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력 및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king Dragster Woodenwar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Flow원문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력 및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력과 학습 몰입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에 창의력 검사, 학습 몰입 검사를 실시하는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 6학년 중 총 62명의 학생들을 최종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수하였으며, 비교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기존의 실과 ‘목제품 만들기’ 수업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은 2009년 10월 22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 1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창의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춘일(1999)이 제작한 ‘어린이 창의력 검사’를 활용하였고 학습 몰입 검사는 Jackson과 Marsh(1996)가 개발한 ‘몰입 상태 척도(Flow State Scale : ...
이 연구의 목적은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력 및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력과 학습 몰입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에 창의력 검사, 학습 몰입 검사를 실시하는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 6학년 중 총 62명의 학생들을 최종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수하였으며, 비교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기존의 실과 ‘목제품 만들기’ 수업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은 2009년 10월 22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 1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창의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춘일(1999)이 제작한 ‘어린이 창의력 검사’를 활용하였고 학습 몰입 검사는 Jackson과 Marsh(1996)가 개발한 ‘몰입 상태 척도(Flow State Scale : FSS)’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얻어진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창의력 향상과 학습 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값을 t-검증으로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창의력을 길러주는데 대체적으로 효과적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실시한 사전·사후 검사의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창의력의 하위영역인 정교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나머지 하위영역인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과 전체 총점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창의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실과 ‘목제품 만들기’ 단원에서는 선반이나 메모판과 같이 간단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활동을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창의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실질적인 과정은 구상도 그리기 단계 정도이다. 그에 반해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은 빠른 속도를 내는 대상을 나열하고 그들 간의 공통점을 찾아보며, 속도와 관련된 과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드래그스터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상한다. 또한 설계와 가공 후 모의주행을 거쳐 드래그스터의 디자인에 대한 아이디어를 재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며 드래그스터를 채색하는 과정 중에도 색과 디자인에 대한 아이디어를 고민하게 된다. 이처럼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구체화하고 재검토하는 과정이 수업 전 과정에 걸쳐 계속 되기 때문에 실험집단의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 몰입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경우 9개의 몰입의 차원 모두에서 평균 3.21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 실시한 학습몰입도 검사의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행위와 인식의 통합, 명확한 목표, 시간 감각 왜곡, 자기 목적적 경험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체 문항에 대한 평균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유익한 학습 활동으로 작용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모든 학생들이 비슷한 형태의 제품을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창의적인 사고를 십분 발휘하여 빠른 속도로 경주할 수 있는 드래그스터를 완성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호기심과 집중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학생들이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동안에 기존의 수업 시간을 훌쩍 넘기고도 활동을 그치지 않는 몰입 상황을 보였으며, 이번 프로그램은 최종 경주라는 경험 자체가 목적이 되어 즐거움을 느끼는 내적 보상을 수반한 몰입의 양상을 보인것도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원과 교수-학습 상황에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충분한 논의를 거쳐 프로그램을 보다 정교하게 개선해 나가려는 현장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적극적인 자세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밖으로 끌어내고 그것을 다듬어가는 과정이 중요하므로 교사가 다양한 정보와 참고 자료 등을 충분히 준비하여 학생들의 사고가 활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자극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창의적 사고의 발현을 유도해주어야 한다. 또한 활동이 많은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상 장소 선정과 물품의 구비에 있어서 교사의 적극성이 요구되는 바이며, 단기간에 일회적으로 프로그램을 끝내는 것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여러 차례 프로그램을 진행해보는 것도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과정이 되리라 생각된다. 셋째, 이
이 연구의 목적은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력 및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력과 학습 몰입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에 창의력 검사, 학습 몰입 검사를 실시하는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 6학년 중 총 62명의 학생들을 최종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수하였으며, 비교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기존의 실과 ‘목제품 만들기’ 수업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은 2009년 10월 22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 1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창의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춘일(1999)이 제작한 ‘어린이 창의력 검사’를 활용하였고 학습 몰입 검사는 Jackson과 Marsh(1996)가 개발한 ‘몰입 상태 척도(Flow State Scale : FSS)’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얻어진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창의력 향상과 학습 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값을 t-검증으로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창의력을 길러주는데 대체적으로 효과적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실시한 사전·사후 검사의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창의력의 하위영역인 정교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나머지 하위영역인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과 전체 총점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창의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실과 ‘목제품 만들기’ 단원에서는 선반이나 메모판과 같이 간단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활동을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창의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실질적인 과정은 구상도 그리기 단계 정도이다. 