각정도와 耳鳴으로 인한 생활적 불편도의 개선상황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호전을 보임을 보고 하였고, 최는 34명의 耳鳴환자에서의 적어도 2개월 이상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가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를 가져온다는 임상적 연구가 보고 된 바 있으며, 김은 耳鳴을 風熱型, 肝火型, 痰火型, 腎虛型, 氣虛型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료 효과를 관찰한 바 脾胃虛弱으로 인한 氣虛型의 치료율이 가장 높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韓醫學 최고의 의서인 《內經》에 나온 耳鳴의 기전과 원인에 대해 자세히 연구된 보고는 접하지를 못하였다. 이에 저자는 耳鳴의 한의학적 원인과 기전을 더 정확히 연구하기 위하여 《內經》에 나오는 耳鳴과 관련된 原文과 역대 주가들의 註釋을 참고하여 耳鳴의 기전과 원인뿐만 아니라 서양의학과의 연과성에 대하여 연구 고찰 하려고 한다.
耳鳴은 難聽, 眩氣症과 더불어 중요한 聽器 증상의 하나로서, 외부의 자극 없이 귀나 머리에서 들리는 청각적 자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청각계의 자연적인 활동의 결과이지만, 꾸준히 들리는 소리를 모두 耳鳴이라고 하지는 않고, 단지 일상생활에서 자신에게 심하게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소리가 있을 때 耳鳴이라고 정의 한다. 耳鳴은 전체 인구의 약 17%, 특히 노인층에서는 1/3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 최근 인구의 노령화와 산업사회 발달로 인한 소음, 복잡한 사회 환경과 관련한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耳鳴환자는 점차 늘고 있으며, 병원을 찾아 적극적으로 원인을 밝히고 치료를 받기를 원하는 환자의 수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耳鳴은 임상적으로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구분되어 환자뿐만 아니라 타인에 의해서도 감지되는 객관적인 耳鳴과 자신만이 소리를 느끼는 주관적인 耳鳴이 있으며, 대다수는 타각적 耳鳴보다 자각적 耳鳴이다. 자각적 耳鳴의 원인으로는 구지, 외이도 이물 등의 외이도질환, 고막 천공, 급성 또는 만성 중이질환, 메니에르병 등의 내이질환과 이독성 난청,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뿐만 아니라 청신경종양 같은 뇌종양 등이 있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의 전신질환에도 동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개 양측성이다. 타각적 耳鳴은 이관의 이상개방, 연구개근의 경련, 동정맥류 등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耳鳴의 종류는 ‘위-잉’, ‘쐬-’, ‘우-웅’, ‘삐-’, ‘찌-’ 등 표현이 다양하며, 耳鳴에 대한 환자의 반응은 크기와 성상과도 관계가 있으나 환자의 정신적, 성격적 스트레스 즉, 불안, 우울, 초조 및 수면장애 등과 관련이 깊고, 무엇보다도 환자의 주관적 자각 증상이므로 증상의 경중을 객관화하기 어렵다. 耳鳴에 대한 현대 의학적 치료 방법은 내이의 혈액순환장애로 인해 청신경에 이상 흥분이 발생한다는 순환장애설에 입각하여 혈관확장제나 항응고제가 치료제로 쓰여 지고 있으며, 이외에 국소마취제, 항경련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등의 약물치료와 耳鳴차폐법, 최면요법, 정신치료, 수술요법 등 치료방법이 있으나 아직까지 그 효과에 대해서는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못 내리고 있다. 이와 같이 西洋醫學에서는 아직까지 耳鳴의 발생 원인에 대한 정립된 학설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내이, 청신경, 정신적 요소 등이 어떻게 耳鳴을 일으키는가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나 직접적인 접근 또는 구체적인 검사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韓醫學에서의 耳鳴은 “耳中鳴”, “耳數鳴”으로 언급되었으며 《內經》에 처음 기재된 이래로 여러 의가들에 의해 그 원인 및 증상, 치료에 관한 언급이 있어왔으나 실제 임상에서 한의학적인 치료 방법에 의한 耳鳴의 치료는 서양의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쉽지 않다. 《內經》에서는 耳鳴의 원인을 “腸胃之所生”, “陽氣萬物盛上而躍”, “胃中空則宗脈虛”, “髓海不足” 등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運氣學적인 원인도 언급되어 있다. 후세에서는 이를 氣虛耳鳴, 血虛耳鳴, 腎虛耳鳴, 風熱耳鳴, 痰火耳鳴으로 분별하였고, 巢元方과 孫思邈은 腎虛를 주된 원인으로 보았고 朱震亨과 李梴은 痰火가 耳鳴의 주된 원인이라 주장하였다. 크게 實證과 虛證으로 분류하자면 耳鳴이 지속적이고 크며 폐색감을 동반하는 경우, 혹은 손으로 按壓했을 때 소리가 더욱 심해지면 實證에 속하는 경우가 많고, 耳鳴이 간헐적이거나 勞倦할 때 혹은 야간에 심해지면서 손으로 按壓하면 소리가 적어지는 것은 虛證에 속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耳鳴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문헌적 연구와 임상적 연구로 나눌 수 있다. 문헌적 연구에 따르면 신이 耳鳴의 발병원인과 증상에 따라 風邪, 肝膽火, 痰火, 瘀血, 熱氣客於經絡의 實證과 病後, 産後, 氣虛, 血虛, 肝腎虧損, 髓海不足의 虛證으로 분류하였고, 臟腑에 있어서는 肝, 膽, 胃, 膀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經絡 및 鍼灸治療에서는 足少陽膽經, 足太陽膀胱經, 手少陽三焦經, 手太陽小腸經, 手陽明大腸經, 足陽明胃經, 手厥陰心包經이 多用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김은 역대의가들의 문헌들을 조사, 연구한 결과 耳鳴의 원인에 있어서는 腎虛, 氣虛, 痰火, 精氣虛의 순으로 언급되었으며, 內服藥으로는 六味地黃湯, 當歸龍薈丸, 黃芪丸, 蓗蓉丸의 순으로 多用되었고, 外用藥으로는 生烏頭, 生地黃, 烏頭, 菖蒲의 순으로 多用되었음을 보고 하였다. 또한 임상적 연구에서 김이 14명의 耳鳴환자에게서 10회 이상의 鍼治療 후 耳鳴의 자각정도와 耳鳴으로 인한 생활적 불편도의 개선상황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호전을 보임을 보고 하였고, 최는 34명의 耳鳴환자에서의 적어도 2개월 이상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가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를 가져온다는 임상적 연구가 보고 된 바 있으며, 김은 耳鳴을 風熱型, 肝火型, 痰火型, 腎虛型, 氣虛型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료 효과를 관찰한 바 脾胃虛弱으로 인한 氣虛型의 치료율이 가장 높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韓醫學 최고의 의서인 《內經》에 나온 耳鳴의 기전과 원인에 대해 자세히 연구된 보고는 접하지를 못하였다. 이에 저자는 耳鳴의 한의학적 원인과 기전을 더 정확히 연구하기 위하여 《內經》에 나오는 耳鳴과 관련된 原文과 역대 주가들의 註釋을 참고하여 耳鳴의 기전과 원인뿐만 아니라 서양의학과의 연과성에 대하여 연구 고찰 하려고 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