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노랑부리백로의 한국 내 번식실태를 파악하고, 연도별, 지역별 번식개체군의 변동을 알아보고자 했다. 노랑부리백로의 한반도내 번식깃과 월동깃의 변화, 차이점을 제시하였고, 유사종인 쇠백로와의 구별방법을 제시하였다. 2010년 남한지역 6개의 번식지에서 번식생태를 조사하고 번식집단내, 번식집단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번식지에서의 영소목 선택 특성 및 식생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번식지 주변 취식지로 사용하는 주요 갯벌을 조사하여 노랑부리백로가 번식지 선택시 갯벌과의 이격거리 조건을 추정하였다. 이동기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노랑부리백로가 관찰되는 주요 갯벌을 조사하여 이동기 사용하는 주요 갯벌지역과 이동기 한반도내 이동방향을 추정하였다. 지역별, 연도별로 구분된 유색가락지를 부착하고, 재확인하여 번식지역간 개체 이동 및 중요 취식지역을 확인하였다. 한국 및 해외지역에서 관찰된 가락지 재발견을 통해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 노랑부리백로의 이동경로를 추정하였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집단내, 집단간 유전적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노랑부리백로의 한국 내 번식실태를 파악하고, 연도별, 지역별 번식개체군의 변동을 알아보고자 했다. 노랑부리백로의 한반도내 번식깃과 월동깃의 변화, 차이점을 제시하였고, 유사종인 쇠백로와의 구별방법을 제시하였다. 2010년 남한지역 6개의 번식지에서 번식생태를 조사하고 번식집단내, 번식집단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번식지에서의 영소목 선택 특성 및 식생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번식지 주변 취식지로 사용하는 주요 갯벌을 조사하여 노랑부리백로가 번식지 선택시 갯벌과의 이격거리 조건을 추정하였다. 이동기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노랑부리백로가 관찰되는 주요 갯벌을 조사하여 이동기 사용하는 주요 갯벌지역과 이동기 한반도내 이동방향을 추정하였다. 지역별, 연도별로 구분된 유색가락지를 부착하고, 재확인하여 번식지역간 개체 이동 및 중요 취식지역을 확인하였다. 한국 및 해외지역에서 관찰된 가락지 재발견을 통해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 노랑부리백로의 이동경로를 추정하였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집단내, 집단간 유전적 차이 분석을 위해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내 노랑부리백로의 보전관리 방안을 제언하였다. 1.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실태 2000-2010년까지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 주요 번식지는 10개의 무인도서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장구엽도, 예도 및 섬어벌 3개의 무인도서는 각각 2005년, 2008년, 2010년에 번식지를 포기하였다. 이에 따라 2010년까지 노랑부리백로가 한국 내 번식지로 이용되는 장소는 7개의 무인도서였다. 연구기간동안 연도별 최대 번식개체군을 나타낸 섬과 개체수는 2002년 장구엽도 540개체, 2003년 섬업벌 500개체, 2004년 섬어벌 680개체, 2008년 황서 300개체, 2010년 황서 572개체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동안 납대기섬과 황서의 번식개체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칠산도와 서만도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조사결과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 전체 번식개체수는 약 1,000-1,600개체로 추정되며, 노랑부리백로 전 세계 개체군인 2,600-3,400개체의 약 50%에 해당하는 개체가 한국의 남한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멸종위기종인 노랑부리백로 보전에 있어 한국은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번식깃과 월동깃의 변화 및 채식행동 노랑부리백로는 번식이 끝나는 8월과 9월초순경 번식깃털이 월동깃털로 바뀐다. 