그에 반해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은 빠른 속도를 내는 대상을 나열하고 그들 간의 공통점을 찾아보며, 속도와 관련된 과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드래그스터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상한다. 또한 설계와 가공 후 모의주행을 거쳐 드래그스터의 디자인에 대한 아이디어를 재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며 드래그스터를 채색하는 과정 중에도 색과 디자인에 대한 아이디어를 고민하게 된다. 이처럼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구체화하고 재검토하는 과정이 수업 전 과정에 걸쳐 계속 되기 때문에 실험집단의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 몰입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경우 9개의 몰입의 차원 모두에서 평균 3.21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 실시한 학습몰입도 검사의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행위와 인식의 통합, 명확한 목표, 시간 감각 왜곡, 자기 목적적 경험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체 문항에 대한 평균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유익한 학습 활동으로 작용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모든 학생들이 비슷한 형태의 제품을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창의적인 사고를 십분 발휘하여 빠른 속도로 경주할 수 있는 드래그스터를 완성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호기심과 집중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학생들이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동안에 기존의 수업 시간을 훌쩍 넘기고도 활동을 그치지 않는 몰입 상황을 보였으며, 이번 프로그램은 최종 경주라는 경험 자체가 목적이 되어 즐거움을 느끼는 내적 보상을 수반한 몰입의 양상을 보인것도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드래그스터 목제품 만들기’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원과 교수-학습 상황에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충분한 논의를 거쳐 프로그램을 보다 정교하게 개선해 나가려는 현장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적극적인 자세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밖으로 끌어내고 그것을 다듬어가는 과정이 중요하므로 교사가 다양한 정보와 참고 자료 등을 충분히 준비하여 학생들의 사고가 활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자극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창의적 사고의 발현을 유도해주어야 한다. 또한 활동이 많은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상 장소 선정과 물품의 구비에 있어서 교사의 적극성이 요구되는 바이며, 단기간에 일회적으로 프로그램을 끝내는 것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여러 차례 프로그램을 진행해보는 것도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과정이 되리라 생각된다. 셋째, 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to the clas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the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before 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to the clas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the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before and after comparison of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improvement, Sixty-two students in 6th grade were chosen from the 'G'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Chungcheogbuk-Do as a subject group. Thes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complete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group students took pre-existing program without applying dragst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10 times from October 22nd , 2009 to October 30th ,2009. 'Children Creativity Test Tool' by Kim Chun IL(1999) was used for evaluating students' creativity. And FSS (Flow State Scale) by Jackson and Marsh (1996) was used to check the concentration rat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treated by using SPSS 12.0 and T-test was performed to check students'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improvemen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which developed from this research was effective to advance the creativity in most cases. When performing T-test on the result of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concepts for creativity :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except for elaboration. The elaboration only has a little effect. Current practical course has ‘Making Woodenware Program’, however, it is only consisted with some of simple making programs such as making shelf or memorandum board but the effective course to advance the creativity for students is very few. On the other hand,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requests students to list the objects, to find out the common points, and freely design the dragster through the comprehension of scientific theory which related to velocity. Moreover, students can think of the various and creative idea though the stage of design, revision, painting dragster. This kind of courses to generate and materialize the idea and researching continuously progressed through the whole class, and therefore, it makes the meaningful effectiveness in terms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Secondly, the concentration rate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hat applied the newly developed program is exceedingly high. This experimental group obtained the high score 3.21 as an average in 9 contents of creativity subordinate concepts. And as the result of T-test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it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upon 1) Action-Awareness Merging, 2) Clear Goal, 3) Altered Sense of Time, 4) Autotelic Experience contents. Therefore, this new program is expectably instructiv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proved from the statistic analysis result in terms of whole contents. All of students show high level of curiosity and concentration in this class because this program is not only to make the similar type of products for all students but to design better and faster dragster by using their own creative thinking and effort. Actually, the students show the deepest concentration to attend this course even after the regular class finished because it has a goal for winning final racing and it mentally compensates themselves with pleasure.