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골재채취된 영산강 하천생태계에서 어류상 분석을 활용한 교란과 회복의 평가 An Assessment of the Disturbance and the Rehabilitation with Ichthyofaunal Characteristics in the Ecosystem of Aggregate Gathered Yeongsan River원문보기
어류는 하천 생태 피라미드의 높은 지위를 점할 뿐 아니라 수변 생태의 지표역할도 감당한다. 수서생태계의 평가에 대한 용이성과 신뢰도를 높이려면 지표생물을 적용한 정성, 정량화가 가치 있는 일이다. 골재채취는 하천 교란의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이다. 골재채취는 하천환경의 직접적인 하상 구조 변화, 하상저하, 하상토의 조립화 그리고 하천 양안의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골재채취로 인해 교란이 나타남을 가상하여 영산강에서 수행하였다. 어류의 변화 양상은 영산강 수계에서 골재채취 시 실시한 ...
어류는 하천 생태 피라미드의 높은 지위를 점할 뿐 아니라 수변 생태의 지표역할도 감당한다. 수서생태계의 평가에 대한 용이성과 신뢰도를 높이려면 지표생물을 적용한 정성, 정량화가 가치 있는 일이다. 골재채취는 하천 교란의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이다. 골재채취는 하천환경의 직접적인 하상 구조 변화, 하상저하, 하상토의 조립화 그리고 하천 양안의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골재채취로 인해 교란이 나타남을 가상하여 영산강에서 수행하였다. 어류의 변화 양상은 영산강 수계에서 골재채취 시 실시한 모니터링의 생태학적 분석 결과이다.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와 환경부 안으로 칭하는 서로 다른 하천생태평가방법을 현장에서 확보한 어류상 적용 시 활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이들의 세부 항목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수행하였다. 하천의 회복은 골재채취구간의 지점별, 시기별, 생태평가방법 별 비교평가를 통하여 가능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국토해양부의 하천생태평가는 어류의 종다양성, 생태계구조, 서식처 다양성 등 어류학적 특징과 지표종에 점수를 부여하여 비교하는 방식이다. 조사지점은 영산강 수계 내 6개 공사 지점과 6개 대조지점을 포함하는 12개 지점으로 삼았다. 어류조사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정성, 정량적 조사를 위해 표준화시킨 방법에 따라 각 계절마다 실시하였다. 어류 모니터링 결과 4년간 12개 조사 지점에서 확인된 어종은 모두 6목 14과 52종이었다. 확인된 52종의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16종(30.8%)이었다. 영산강의 조사구간 내 분포어종 중 잉어목 어종은 34종(65.4%), 농어목 어종은 8종(15.4%), 메기목 어종은 6종(11.5%), 그 밖의 종은 각각 1종(1.92%)씩 확인되었다. 본 연구 상 전체 조사구간을 통하여 4년간 나타난 종다양도는 3.05, 종균등도는 0.77, 그리고 종풍부도는 5.93으로서 비교적 양호한 어류상이었다. 하천생태평가를 위해 영산강의 12개 지점에서 나타난 종다양성, 생태계구조, 서식처 다양성 등 어류상 분석 자료는 각 평가안의 항목에 적용하였다. 골재채취 결과 하천교란은 골재채취가 완료된 직후부터 나타났다. 어류상의 교란은 골재채취가 완료된 직후부터 나타났으며, 그러나 뚜렷한 어류상 회복은 일부 지점(St1, St3, St6)에서 골재채취가 완료 후 2년에 확인할 수 있었다. 하천생태평가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구체적인 야장을 작성하면 어류생태학적으로 가치 있는 자료 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서생태계에서 작용하는 수리적 요인과 여타 분류군의 정보를 함께 평가하면 가치 있는 자료를 도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류는 하천 생태 피라미드의 높은 지위를 점할 뿐 아니라 수변 생태의 지표역할도 감당한다. 수서생태계의 평가에 대한 용이성과 신뢰도를 높이려면 지표생물을 적용한 정성, 정량화가 가치 있는 일이다. 골재채취는 하천 교란의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이다. 골재채취는 하천환경의 직접적인 하상 구조 변화, 하상저하, 하상토의 조립화 그리고 하천 양안의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골재채취로 인해 교란이 나타남을 가상하여 영산강에서 수행하였다. 어류의 변화 양상은 영산강 수계에서 골재채취 시 실시한 모니터링의 생태학적 분석 결과이다.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와 환경부 안으로 칭하는 서로 다른 하천생태평가방법을 현장에서 확보한 어류상 적용 시 활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이들의 세부 항목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수행하였다. 하천의 회복은 골재채취구간의 지점별, 시기별, 생태평가방법 별 비교평가를 통하여 가능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국토해양부의 하천생태평가는 어류의 종다양성, 생태계구조, 서식처 다양성 등 어류학적 특징과 지표종에 점수를 부여하여 비교하는 방식이다. 조사지점은 영산강 수계 내 6개 공사 지점과 6개 대조지점을 포함하는 12개 지점으로 삼았다. 어류조사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정성, 정량적 조사를 위해 표준화시킨 방법에 따라 각 계절마다 실시하였다. 어류 모니터링 결과 4년간 12개 조사 지점에서 확인된 어종은 모두 6목 14과 52종이었다. 확인된 52종의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16종(30.8%)이었다. 영산강의 조사구간 내 분포어종 중 잉어목 어종은 34종(65.4%), 농어목 어종은 8종(15.4%), 메기목 어종은 6종(11.5%), 그 밖의 종은 각각 1종(1.92%)씩 확인되었다. 본 연구 상 전체 조사구간을 통하여 4년간 나타난 종다양도는 3.05, 종균등도는 0.77, 그리고 종풍부도는 5.93으로서 비교적 양호한 어류상이었다. 하천생태평가를 위해 영산강의 12개 지점에서 나타난 종다양성, 생태계구조, 서식처 다양성 등 어류상 분석 자료는 각 평가안의 항목에 적용하였다. 골재채취 결과 하천교란은 골재채취가 완료된 직후부터 나타났다. 어류상의 교란은 골재채취가 완료된 직후부터 나타났으며, 그러나 뚜렷한 어류상 회복은 일부 지점(St1, St3, St6)에서 골재채취가 완료 후 2년에 확인할 수 있었다. 하천생태평가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구체적인 야장을 작성하면 어류생태학적으로 가치 있는 자료 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서생태계에서 작용하는 수리적 요인과 여타 분류군의 정보를 함께 평가하면 가치 있는 자료를 도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Fish occupied not only being to higher pyramid level but also rolling as an indicator organism in watershed ecosystem. It was valuable thing using indicators for qualification and quantification raising with convenience and confidence to evaluate in watershed ecosystem. Aggregate gathering is one of...
