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하는 도핑의 원인을 파악하고 반도핑 활동의 정당성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현제 시행 중인 반도핑 활동을 분석한 후 그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반도핑 활동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수들이 약물을 선택하는 원인은 크게 스포츠의 외재적 가치 추구와 도핑의 원인을 파악하고 반도핑 활동의 정당성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현제 시행 중인 반도핑 활동을 분석한 후 그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반도핑 활동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수들이 약물을 선택하는 원인은 크게 스포츠의 외재적 가치 추구와 내재적 가치 추구에 의해 구분되어질 수 있다. 승리를 통한 물질적 보상을 목표로 하는 외재적 가치 추구가 있을 수 있으며, 순수하게 스포츠의 참가에 목적을 둔 내재적 가치 추구를 위해 도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핑이 금지되어야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사회윤리학적으로 도핑은 공정성에 위배되기 때문에 금지되어야 한다. 둘째, 의학적인 면에서 가벼운 두통에서부터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기 때문에 금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각종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도핑을 근절하기 위해 세계반도핑기구 및 한국도핑방지위원회 등 각종 반도핑 기구들이 창설되고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반도핑 기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선수 및 지도자들의 도핑에 관한 인식 및 의식수준은 매우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도적으로 아직까지 발전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에 주로 진행되고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검사방법을 통한 적발 및 적발된 선수에 대한 제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반도핑 활동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은 크게 개인윤리적 차원과 사회제도적인 차원이 병행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먼저 개인윤리적으로는 선수와 지도자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교육 내용은 반도핑 활동 교육과 스포츠윤리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되고, 이와 함께 약물의 유혹을 뿌리치고 성공한 선수들의 경험을 통한 사례 위주의 교육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제도적으로 지도자들에 대한 여건 보장 및 교육 등을 통한 처우개선이 이루어지고, 대회기간 및 여러 가지 수단을 활용한 반도핑과 스포츠윤리에 대한 대국민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외에도 해당기관에서 적발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는 등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스포츠 현장에서 도핑의 근절은 희망으로만 끝나지 않을 것이다. 앞으로는 과학적 기술을 활용한 적발 활동과 더불어 좀 더 근원적인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는 예방 및 방지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하는 도핑의 원인을 파악하고 반도핑 활동의 정당성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현제 시행 중인 반도핑 활동을 분석한 후 그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반도핑 활동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수들이 약물을 선택하는 원인은 크게 스포츠의 외재적 가치 추구와 내재적 가치 추구에 의해 구분되어질 수 있다. 승리를 통한 물질적 보상을 목표로 하는 외재적 가치 추구가 있을 수 있으며, 순수하게 스포츠의 참가에 목적을 둔 내재적 가치 추구를 위해 도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핑이 금지되어야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사회윤리학적으로 도핑은 공정성에 위배되기 때문에 금지되어야 한다. 둘째, 의학적인 면에서 가벼운 두통에서부터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기 때문에 금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각종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도핑을 근절하기 위해 세계반도핑기구 및 한국도핑방지위원회 등 각종 반도핑 기구들이 창설되고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반도핑 기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선수 및 지도자들의 도핑에 관한 인식 및 의식수준은 매우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도적으로 아직까지 발전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에 주로 진행되고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검사방법을 통한 적발 및 적발된 선수에 대한 제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반도핑 활동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은 크게 개인윤리적 차원과 사회제도적인 차원이 병행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먼저 개인윤리적으로는 선수와 지도자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교육 내용은 반도핑 활동 교육과 스포츠윤리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되고, 이와 함께 약물의 유혹을 뿌리치고 성공한 선수들의 경험을 통한 사례 위주의 교육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제도적으로 지도자들에 대한 여건 보장 및 교육 등을 통한 처우개선이 이루어지고, 대회기간 및 여러 가지 수단을 활용한 반도핑과 스포츠윤리에 대한 대국민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외에도 해당기관에서 적발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는 등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스포츠 현장에서 도핑의 근절은 희망으로만 끝나지 않을 것이다. 앞으로는 과학적 기술을 활용한 적발 활동과 더불어 좀 더 근원적인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는 예방 및 방지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found the causes of the doping occurring in the fields of sports and proposed legitimacy of the anti doping activitie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anti doping activities and issued the variou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next task of anti doping activities is presented b...
This study found the causes of the doping occurring in the fields of sports and proposed legitimacy of the anti doping activitie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anti doping activities and issued the variou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next task of anti doping activities is presented based on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activities. The causes of choosing their drugs for players can be divided into the extrinsic value pursuit and intrinsic value pursuit in sports. The extrinsic value pursuit is aimed at material rewards through winning the games, and the intrinsic value pursuit seeks to the participation of the sports. In order to pursuit these two values, players and their coaches use the drugs. The reasons for doping should be banned can be explained by two main dimensions. First, the drug should be prohibited because it violates fairness of the social ethics. Second, in te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it should be banned because serious side effects from mild headaches to serious things ranging to death. In order to eradicate doping which can lead to various side effects, WADA, Anti-Doping Commission in South Korea and other organizations are established. However in spite of the efforts of Anti-Doping organizations, the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the doping level for players and coaches are formed very low. So, institutional development still remains. The new direction doping activities should be done in parallel personally ethical dimension and social systematic dimension. On personally ethical dimension, players and coaches are needed consistent and systematic training. Anti doping education and sportsmanship education should be done at the same time, along with the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with the successful stories of athletes overcoming the temptation of drugs. On systematic dimension, guarantee the coaches living, and better treatment through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further strengthen publicity activities on anti-doping and sportsmanship. In addition to these establishment, if the organizations are concerned about denunciators and sustained efforts are continued, the eradication of doping in sports will be ended. Not only exposure activities using scientific techniques, but continuous research for prevention and protection activities from doping will be required.
This study found the causes of the doping occurring in the fields of sports and proposed legitimacy of the anti doping activitie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anti doping activities and issued the variou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next task of anti doping activities is presented based on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activities. The causes of choosing their drugs for players can be divided into the extrinsic value pursuit and intrinsic value pursuit in sports. The extrinsic value pursuit is aimed at material rewards through winning the games, and the intrinsic value pursuit seeks to the participation of the sports. In order to pursuit these two values, players and their coaches use the drugs. The reasons for doping should be banned can be explained by two main dimensions. First, the drug should be prohibited because it violates fairness of the social ethics. Second, in te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it should be banned because serious side effects from mild headaches to serious things ranging to death. In order to eradicate doping which can lead to various side effects, WADA, Anti-Doping Commission in South Korea and other organizations are established. However in spite of the efforts of Anti-Doping organizations, the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the doping level for players and coaches are formed very low. So, institutional development still remains. The new direction doping activities should be done in parallel personally ethical dimension and social systematic dimension. On personally ethical dimension, players and coaches are needed consistent and systematic training. Anti doping education and sportsmanship education should be done at the same time, along with the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with the successful stories of athletes overcoming the temptation of drugs. On systematic dimension, guarantee the coaches living, and better treatment through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further strengthen publicity activities on anti-doping and sportsmanship. In addition to these establishment, if the organizations are concerned about denunciators and sustained efforts are continued, the eradication of doping in sports will be ended. Not only exposure activities using scientific techniques, but continuous research for prevention and protection activities from doping will be requir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