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영유아보육법이 만들어진 후, 보육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우리사회에서는 사회의 변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으로 영유아에게 교육과 보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보육기관을 요구하였다. 보육서비스는 그 본질적 기능에서 보호와 교육의 두 가지 기능을 이중적으로 담당해야 하는 당사자는 보육교사이다. 최근 보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저출산의 문제해결 등으로 보육시설에 입소하는 영유아들의 보육료 지원 확대와 새로운 보육정책들이 실시되고는 있지만 영유아법 개정에 따르는 평가인증 시설의 도입과 2009년 서울시에서 획기적인 서울형 보육시설 제도의 변화는 고스란히 보육시설에서 운영하는 원장들의 어려움으로 반영되고 있다. 이러한 보육의 변화는 아동중심, 수요자중심, 여성중심으로 요구되는 만큼 보육의 책임을 국가와 사회가 함께 책임지는 보육서비스로 개선이 되고 있으며, 영유아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들의 자질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은평구 보육사업은 양적인 면에서 크게 발전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차원에서도 많은 변화와 발전이 보이고 있다. 2009년10월 현재 전체의 보육시설이 279개소에서 평가인증시설이 108개소, 서울형 시설이 60개소 로 늘어나고 있다.(은평구청. 2009) 이러한 현상은 보육서비스와 ...
1990년 영유아보육법이 만들어진 후, 보육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우리사회에서는 사회의 변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으로 영유아에게 교육과 보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보육기관을 요구하였다. 보육서비스는 그 본질적 기능에서 보호와 교육의 두 가지 기능을 이중적으로 담당해야 하는 당사자는 보육교사이다. 최근 보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저출산의 문제해결 등으로 보육시설에 입소하는 영유아들의 보육료 지원 확대와 새로운 보육정책들이 실시되고는 있지만 영유아법 개정에 따르는 평가인증 시설의 도입과 2009년 서울시에서 획기적인 서울형 보육시설 제도의 변화는 고스란히 보육시설에서 운영하는 원장들의 어려움으로 반영되고 있다. 이러한 보육의 변화는 아동중심, 수요자중심, 여성중심으로 요구되는 만큼 보육의 책임을 국가와 사회가 함께 책임지는 보육서비스로 개선이 되고 있으며, 영유아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들의 자질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은평구 보육사업은 양적인 면에서 크게 발전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차원에서도 많은 변화와 발전이 보이고 있다. 2009년10월 현재 전체의 보육시설이 279개소에서 평가인증시설이 108개소, 서울형 시설이 60개소 로 늘어나고 있다.(은평구청. 2009) 이러한 현상은 보육서비스와 지역사회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도 볼 수 있다. 평가인증과 서울형 시설의 심의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각자 보육시설에서 자발적 노력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이 향상 된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은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 보육교사 전문적 자질향상을 위한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 연구대상과 조사대상 지역이 대부분 수도권이었으며, 보육시설의 유형별로 조사된 논문이었다. 또한 여러 논문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자질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의 근무여건이 제기 되고 있다. 과거보다는 근무여건과 환경이 많이 개선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이어지는 논란은 의문스러운 부분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은평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보육교사들의 직업적 자질향상과 관련된 문제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특히 원장과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자 하였으며, 평가인증시설과 미인증 시설에 근무하는 연구 대상자의 인식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사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여 교사교육에 반영 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 보육교사 전문적 자질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결정적으로 보육교사의 우선시 되는 자격조건으로 교사의 자질을 확인하였으며, 근무여건, 교사의 노력, 보수교육, 학제, 급여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근무여건이 원장보다 교사의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인증 시설에 근무하는 조사대상자가 미인증 시설에 근무하는 대상자보다 근무여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여건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으나 교사대아동비율과 근무시간 등은 현재 준수해졌으며, 교사 급여도 다른 직업보다는 적은보수이지만 과거에 비교하면 많이 향상되었다고 본다. 그 외 다른 근무여건의 문제는 보육교사 개인적 자질하고 관련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보육시설에서의 교사에 대한 대우 및 관리등 제반사항이 과거보다는 많은 개선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이어지는 근무여건의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육정책제도에 있어서 민간시설이 국공립시설과 격차 없이 동일해졌을 때 교사의 급여수준이나 처우가 인상되고, 좋은 대우와 인정을 받을 수 있으며, 연구비 지원 등으로 보육교사의 자질이 향상 될 것이며, 영유아들에게 효율적인 보육과 교육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1990년 영유아보육법이 만들어진 후, 보육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우리사회에서는 사회의 변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으로 영유아에게 교육과 보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보육기관을 요구하였다. 보육서비스는 그 본질적 기능에서 보호와 교육의 두 가지 기능을 이중적으로 담당해야 하는 당사자는 보육교사이다. 최근 보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저출산의 문제해결 등으로 보육시설에 입소하는 영유아들의 보육료 지원 확대와 새로운 보육정책들이 실시되고는 있지만 영유아법 개정에 따르는 평가인증 시설의 도입과 2009년 서울시에서 획기적인 서울형 보육시설 제도의 변화는 고스란히 보육시설에서 운영하는 원장들의 어려움으로 반영되고 있다. 이러한 보육의 변화는 아동중심, 수요자중심, 여성중심으로 요구되는 만큼 보육의 책임을 국가와 사회가 함께 책임지는 보육서비스로 개선이 되고 있으며, 영유아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들의 자질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은평구 보육사업은 양적인 면에서 크게 발전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차원에서도 많은 변화와 발전이 보이고 있다. 2009년10월 현재 전체의 보육시설이 279개소에서 평가인증시설이 108개소, 서울형 시설이 60개소 로 늘어나고 있다.(은평구청. 2009) 이러한 현상은 보육서비스와 지역사회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도 볼 수 있다. 평가인증과 서울형 시설의 심의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각자 보육시설에서 자발적 노력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이 향상 된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은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 보육교사 전문적 자질향상을 위한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 연구대상과 조사대상 지역이 대부분 수도권이었으며, 보육시설의 유형별로 조사된 논문이었다. 