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 중소도시의 P의료원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파악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자 유형별 결정요인과 환자들이 느끼는 의료서비스 만족요인을 확인하고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불만요인을 규명하여, 의료서비스 및 병원만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2008년 11월 10일부터 2008년 11월 21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은 입원환자 195명을 대상으로, 이 연구를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환자유형에 따른 만족도 결정요인을 측정하였다. 설문 내용으로는 크게 특성별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의료 환경으로 구분했고, 이에 따른 각 영역별 만족요인을 구분하여 인적특성과 의료 환경에 따른 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중소도시의 P의료원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파악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자 유형별 결정요인과 환자들이 느끼는 의료서비스 만족요인을 확인하고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불만요인을 규명하여, 의료서비스 및 병원만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2008년 11월 10일부터 2008년 11월 21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은 입원환자 195명을 대상으로, 이 연구를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환자유형에 따른 만족도 결정요인을 측정하였다. 설문 내용으로는 크게 특성별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의료 환경으로 구분했고, 이에 따른 각 영역별 만족요인을 구분하여 인적특성과 의료 환경에 따른 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다. 또한 병원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도 정도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대상자의 특성별 병원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 교차분석과 T-test로 분석했다.
본 조사의 분석결과로는 우선 연령별, 성별, 학력, 설문자(환자, 보호자, 간병인)의 대부분이 병원에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또한, 고학력일수록 병원시설환경에서 환자만족도가 낮았으며, 인구사회학적 구별로 연령 간의 특성에서는 젊은 층 일수록 만족도가 떨어지고, 연령이 높을수록 만족감을 느꼈다. 또한 성별의 차이에 따라 만족도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설문자(환자, 보호자, 간병인)에서는 한 부분에서만 간병인이 다른 변수보다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본 조사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병원관리자는 환자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겠다.
첫째, 연령이 있는 사람들을 제외한 다른 연령층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온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병원 내 연령에 맞는 서비스의 개선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학력에 따른 조사결과 고학력일수록 만족도가 낮게 분석된 것에 의하면 시대의 학력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그에 따른 보는 시점도 높게 평가 되는 것 같다. 이에 그에 따른 환자가 만족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착안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셋째, 성별에 따른 결과는 남․여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기 때문에 만족도의 결정에 큰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파악 되었다.
넷째, 결국 간병인 외에는 환자나 보호자나 모두 불만족스러운 경향을 보여 환자와 보호자 위주의 병원으로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은 것 같다.
분석결과가 절대적인 결과라고는 볼 수 없지만 P의료원의 환자만족도 조사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불만족으로 나타나 환자들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개선점이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되며 환자들의 의료서비스 질을 높이는데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중소도시의 P의료원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파악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자 유형별 결정요인과 환자들이 느끼는 의료서비스 만족요인을 확인하고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불만요인을 규명하여, 의료서비스 및 병원만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2008년 11월 10일부터 2008년 11월 21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은 입원환자 195명을 대상으로, 이 연구를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환자유형에 따른 만족도 결정요인을 측정하였다. 설문 내용으로는 크게 특성별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의료 환경으로 구분했고, 이에 따른 각 영역별 만족요인을 구분하여 인적특성과 의료 환경에 따른 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다. 또한 병원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도 정도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대상자의 특성별 병원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 교차분석과 T-test로 분석했다.
본 조사의 분석결과로는 우선 연령별, 성별, 학력, 설문자(환자, 보호자, 간병인)의 대부분이 병원에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또한, 고학력일수록 병원시설환경에서 환자만족도가 낮았으며, 인구사회학적 구별로 연령 간의 특성에서는 젊은 층 일수록 만족도가 떨어지고, 연령이 높을수록 만족감을 느꼈다. 또한 성별의 차이에 따라 만족도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설문자(환자, 보호자, 간병인)에서는 한 부분에서만 간병인이 다른 변수보다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본 조사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병원관리자는 환자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겠다.
첫째, 연령이 있는 사람들을 제외한 다른 연령층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온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병원 내 연령에 맞는 서비스의 개선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학력에 따른 조사결과 고학력일수록 만족도가 낮게 분석된 것에 의하면 시대의 학력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그에 따른 보는 시점도 높게 평가 되는 것 같다. 이에 그에 따른 환자가 만족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착안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셋째, 성별에 따른 결과는 남․여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기 때문에 만족도의 결정에 큰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파악 되었다.
넷째, 결국 간병인 외에는 환자나 보호자나 모두 불만족스러운 경향을 보여 환자와 보호자 위주의 병원으로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은 것 같다.
분석결과가 절대적인 결과라고는 볼 수 없지만 P의료원의 환자만족도 조사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불만족으로 나타나 환자들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개선점이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되며 환자들의 의료서비스 질을 높이는데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bout medical care services at P hospital in a city, the types of patients satisfied with services, the reason why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or not,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medical care services and sati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bout medical care services at P hospital in a city, the types of patients satisfied with services, the reason why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or not,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medical care services and satisfaction of the services.
The elements of satisfaction for medical care services had been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 checked by patients from November 10 to November 21 in 2008. Frequency and percentage have been used to show patients' general traits.
In additio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have been used to show the satisfaction of services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and cross analysis and T-test have been used to show the satisfaction of special serv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revealed that most of subjects are not satisfied with hospital regardless of age, sex, and an academic background. Besides, as patients are more high educated and younger, they are not satisfied with facilities. However, elder subjects tend to b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The difference of sex doesn'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ervices but among subjects, nursing assistants tend to be satisfied with services about only one element. It is concluded that most of subjects are not satisfied with medical care services in P hospital and the quality of services must be improved with more interes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bout medical care services at P hospital in a city, the types of patients satisfied with services, the reason why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or not,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medical care services and satisfaction of the services.
The elements of satisfaction for medical care services had been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 checked by patients from November 10 to November 21 in 2008. Frequency and percentage have been used to show patients' general traits.
In additio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have been used to show the satisfaction of services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and cross analysis and T-test have been used to show the satisfaction of special serv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revealed that most of subjects are not satisfied with hospital regardless of age, sex, and an academic background. Besides, as patients are more high educated and younger, they are not satisfied with facilities. However, elder subjects tend to b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The difference of sex doesn'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ervices but among subjects, nursing assistants tend to be satisfied with services about only one element. It is concluded that most of subjects are not satisfied with medical care services in P hospital and the quality of services must be improved with more interes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