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요약 영화자료 분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분류표와 영화전문자료실의 영화 관련 자료의 분류체계를 살펴보고, 영화전문자료실 분류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문헌연구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영화자료의 의의와 종류, 영화자료의 특성 및 일반자료 분류법의 영화자료 분류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영화전문자료실을 직접 방문하여 실무자와 면담한 후 분류체계를 비교하고, 영화자료 분류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DDC는 보조표와 지시사항을 통하여 영화분야 전반에 걸친 상세한 분류가 가능하고 상관색인이 있어서 영화와 관련 있는 타 분야의 분류현황을 알 수 있으나, 감독과 배우 등 인물을 분류할 경우 사람을 나타내는 형식구분을 해줌으로써 오히려 분류번호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 KDC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한국의 표준분류표이지만 DDC처럼 보조표가 없고 지시사항도 정교하지 않으며 전개항목의 내용이 매우 미흡하여 항목을 좀 더 전개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LCC는 영화를 문학 분야에 배정하여 분류하고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표기하였으며, 영화촬영술과 영화촬영에 필요한 각종 기기를 사진 분야에서 상세 분류하고 일반저작의 하위항목인 특수주제에서는 무려 83개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었다. 시나리오는 영화분야에 배정되었고 만화영화대본과 번안 또는 개작한 시나리오까지 세분류되었다. DDC와 KDC에 비해 항목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어서 영화분야 분류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우리나라에는 영상자료원 영상자료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자료실, 아리랑정보도서관 영화정보실 등 세 곳의 영화전문자료실이 있다. 영상자료실과 영화자료실은 각각 자관의 특성에 적합하게 고안한 분류표를 사용하고 있고 영화정보실은 KDC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영화전문자료실에 적합한 분류체계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 첫째, 우리나라 영화전문자료실의 분류 개선안이므로 ...
국문요약 영화자료 분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분류표와 영화전문자료실의 영화 관련 자료의 분류체계를 살펴보고, 영화전문자료실 분류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문헌연구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영화자료의 의의와 종류, 영화자료의 특성 및 일반자료 분류법의 영화자료 분류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영화전문자료실을 직접 방문하여 실무자와 면담한 후 분류체계를 비교하고, 영화자료 분류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DDC는 보조표와 지시사항을 통하여 영화분야 전반에 걸친 상세한 분류가 가능하고 상관색인이 있어서 영화와 관련 있는 타 분야의 분류현황을 알 수 있으나, 감독과 배우 등 인물을 분류할 경우 사람을 나타내는 형식구분을 해줌으로써 오히려 분류번호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 KDC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한국의 표준분류표이지만 DDC처럼 보조표가 없고 지시사항도 정교하지 않으며 전개항목의 내용이 매우 미흡하여 항목을 좀 더 전개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LCC는 영화를 문학 분야에 배정하여 분류하고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표기하였으며, 영화촬영술과 영화촬영에 필요한 각종 기기를 사진 분야에서 상세 분류하고 일반저작의 하위항목인 특수주제에서는 무려 83개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었다. 시나리오는 영화분야에 배정되었고 만화영화대본과 번안 또는 개작한 시나리오까지 세분류되었다. DDC와 KDC에 비해 항목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어서 영화분야 분류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우리나라에는 영상자료원 영상자료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자료실, 아리랑정보도서관 영화정보실 등 세 곳의 영화전문자료실이 있다. 영상자료실과 영화자료실은 각각 자관의 특성에 적합하게 고안한 분류표를 사용하고 있고 영화정보실은 KDC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영화전문자료실에 적합한 분류체계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 첫째, 우리나라 영화전문자료실의 분류 개선안이므로 한국영화를 총류 다음에 배정하였다. 