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되면서 의료시설의 증가가 예상되며 그 중에서도 가장 피난에 취약한 노인요양병원인 소방대상물이 있다. 노인 부양 및 풍요로운 여가생활 해결과 함께 노인요양병원에 대한 안전 확보가 신속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로 부상되고 있다. 노인요양병원은 인지 및 행동장애를 갖고 있는 노인들이 이용하는 의료시설로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노인의 행동 특성과 신체 상태를 고려한 종합적인 피난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노인요양병원에서 피난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이유는 시설 이용자의 대부분이 중증의 치매 및 뇌졸중을 앓고 있는 환자이기 때문에 자력으로 피난이 곤란하며 환자의 보행상태(침대, 휠체어, 각종 보조기구 등)에 따라 피난시간이 천차만별로 이용자 전원을 피난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근무인원은 주간보다는 야간에 적고 야간에 화재 등 피난이 필요한 경우 대응이 어렵다. 또한 관리상 노인들의 외부출입을 통제하고 대부분의 개구부는 창살 등으로 조치되어 개구부의 효과가 낮아진다. 이런 사항을 감안하여 성능위주의 설계방법 중 하나인 피난 ...
앞으로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되면서 의료시설의 증가가 예상되며 그 중에서도 가장 피난에 취약한 노인요양병원인 소방대상물이 있다. 노인 부양 및 풍요로운 여가생활 해결과 함께 노인요양병원에 대한 안전 확보가 신속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로 부상되고 있다. 노인요양병원은 인지 및 행동장애를 갖고 있는 노인들이 이용하는 의료시설로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노인의 행동 특성과 신체 상태를 고려한 종합적인 피난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노인요양병원에서 피난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이유는 시설 이용자의 대부분이 중증의 치매 및 뇌졸중을 앓고 있는 환자이기 때문에 자력으로 피난이 곤란하며 환자의 보행상태(침대, 휠체어, 각종 보조기구 등)에 따라 피난시간이 천차만별로 이용자 전원을 피난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근무인원은 주간보다는 야간에 적고 야간에 화재 등 피난이 필요한 경우 대응이 어렵다. 또한 관리상 노인들의 외부출입을 통제하고 대부분의 개구부는 창살 등으로 조치되어 개구부의 효과가 낮아진다. 이런 사항을 감안하여 성능위주의 설계방법 중 하나인 피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노인요양병원의 피난시간을 예측하였다. 또한, 노인요양병원에 대한 여러 사항과 피난관련 법규 및 연구논문들을 검토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건축평면도, 병상 수, 환자 이용 상태 등 자료를 수집하여 피난 프로그램인 Simulex의 입력 자료로 사용하여 피난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검토과정 및 결과에서 몇 가지 문제되는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우리나라는 노인요양병원에서 환자의 피난형태에 따른 별도의 화재 및 피난 기준 설정이 없다. 2. 우리나라는 노인 환자 행동에 따른 피난특성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주로 환자용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층으로의 피난을 유도하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엘리베이터에 갇혀 인명피해가 발생하므로 별도의 피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3. 우리나라 노인요양병원은 건축 관계법령에서 경사로 설치에 대한 의무 규정이 없다. 4. 노인 환자의 안전한 피난성 확보를 위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많은 재실자의 피난 활동에 제약이 있고 대형 인명피해의 확대가 우려된다. 5.