Fish occupied not only being to higher pyramid level but also rolling as an indicator organism in watershed ecosystem. It was valuable thing using indicators for qualification and quantification raising with convenience and confidence to evaluate in watershed ecosystem. Aggregate gathering is one of artificial factor in the stream of disturbance. Aggregate gathering had caused the change of direct stream structure, ground settlement, river bed granulation, and lateral instability in the stream environment. This study was achieved by aggregate gathering with hypothetical disturbance appeared in Yeongsan River. The change of ichthyofaunal aspects was result of analyses of ecological monitoring during aggregate gathering in Yeongsan River.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applying to comparative evaluating method with ichthyofaunal data at the stream ecosystem which was made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inistry of Environment each other. Probably, the rehabilitation of stream would be comparing locations, opportunity, and method of ecological evaluation estimated. An assessment system in stream ecosystem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was comparative ichthyofaunal scoring method that managed with details of the species diversity, the ecosystem structure, and the habitat diversity in major characteristics of fish biology. Twelve sampling sites was including six reference sites in Yeongsan River. Sampling of fish carried out standardized method for the purpos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vestigation from 2004 to 2007 at each season. Fifty-two species belonging six orders and fourteen families of fishes were identified during four years with fish monitoring at twelve sampling sites in Yeongsan River. Sixteen Korean endemic species (30.8%) were identified in fifty-two freshwater fishes. The identified fishes were as thirty-four species of Cypriniformes (65.4%), eight species of Perciformes (15.4%), six species of Siluriformes (11.5%), and three other species of fish (1.92%), those were distributed in Yeongsan River. Comparative favorable ichthyofauna was represented with diversity index (3.05), species evenness (0.77), and species richness (5.93) throughout this survey. Most data of ichthyofaunal analyses were applied to each item for evaluation of riparian ecosystem with species diversity, ecosystem structure, and habitat diversity at twelve sites in Yeongsan River. As the result of aggregate gathering, riparian disturbance was following directly after gathering. Ichthyofaunal disturbance was appeared directly after gathering also, however remarkable ichthyofaunal rehabilitation was represented two years later at some sites(St1, St3, St6). Valuable data of ichthyofaunal ecology could be output with writing detail field note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evaluation of riparian ecosystem. But it should be consider assess other factors of stream ecosystem to improve confidence.
Fish occupied not only being to higher pyramid level but also rolling as an indicator organism in watershed ecosystem. It was valuable thing using indicators for qualification and quantification raising with convenience and confidence to evaluate in watershed ecosystem. Aggregate gathering is one of artificial factor in the stream of disturbance. Aggregate gathering had caused the change of direct stream structure, ground settlement, river bed granulation, and lateral instability in the stream environment. This study was achieved by aggregate gathering with hypothetical disturbance appeared in Yeongsan River. The change of ichthyofaunal aspects was result of analyses of ecological monitoring during aggregate gathering in Yeongsan River.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applying to comparative evaluating method with ichthyofaunal data at the stream ecosystem which was made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inistry of Environment each other. Probably, the rehabilitation of stream would be comparing locations, opportunity, and method of ecological evaluation estimated. An assessment system in stream ecosystem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was comparative ichthyofaunal scoring method that managed with details of the species diversity, the ecosystem structure, and the habitat diversity in major characteristics of fish biology. Twelve sampling sites was including six reference sites in Yeongsan River. Sampling of fish carried out standardized method for the purpos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vestigation from 2004 to 2007 at each season. Fifty-two species belonging six orders and fourteen families of fishes were identified during four years with fish monitoring at twelve sampling sites in Yeongsan River. Sixteen Korean endemic species (30.8%) were identified in fifty-two freshwater fishes. The identified fishes were as thirty-four species of Cypriniformes (65.4%), eight species of Perciformes (15.4%), six species of Siluriformes (11.5%), and three other species of fish (1.92%), those were distributed in Yeongsan River. Comparative favorable ichthyofauna was represented with diversity index (3.05), species evenness (0.77), and species richness (5.93) throughout this survey. Most data of ichthyofaunal analyses were applied to each item for evaluation of riparian ecosystem with species diversity, ecosystem structure, and habitat diversity at twelve sites in Yeongsan River. As the result of aggregate gathering, riparian disturbance was following directly after gathering. Ichthyofaunal disturbance was appeared directly after gathering also, however remarkable ichthyofaunal rehabilitation was represented two years later at some sites(St1, St3, St6). Valuable data of ichthyofaunal ecology could be output with writing detail field note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evaluation of riparian ecosystem. But it should be consider assess other factors of stream ecosystem to improve confide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