한국영화 안에 한국영화사, 한국영화인물, 한국영화 연구⦁비평, Korean Cinema, 영상관련 기관 발간도서, 국내 영화제, 국제영화제 등 국내 영화 관련 7개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각종 영화제를 포함시켜서 해외영화제, 국내영화제,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영화제 등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각국의 영화에서는 일본영화와 중국영화, 아시아권 영화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영화인물을 별도로 배정하여 국내 영화인물과 구별하였고, 시나리오는 서명의 가나다순으로 별치하여 분류⦁정리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영화관련 실물자료는 매체 약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DVD 분류는 영화자료실의 분류표를 적용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문요약 영화자료 분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분류표와 영화전문자료실의 영화 관련 자료의 분류체계를 살펴보고, 영화전문자료실 분류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문헌연구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영화자료의 의의와 종류, 영화자료의 특성 및 일반자료 분류법의 영화자료 분류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영화전문자료실을 직접 방문하여 실무자와 면담한 후 분류체계를 비교하고, 영화자료 분류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DDC는 보조표와 지시사항을 통하여 영화분야 전반에 걸친 상세한 분류가 가능하고 상관색인이 있어서 영화와 관련 있는 타 분야의 분류현황을 알 수 있으나, 감독과 배우 등 인물을 분류할 경우 사람을 나타내는 형식구분을 해줌으로써 오히려 분류번호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 KDC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한국의 표준분류표이지만 DDC처럼 보조표가 없고 지시사항도 정교하지 않으며 전개항목의 내용이 매우 미흡하여 항목을 좀 더 전개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LCC는 영화를 문학 분야에 배정하여 분류하고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표기하였으며, 영화촬영술과 영화촬영에 필요한 각종 기기를 사진 분야에서 상세 분류하고 일반저작의 하위항목인 특수주제에서는 무려 83개 항목으로 세분하고 있었다. 시나리오는 영화분야에 배정되었고 만화영화대본과 번안 또는 개작한 시나리오까지 세분류되었다. DDC와 KDC에 비해 항목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어서 영화분야 분류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우리나라에는 영상자료원 영상자료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자료실, 아리랑정보도서관 영화정보실 등 세 곳의 영화전문자료실이 있다. 영상자료실과 영화자료실은 각각 자관의 특성에 적합하게 고안한 분류표를 사용하고 있고 영화정보실은 KDC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영화전문자료실에 적합한 분류체계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 첫째, 우리나라 영화전문자료실의 분류 개선안이므로 한국영화를 총류 다음에 배정하였다. 한국영화 안에 한국영화사, 한국영화인물, 한국영화 연구⦁비평, Korean Cinema, 영상관련 기관 발간도서, 국내 영화제, 국제영화제 등 국내 영화 관련 7개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각종 영화제를 포함시켜서 해외영화제, 국내영화제,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영화제 등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각국의 영화에서는 일본영화와 중국영화, 아시아권 영화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영화인물을 별도로 배정하여 국내 영화인물과 구별하였고, 시나리오는 서명의 가나다순으로 별치하여 분류⦁정리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영화관련 실물자료는 매체 약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DVD 분류는 영화자료실의 분류표를 적용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 Study of Classification for Cinema Materials This study was made for the purpose to examine the existing general classification and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for cinema related materials presently used by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It was made to propose the improvement of the sy...
