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포항지역의 이암을 가지고 실내시험 및 시험성토를 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이암은 응력해방이나 수분공급에 따른 기계적, 화학적 풍화 등의 진행이 없는 자연 상태에서는 흡수팽창 및 팽윤이 없으나 절토나 파쇄 등에 의한 응력해방 후 전단면을 따라 슬레이킹 및 흡수 팽창하여 연약화되기 때문에 암반 전체적으로 ...
본 연구에서는 포항지역의 이암을 가지고 실내시험 및 시험성토를 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이암은 응력해방이나 수분공급에 따른 기계적, 화학적 풍화 등의 진행이 없는 자연 상태에서는 흡수팽창 및 팽윤이 없으나 절토나 파쇄 등에 의한 응력해방 후 전단면을 따라 슬레이킹 및 흡수 팽창하여 연약화되기 때문에 암반 전체적으로 전단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이암 표면부분 부터 연약 세립화되어 수분을 흡수하면 점토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시 검토가 필요하다.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이암은 그 구성광물의 성분은 비슷하지만 고결된 이암층과 미고결 이암층이 불규칙적으로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정지역과 특정심도에서 채취된 이암의 시험결과를 가지고 포항지역 전체 이암의 물리적 공학적 특성을 대표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판단된다. 2. 토취장 전역에 대한 시추조사 결과 및 시험결과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이암은 그 구성광물의 성분은 비슷하지만 채취지역과 채취심도에 따라 이암의 물리적 공학적 성질이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포항 지역의 이암이 채취 지역이나 깊이에 따라서 고결정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즉, 고결된 이암층과 미고결 이암층이 불규칙적으로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시추 주상결과로도 알 수가 있다. 포항지역의 이암을 도로나 항만의 성토나 매립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국부적인 위치에서 얻은 시험결과 보다는 전체적인 경향을 나타낼 수 있는 토취장영역 전 심도에 대한 샘플링 자료 등을 가지고 매립 재료로서의 적합성 유무를 판단해야 한다. 3. 현재까지 나타난 이암 매립재에 대한 시험시공 결과, 이암 매립지반의 침하량 산정을 위해 사석매립시 사용되는 침하량 산정식을 적용할 수 없고 새로운 산정식을 개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4. 이암을 매립 후 다짐시험을 통해서 노체나 노상재료로서 시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천으로 인해 물이 흡수되는 경우, 스펀지 현상등 다짐도가 현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이암을 성토재나 매립재료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 혼합처리 공법 등의 개량공법을 적용하야 한다. 그러나 개량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계측 및 시험시공 등을 통한 검증을 거쳐 매립재료로서의 적합성 유무를 판단한 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암재료의 경우, 성토 후 시방기준 이상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외하고는 이암매립 성토재료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매립재료서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검증 후 매립재료의 사용이 요구된다. 특히, 이암을 매립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장기 침하 특성에 대한 규명이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행된 이암을 이용한 시험시공 현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관찰을 통하여 이암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지역의 이암을 가지고 실내시험 및 시험성토를 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이암은 응력해방이나 수분공급에 따른 기계적, 화학적 풍화 등의 진행이 없는 자연 상태에서는 흡수팽창 및 팽윤이 없으나 절토나 파쇄 등에 의한 응력해방 후 전단면을 따라 슬레이킹 및 흡수 팽창하여 연약화되기 때문에 암반 전체적으로 전단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이암 표면부분 부터 연약 세립화되어 수분을 흡수하면 점토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시 검토가 필요하다.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이암은 그 구성광물의 성분은 비슷하지만 고결된 이암층과 미고결 이암층이 불규칙적으로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정지역과 특정심도에서 채취된 이암의 시험결과를 가지고 포항지역 전체 이암의 물리적 공학적 특성을 대표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판단된다. 2. 토취장 전역에 대한 시추조사 결과 및 시험결과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이암은 그 구성광물의 성분은 비슷하지만 채취지역과 채취심도에 따라 이암의 물리적 공학적 성질이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포항 지역의 이암이 채취 지역이나 깊이에 따라서 고결정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즉, 고결된 이암층과 미고결 이암층이 불규칙적으로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시추 주상결과로도 알 수가 있다. 포항지역의 이암을 도로나 항만의 성토나 매립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국부적인 위치에서 얻은 시험결과 보다는 전체적인 경향을 나타낼 수 있는 토취장영역 전 심도에 대한 샘플링 자료 등을 가지고 매립 재료로서의 적합성 유무를 판단해야 한다. 3. 현재까지 나타난 이암 매립재에 대한 시험시공 결과, 이암 매립지반의 침하량 산정을 위해 사석매립시 사용되는 침하량 산정식을 적용할 수 없고 새로운 산정식을 개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4. 이암을 매립 후 다짐시험을 통해서 노체나 노상재료로서 시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천으로 인해 물이 흡수되는 경우, 스펀지 현상등 다짐도가 현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이암을 성토재나 매립재료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 혼합처리 공법 등의 개량공법을 적용하야 한다. 그러나 개량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계측 및 시험시공 등을 통한 검증을 거쳐 매립재료로서의 적합성 유무를 판단한 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암재료의 경우, 성토 후 시방기준 이상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외하고는 이암매립 성토재료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매립재료서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검증 후 매립재료의 사용이 요구된다. 특히, 이암을 매립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장기 침하 특성에 대한 규명이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행된 이암을 이용한 시험시공 현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관찰을 통하여 이암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materi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fully examined the problem that may appear when they are used for reclamation, and presented the solutions, and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ir site application and constructibility in relation to whether mudstone materials could ...
This study evaluated the materi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fully examined the problem that may appear when they are used for reclamation, and presented the solutions, and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ir site application and constructibility in relation to whether mudstone materials could be used. General considerations were examined such as the materi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their problems, and drill log, drilling specimen analysis, indoor test, submersion and collapse test, liquid/plasticity limit test, etc, were conducted with the mudstone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at identified the problem of mudstone as the material for reclamation and considered the usability through the construction test, it was found that the mudstone materials could be used as reclamation material - except for the structures that may allow the collapse beyond the limit determined by the specification after the filling - following the validation of its fitness through the observation of mudstone reclamation fill materials.
This study evaluated the materi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fully examined the problem that may appear when they are used for reclamation, and presented the solutions, and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ir site application and constructibility in relation to whether mudstone materials could be used. General considerations were examined such as the materi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their problems, and drill log, drilling specimen analysis, indoor test, submersion and collapse test, liquid/plasticity limit test, etc, were conducted with the mudstone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at identified the problem of mudstone as the material for reclamation and considered the usability through the construction test, it was found that the mudstone materials could be used as reclamation material - except for the structures that may allow the collapse beyond the limit determined by the specification after the filling - following the validation of its fitness through the observation of mudstone reclamation fill material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