또한 여러 논문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자질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의 근무여건이 제기 되고 있다. 과거보다는 근무여건과 환경이 많이 개선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이어지는 논란은 의문스러운 부분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은평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보육교사들의 직업적 자질향상과 관련된 문제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특히 원장과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자 하였으며, 평가인증시설과 미인증 시설에 근무하는 연구 대상자의 인식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사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여 교사교육에 반영 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 보육교사 전문적 자질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결정적으로 보육교사의 우선시 되는 자격조건으로 교사의 자질을 확인하였으며, 근무여건, 교사의 노력, 보수교육, 학제, 급여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근무여건이 원장보다 교사의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인증 시설에 근무하는 조사대상자가 미인증 시설에 근무하는 대상자보다 근무여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여건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으나 교사대아동비율과 근무시간 등은 현재 준수해졌으며, 교사 급여도 다른 직업보다는 적은보수이지만 과거에 비교하면 많이 향상되었다고 본다. 그 외 다른 근무여건의 문제는 보육교사 개인적 자질하고 관련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보육시설에서의 교사에 대한 대우 및 관리등 제반사항이 과거보다는 많은 개선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이어지는 근무여건의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육정책제도에 있어서 민간시설이 국공립시설과 격차 없이 동일해졌을 때 교사의 급여수준이나 처우가 인상되고, 좋은 대우와 인정을 받을 수 있으며, 연구비 지원 등으로 보육교사의 자질이 향상 될 것이며, 영유아들에게 효율적인 보육과 교육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importance of childcare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more and more in Korea, The problem how to improv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in kindgartens has become a primary concern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major variables related to the improvement t...
As the importance of childcare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more and more in Korea, The problem how to improv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in kindgartens has become a primary concern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major variables related to the improvement task for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quality through college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on the job. The method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mail questionaire which surveys 160 kindgarten teachers including 40 directors of childcare facilities. For the survey Eunpyung-gu area was selected because this region is the most standard residence area of the common people in Seoul. The result is as follows. For the teachers in general the variable, working conditions such as reward, working hours and working loads has the most important and strong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nal quality while directors and senior(career) teachers indicate that trining efforts through research and workshop on the job is more direct and important factors for the problem. Other findings ar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kindgartens(including preschool facilities) and private ones. Als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licenced facilities and unauthorized centers. This study, however, treats only limited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s. Thus, some more comprehensive and further researches are recommended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As the importance of childcare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more and more in Korea, The problem how to improv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in kindgartens has become a primary concern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major variables related to the improvement task for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quality through college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on the job. The method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mail questionaire which surveys 160 kindgarten teachers including 40 directors of childcare facilities. For the survey Eunpyung-gu area was selected because this region is the most standard residence area of the common people in Seoul. The result is as follows. For the teachers in general the variable, working conditions such as reward, working hours and working loads has the most important and strong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nal quality while directors and senior(career) teachers indicate that trining efforts through research and workshop on the job is more direct and important factors for the problem. Other findings ar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kindgartens(including preschool facilities) and private ones. Als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licenced facilities and unauthorized centers. This study, however, treats only limited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s. Thus, some more comprehensive and further researches are recommended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