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본지침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축법령에는 노인요양병원에 경사로 설치 의무규정이 없으므로 휠체어, 침대를 이용한 노인환자의 피난로 확보를 위한 경사로 설치가 반영되어야 한다. 2) 수평으로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층별로 2개의 방화구획이 피난안전구역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3) 주간보호 및 야간보호에 따른 별도의 기준이 마련이 제시되어야 한다. 4) 노인요양병원 관계인들의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피난시나리오 교육을 통하여 피난시 환자의 대피 및 신속한 피난활동이 도모되어야 한다. 5) 보행속도가 빠른 환자는 상층으로, 느린 환자는 저층으로 재배치되어야 한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되면서 의료시설의 증가가 예상되며 그 중에서도 가장 피난에 취약한 노인요양병원인 소방대상물이 있다. 노인 부양 및 풍요로운 여가생활 해결과 함께 노인요양병원에 대한 안전 확보가 신속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로 부상되고 있다. 노인요양병원은 인지 및 행동장애를 갖고 있는 노인들이 이용하는 의료시설로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노인의 행동 특성과 신체 상태를 고려한 종합적인 피난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노인요양병원에서 피난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이유는 시설 이용자의 대부분이 중증의 치매 및 뇌졸중을 앓고 있는 환자이기 때문에 자력으로 피난이 곤란하며 환자의 보행상태(침대, 휠체어, 각종 보조기구 등)에 따라 피난시간이 천차만별로 이용자 전원을 피난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근무인원은 주간보다는 야간에 적고 야간에 화재 등 피난이 필요한 경우 대응이 어렵다. 또한 관리상 노인들의 외부출입을 통제하고 대부분의 개구부는 창살 등으로 조치되어 개구부의 효과가 낮아진다. 이런 사항을 감안하여 성능위주의 설계방법 중 하나인 피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노인요양병원의 피난시간을 예측하였다. 또한, 노인요양병원에 대한 여러 사항과 피난관련 법규 및 연구논문들을 검토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건축평면도, 병상 수, 환자 이용 상태 등 자료를 수집하여 피난 프로그램인 Simulex의 입력 자료로 사용하여 피난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검토과정 및 결과에서 몇 가지 문제되는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우리나라는 노인요양병원에서 환자의 피난형태에 따른 별도의 화재 및 피난 기준 설정이 없다. 2. 우리나라는 노인 환자 행동에 따른 피난특성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주로 환자용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층으로의 피난을 유도하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엘리베이터에 갇혀 인명피해가 발생하므로 별도의 피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3. 우리나라 노인요양병원은 건축 관계법령에서 경사로 설치에 대한 의무 규정이 없다. 4. 노인 환자의 안전한 피난성 확보를 위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많은 재실자의 피난 활동에 제약이 있고 대형 인명피해의 확대가 우려된다. 5.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본지침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축법령에는 노인요양병원에 경사로 설치 의무규정이 없으므로 휠체어, 침대를 이용한 노인환자의 피난로 확보를 위한 경사로 설치가 반영되어야 한다. 2) 수평으로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층별로 2개의 방화구획이 피난안전구역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3) 주간보호 및 야간보호에 따른 별도의 기준이 마련이 제시되어야 한다. 4) 노인요양병원 관계인들의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피난시나리오 교육을 통하여 피난시 환자의 대피 및 신속한 피난활동이 도모되어야 한다. 5) 보행속도가 빠른 환자는 상층으로, 느린 환자는 저층으로 재배치되어야 한다.
With our nation developing from an aging society to a more advanced aging society, there exists the most fragile subject when coming to the topic of fire evacuation- Aged care hospital. With support for the aged and rich leisure life as a solution, the safety improvement within the facilities is bec...