ABSTRACT A Study of Classification for Cinema Materials This study was made for the purpose to examine the existing general classification and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for cinema related materials presently used by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It was made to propose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for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nd internet research, it grasped the meaning and kinds of film materials, the characteristic of film materials as well as the present state of classification of film materials under the classification methods for general materials. Also, it compared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after having face-to-face talks with the hands-on staffs by direct visits to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and proposed a model of classification for cinema materials. In conclusion, the DDC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was able to classify in details all around the field of cinema through the subsidiary table, instructions and to see the present state of classification in other fields related to cinema referring to the relative index. While it had the weakness that the class numbers became longer than needed, it classified the types to show people in the case of classification for figures such as directors, actors, etc. Second, the KDC is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which had been restructured to meet the practical state of Korea. But it did not have any subsidiary table like the ones of DDC and its instructions were not precise enough, and it also had to develop items much more since the contents of developed items were left in large numbers to be desired. Third, the LCC assigned cinema to the field of literature for the classification to show it in the combination of the alphabet and numbers. It classified various instruments necessary for cinematography and filming in the field of photograph, and subdivided into as many as 83 items regarding special subject as a sub-item under general writings. Scenario was assigned to the field of cinema to be subdivided into scripts of animation as well as adapted or rebuilt scenarios. As compared with DDC and KDC, it was found to be very suitable for the classification of cinema because of very detailed subdivision of items. Fourth, there are three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in this country, which are Film Library at the Korean Film Archive, Korean Film DB at the Korean Film Council, and Cinema Information Center at Arirang Digital Public Library. Film Library and Korean Film DB were using their own classification respectively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of each institution, while Cinema Information Center was using the one applied by KDC. Based on above forementioned study, it proposes a model for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to be suitable for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as in the followings: First, since this is the improvement plan of classification for Korean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it assigned Korean cinema to the second to general works. Under Korean cinema, it classified in Korean cinema related seven items, which are History of Korean Cinema, Features in Korean Cinema, Study and Criticism of Korean Cinema, Korean Cinema, Publications from Film Related Institutions, Domestic Film Festival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etc. Second, it classified into overseas film festivals, domestic film festivals, a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held in this country including various film festivals held home and abroad. Third, it classified into Japanese cinema and Chinese cinema, cinema in Asian region regarding cinemas in each country. Fourth, it assigned features in cinema separately to distinguish from features in domestic cinema and for scenario, it assigned in the order of alphabet of the name so to classify and organize it accordingly. Fifth, for actual materials related to cinema, it used in the combination of the abbreviation of each medium and numbers, and for the classification of DVD, proposed to use by the appl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by the Korean Film DB.
ABSTRACT A Study of Classification for Cinema Materials This study was made for the purpose to examine the existing general classification and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for cinema related materials presently used by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It was made to propose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for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nd internet research, it grasped the meaning and kinds of film materials, the characteristic of film materials as well as the present state of classification of film materials under the classification methods for general materials. Also, it compared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after having face-to-face talks with the hands-on staffs by direct visits to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and proposed a model of classification for cinema materials. In conclusion, the DDC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was able to classify in details all around the field of cinema through the subsidiary table, instructions and to see the present state of classification in other fields related to cinema referring to the relative index. While it had the weakness that the class numbers became longer than needed, it classified the types to show people in the case of classification for figures such as directors, actors, etc. Second, the KDC is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which had been restructured to meet the practical state of Korea. But it did not have any subsidiary table like the ones of DDC and its instructions were not precise enough, and it also had to develop items much more since the contents of developed items were left in large numbers to be desired. Third, the LCC assigned cinema to the field of literature for the classification to show it in the combination of the alphabet and numbers. It classified various instruments necessary for cinematography and filming in the field of photograph, and subdivided into as many as 83 items regarding special subject as a sub-item under general writings. Scenario was assigned to the field of cinema to be subdivided into scripts of animation as well as adapted or rebuilt scenarios. As compared with DDC and KDC, it was found to be very suitable for the classification of cinema because of very detailed subdivision of items. Fourth, there are three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in this country, which are Film Library at the Korean Film Archive, Korean Film DB at the Korean Film Council, and Cinema Information Center at Arirang Digital Public Library. Film Library and Korean Film DB were using their own classification respectively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of each institution, while Cinema Information Center was using the one applied by KDC. Based on above forementioned study, it proposes a model for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to be suitable for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as in the followings: First, since this is the improvement plan of classification for Korean libraries specialized in cinema, it assigned Korean cinema to the second to general works. Under Korean cinema, it classified in Korean cinema related seven items, which are History of Korean Cinema, Features in Korean Cinema, Study and Criticism of Korean Cinema, Korean Cinema, Publications from Film Related Institutions, Domestic Film Festival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etc. Second, it classified into overseas film festivals, domestic film festivals, a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held in this country including various film festivals held home and abroad. Third, it classified into Japanese cinema and Chinese cinema, cinema in Asian region regarding cinemas in each country. Fourth, it assigned features in cinema separately to distinguish from features in domestic cinema and for scenario, it assigned in the order of alphabet of the name so to classify and organize it accordingly. Fifth, for actual materials related to cinema, it used in the combination of the abbreviation of each medium and numbers, and for the classification of DVD, proposed to use by the appl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by the Korean Film DB.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