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병원 내원환자의 구강보건관리지식,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경기북부 일대 군병원 내원환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일대 군병원에 내원하는 입원환자와 외래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배부된 총 200부의 설문지 중 182부가 회수되어 91%의 회수율을 보였다.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자료처리가 불가능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8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조사기간은 2008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20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우식증, ...
군병원 내원환자의 구강보건관리지식,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경기북부 일대 군병원 내원환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일대 군병원에 내원하는 입원환자와 외래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배부된 총 200부의 설문지 중 182부가 회수되어 91%의 회수율을 보였다.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자료처리가 불가능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8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조사기간은 2008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20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보건관리 인식 및 지식수준을 조사한 결과, 치아우식증 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18.733점으로 나타났고, 치주질환 예방에 대한 인식은 25점 만점에 19.272점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관리 지식은 30점 만점에 25.305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관심·교육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를 살펴보면, 관심정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 (P=0.0083)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는 통계적 (P=0.5425)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보건관리를 위한 교육을 받았다면 그 주기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 (P=0.1454)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의 필요성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 (P=0.5752)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강보건관리 인식·지식정도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치아우식증 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평균 19.188점, 보통이다 평균 18.210점, 건강하다 평균 18.971점으로 나타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의 인식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주질환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평균 19.420점, 보통이다 평균 19.026, 건강하다 평균 19.514점으로 나타나 치주질환 예방효과의 인식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지식에 대해서는, 30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평균 25.333점, 보통이다 25.052점, 건강하다 평균 25.800점으로 나타나 구강보건 인식 및 지식정도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관심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록 개인의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행위와 건강상태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보건관리는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실천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가 및 군(軍)에서의 최상의 전투력을 유지하고 발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병들의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강보건 사업이 주요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특히 군(軍)의 구강보건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의무분야 관계자와 일선부대 지휘관들이 그 중요성을 인지하여 적극적으로 구강보건관리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경기북부지역 일대 군병원을 대상으로 임의 추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군장병 전반에게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군병원 내원환자의 구강보건관리지식,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경기북부 일대 군병원 내원환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일대 군병원에 내원하는 입원환자와 외래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배부된 총 200부의 설문지 중 182부가 회수되어 91%의 회수율을 보였다.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자료처리가 불가능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8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조사기간은 2008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20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보건관리 인식 및 지식수준을 조사한 결과, 치아우식증 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18.733점으로 나타났고, 치주질환 예방에 대한 인식은 25점 만점에 19.272점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관리 지식은 30점 만점에 25.305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관심·교육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를 살펴보면, 관심정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 (P=0.0083)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는 통계적 (P=0.5425)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보건관리를 위한 교육을 받았다면 그 주기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 (P=0.1454)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의 필요성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 (P=0.5752)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강보건관리 인식·지식정도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치아우식증 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평균 19.188점, 보통이다 평균 18.210점, 건강하다 평균 18.971점으로 나타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의 인식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주질환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평균 19.420점, 보통이다 평균 19.026, 건강하다 평균 19.514점으로 나타나 치주질환 예방효과의 인식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지식에 대해서는, 30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평균 25.333점, 보통이다 25.052점, 건강하다 평균 25.800점으로 나타나 구강보건 인식 및 지식정도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관심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록 개인의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행위와 건강상태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보건관리는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실천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가 및 군(軍)에서의 최상의 전투력을 유지하고 발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병들의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강보건 사업이 주요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특히 군(軍)의 구강보건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의무분야 관계자와 일선부대 지휘관들이 그 중요성을 인지하여 적극적으로 구강보건관리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 및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경기북부지역 일대 군병원을 대상으로 임의 추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군장병 전반에게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A Study on Oral Health and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Behavior of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 Focused on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around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Jin-Young Byun Dept. of Or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Gachon University of Medic...
A Study on Oral Health and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Behavior of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 Focused on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around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Jin-Young Byun Dept. of Or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 Science Directed by Prof. : Hwa-Jeong Seo, Ph.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outpatients and inpatients of military hospitals around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182 questionnaires in 200 copies were returned, which meant that the return rate was 91%. 1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because 2 questionnaires included untrustful responses. The questionnaires were filled by the subjects for 20 days from Dec. 1, 2008 to Dec. 20, 2008.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examination on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n the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health care,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was 18.733 points in 25 full points. That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was 91.272 in 25 full points and knowledge on the oral health care was 25.305 points in 30 full points. Second, for the examination on the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interest and education related to oral health care, the interest and oral health statu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P=0.0083). The oral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subjects taking the education on oral health care, the oral health status and the cycle of education didn't demonst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P=0.1454).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necessity of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752). Thir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awareness and knowledge on oral health care, for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the answer "Not healthy" was 19.188 points, the answer "Average" 18.210 points and the answer "Healthy" 18.971 points. Accordingly,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the oral health status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case of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answer "Not healthy" was 19.420 points in 25 full points, the answer "Average" 19.026 points and the answer "Healthy" 19.514 points. It also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knowledge on oral health, the answer "Not healthy" was 25.333 points in 30 full points, the answer "Average" 25.052 points and the answer "Healthy" 25.800 point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n the oral health and the oral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interest on the education and oral health care was, the better the behavior for oral health care and oral health status were. As a result, the oral health care is essential for each individual to keep good health status. For keeping and deploying the best fighting power in the military and the country, the oral health program shall be pushed ahead as the key project to keep the good oral status of soldiers. To this end, it is required for the medical officers in charge of oral health care in the military and commanders in military uni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care and to set up and implement the long-term plan for oral health care.
A Study on Oral Health and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Behavior of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 Focused on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around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Jin-Young Byun Dept. of Or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 Science Directed by Prof. : Hwa-Jeong Seo, Ph.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outpatients and inpatients of military hospitals around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182 questionnaires in 200 copies were returned, which meant that the return rate was 91%. 1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because 2 questionnaires included untrustful responses. The questionnaires were filled by the subjects for 20 days from Dec. 1, 2008 to Dec. 20, 2008.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examination on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n the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health care,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was 18.733 points in 25 full points. That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was 91.272 in 25 full points and knowledge on the oral health care was 25.305 points in 30 full points. Second, for the examination on the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interest and education related to oral health care, the interest and oral health statu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P=0.0083). The oral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subjects taking the education on oral health care, the oral health status and the cycle of education didn't demonst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P=0.1454).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necessity of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752). Thir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awareness and knowledge on oral health care, for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the answer "Not healthy" was 19.188 points, the answer "Average" 18.210 points and the answer "Healthy" 18.971 points. Accordingly,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the oral health status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case of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answer "Not healthy" was 19.420 points in 25 full points, the answer "Average" 19.026 points and the answer "Healthy" 19.514 points. It also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knowledge on oral health, the answer "Not healthy" was 25.333 points in 30 full points, the answer "Average" 25.052 points and the answer "Healthy" 25.800 point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n the oral health and the oral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interest on the education and oral health care was, the better the behavior for oral health care and oral health status were. As a result, the oral health care is essential for each individual to keep good health status. For keeping and deploying the best fighting power in the military and the country, the oral health program shall be pushed ahead as the key project to keep the good oral status of soldiers. To this end, it is required for the medical officers in charge of oral health care in the military and commanders in military uni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care and to set up and implement the long-term plan for oral health ca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