With our nation developing from an aging society to a more advanced aging society, there exists the most fragile subject when coming to the topic of fire evacuation- Aged care hospital. With support for the aged and rich leisure life as a solution, the safety improvement within the facilities is becoming an issue to be rapidly solved by the society. The Aged care hospital is used by the aged suffering from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so considering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there should be a co-ordinated evacuation plan in cases of emergencies such as fire. The aged care hospital is principally disadvantaged in evacuations, with most facility users suffering from serious dementia and stroke, due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aged cannot use their own strength to move, and it is very difficult to evacuate every person as each patient has different moving conditions (beds, wheelchairs, moving support). The number of night-shift workers are especially less than compared to day-shift workers, meaning that, in case of fire during the night it will become difficult to correspond with the evacuation plan. Also, according to the management, entering and exiting is controlled, and with most openings having iron bars, the efficiency of openings is very low. Considering these matters, evacuation simulation was used as one of the planning method for efficiency performance, and estimated the time evacuating the aged care hospital. In addition, a number of conditions, evacuation-related legislations and researches on the aged care hospital was examined, by visiting the scene the ground plan, number of beds, conditions of patient uses and other information were gathered and put into Simulex, an evacuation program, to estimate the evacuation time. During examination and conclusion stage of this study, some errors were found. 1. Our nation’s aged care hospital do not have any standard strategies planned in cases of fire and evacuations, for every patients’ different method of evacuation. 2. Our nation has no distinctive evacuation regulations prepared, depending on the patient’s actions. The ‘patient-use’ elevator is mainly used to lead to safety, but in case of fire there may be casualties if people become trapped in the elevators, so there should be a demand for a different strategy. 3. Our nation’s aged care hospital,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related legislations, have no regulations about the establishment of ramps. 4. There are no basic indication towards a safe evacuation for the aged, so it is a worry that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increase in evacuating action restrictions and casualties. 5. For these concerns, there is a demand for the following improvement ideas. 1) There should be no establishments of ramps at the hospital within the construction-related regulation, for more evacuation ways of aged patients using wheelchairs and beds which should the ramps be reflected upon. 2) In order to evacuate on a levelled ground, there should be two fireproof evacuation areas on each level. 3) Through many research investigations, there should be a demand of separate preparations depending on day and night shift workers. 4) With repeated evacuation scenario education, the workers of the aged care hospital should devise patient’s evacuation and rapid evacuation actions in case of emergency. 5) Patients with fast movement speed should be put onto the upper floor, and patients with more restricted movement should be repositioned on the lower floor.
With our nation developing from an aging society to a more advanced aging society, there exists the most fragile subject when coming to the topic of fire evacuation- Aged care hospital. With support for the aged and rich leisure life as a solution, the safety improvement within the facilities is becoming an issue to be rapidly solved by the society. The Aged care hospital is used by the aged suffering from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so considering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there should be a co-ordinated evacuation plan in cases of emergencies such as fire. The aged care hospital is principally disadvantaged in evacuations, with most facility users suffering from serious dementia and stroke, due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aged cannot use their own strength to move, and it is very difficult to evacuate every person as each patient has different moving conditions (beds, wheelchairs, moving support). The number of night-shift workers are especially less than compared to day-shift workers, meaning that, in case of fire during the night it will become difficult to correspond with the evacuation plan. Also, according to the management, entering and exiting is controlled, and with most openings having iron bars, the efficiency of openings is very low. Considering these matters, evacuation simulation was used as one of the planning method for efficiency performance, and estimated the time evacuating the aged care hospital. In addition, a number of conditions, evacuation-related legislations and researches on the aged care hospital was examined, by visiting the scene the ground plan, number of beds, conditions of patient uses and other information were gathered and put into Simulex, an evacuation program, to estimate the evacuation time. During examination and conclusion stage of this study, some errors were found. 1. Our nation’s aged care hospital do not have any standard strategies planned in cases of fire and evacuations, for every patients’ different method of evacuation. 2. Our nation has no distinctive evacuation regulations prepared, depending on the patient’s actions. The ‘patient-use’ elevator is mainly used to lead to safety, but in case of fire there may be casualties if people become trapped in the elevators, so there should be a demand for a different strategy. 3. Our nation’s aged care hospital,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related legislations, have no regulations about the establishment of ramps. 4. There are no basic indication towards a safe evacuation for the aged, so it is a worry that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increase in evacuating action restrictions and casualties. 5. For these concerns, there is a demand for the following improvement ideas. 1) There should be no establishments of ramps at the hospital within the construction-related regulation, for more evacuation ways of aged patients using wheelchairs and beds which should the ramps be reflected upon. 2) In order to evacuate on a levelled ground, there should be two fireproof evacuation areas on each level. 3) Through many research investigations, there should be a demand of separate preparations depending on day and night shift workers. 4) With repeated evacuation scenario education, the workers of the aged care hospital should devise patient’s evacuation and rapid evacuation actions in case of emergency. 5) Patients with fast movement speed should be put onto the upper floor, and patients with more restricted movement should be repositioned on the lower floo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