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would like to suggest for the adoption of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and related post study First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with regard to performance differences among a number of various age groups and also necessary to have an effort of educators to improve this program in actual class for promoting the perfection of this program. Secondly, to adopt this program in actual environment of education, the instructors need to approach with a long term perspective and positive attitude. The instructors have to prepare extensive range of various information and reference data to continuously expedite the active and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he instructors need to find proper location and materials to conduct this program, since it consists with the several dynamic activities. And also it is better not to finish only one time activity, but needs to proceed several times of consequently related programs with a long-time perspective. Thirdly, this research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n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of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 students’ ability to solve problem and make good decisions in post research by changing the dependant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to the clas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the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before and after comparison of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improvement, Sixty-two students in 6th grade were chosen from the 'G'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Chungcheogbuk-Do as a subject group. Thes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complete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group students took pre-existing program without applying dragst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10 times from October 22nd , 2009 to October 30th ,2009. 'Children Creativity Test Tool' by Kim Chun IL(1999) was used for evaluating students' creativity. And FSS (Flow State Scale) by Jackson and Marsh (1996) was used to check the concentration rat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treated by using SPSS 12.0 and T-test was performed to check students'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improvemen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which developed from this research was effective to advance the creativity in most cases. When performing T-test on the result of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concepts for creativity :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except for elaboration. The elaboration only has a little effect. Current practical course has ‘Making Woodenware Program’, however, it is only consisted with some of simple making programs such as making shelf or memorandum board but the effective course to advance the creativity for students is very few. On the other hand,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requests students to list the objects, to find out the common points, and freely design the dragster through the comprehension of scientific theory which related to velocity. Moreover, students can think of the various and creative idea though the stage of design, revision, painting dragster. This kind of courses to generate and materialize the idea and researching continuously progressed through the whole class, and therefore, it makes the meaningful effectiveness in terms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Secondly, the concentration rate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hat applied the newly developed program is exceedingly high. This experimental group obtained the high score 3.21 as an average in 9 contents of creativity subordinate concepts. And as the result of T-test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it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upon 1) Action-Awareness Merging, 2) Clear Goal, 3) Altered Sense of Time, 4) Autotelic Experience contents. Therefore, this new program is expectably instructiv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proved from the statistic analysis result in terms of whole contents. All of students show high level of curiosity and concentration in this class because this program is not only to make the similar type of products for all students but to design better and faster dragster by using their own creative thinking and effort. Actually, the students show the deepest concentration to attend this course even after the regular class finished because it has a goal for winning final racing and it mentally compensates themselves with pleasure.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would like to suggest for the adoption of 'Making Dagster Woodenware' program and related post study First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with regard to performance differences among a number of various age groups and also necessary to have an effort of educators to improve this program in actual class for promoting the perfection of this program. Secondly, to adopt this program in actual environment of education, the instructors need to approach with a long term perspective and positive attitude. The instructors have to prepare extensive range of various information and reference data to continuously expedite the active and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he instructors need to find proper location and materials to conduct this program, since it consists with the several dynamic activities. And also it is better not to finish only one time activity, but needs to proceed several times of consequently related programs with a long-time perspective. Thirdly, this research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n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of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 students’ ability to solve problem and make good decisions in post research by changing the dependant variabl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