계절에 따라 번식관우, 다리와 발의 색깔, 부리의 색깔 및 얼굴 앞 피부색깔(facial skin)이 변화했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깃은 20여개의 번식관우, 다리의 색깔이 모두 초록색이 감도는 검정색을 띠었으며, 발은 초록색이 감도는 노랑색, 오렌지색이 감도는 진한 노랑색 부리와 짙은 청자색이 감도는 facial skin이 특징이었다. 가을철 월동깃으로 바뀌며 번식 관우는 사라지고, 윗부리는 연한 검정색, 아랫부리의 끝부분은 검정색, 나머지 부분은 노랑색을 나타냈다. 다리와 발의 색깔은 연한 초록색, facial skin은 연한 노랑색을 띠어 번식깃털과 차이를 보였다. 유사종인 쇠백로와는 부리색, 다리와 발 색, 번식 관우의 수, facial skin에서 서로 차이를 보여 구분되었다. 노랑부리백로는 종 특이적인 취식행동을 나타냈다. 먹이 사냥시 빠르게 달려가듯 먹이를 사냥해 천천히 걸으며 먹이를 사냥하는 유사종인 쇠백로와 구별되었다. 사냥 행동 시 고개를 옆으로 비틀며 뛰어가 사냥하는 “side running hunting behavior”는 노랑부리백로의 종 특이적인 사냥행동이었다. 먹이는 작은 물고기류, 갑각류인 새우, 게, 갯강구를 취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어린 새끼에게 급이 되는 먹이는 작은 물고기류와 새우류가 많았다. 3. 노랑부리백로 번식생태 2010년 나무섬, 납대기섬, 칠산도(삼산도, 육산도), 황서, 서만도 6개의 섬에서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노랑부리백로의 평균 한배알수와 표준편차 그리고 산술범위는 각각 3.21±0.78와 1-6개이었다. 가장 작은 평균 한배알수는 육산도 번식집단(2.95±1.17개)이었으며, 가장 큰 평균 한배알수는 나무섬 번식집단이었다(3.86±0.77개). 한 둥지당 평균 3개체 이하(2.77개체)가 이소에 성공하였고, 부화성공율은 84.8%, 번식성공율은 82.0%를 나타내 내륙에서 번식하는 쇠백로와 유사하였으며, 6곳의 번식지 중 황서(91.1%)에서 번식성공율이 가장 높았으며, 납대기섬(70.9%)에서 가장 낮았다. 노랑부리백로의 한배 산란수 중 가장 빈도가 높은 한배알수는 3-4개로 전체 번식 둥지의 85.2%가 해당되었다. 한배산란수간 부화 및 번식성공율은 번식집단내, 번식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알의 크기 변이는 각 번식지에 따라 다양했으며, 특정 한배산란수의 알이 더 크거나 작은 경향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노랑부리백로의 알 무게는 알의 길이보다는 알의 폭과 부피가 클수록 더 무거웠다. 노랑부리백로의 둥지 높이는 번식지의 영소목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달랐다. 각 번식지에서 산란수별 둥지 높이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6개 번식지 조사결과를 통합해 분석한 결과 한배산란수가 증가할수록 둥지의 높이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둥지의 높이는 노랑부리백로의 부화 및 번식성공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둥지 높이가 가장 높았던 나무섬은 부화 및 번식성공율이 각각 84.8%와 81.8%를 나타내 평균 부화 및 번식성공율인 84.8%, 82.0%와 유사한 수치를 보여주었지만, 가장 낮은 둥지 높이를 보인 납대기섬의 부화 및 번식성공율은 집쥐 포식 증가로 인하여 각각 72.9%와 70.9%를 나타냈다. 나무섬과 납대기섬과 비교해 중간 높이의 둥지를 짓는 나머지 4개의 번식집단은 부화성공율의 분포가 87-93%, 번식성공율의 분포가 83-91%로 평균 부화 및 번식성공율보다 높아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는 노랑부리백로는 해풍의 피해를 막고, 포식율을 줄여주는 적정 번식둥지의 높이를 선택했을 때 번식에 더 큰 이익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주요 번식지의 영소목 선택과 식생 노랑부리백로는 번식지에 따라 다양한 수종을 영소목으로 선택하였다. 나무섬과 납대기섬은 이대 군락, 삼산도는 보리밥나무, 육산도는 보리밥나무 및 누리장나무, 황서와 서만도는 찔레나무, 청미래덩굴, 칡덩굴 및 아까시나무를 영소목으로 선택하여 번식하였다. 번식지별 특정 영소목을 선택한 것은 해풍 피해를 최소화하고, 동일지역 번식조류간 종간경쟁을 피하며, 천적에 의한 잠재적 포식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번식지별 관속식물의 분포와 식생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가장 많은 식물종이 분포한 번식지는 황서, 서만도 순이었으며, 육산도가 가장 적은 식물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섬의 면적과 식생 면적 그리고 식생의 다양도는 노랑부리백로의 번식밀도와는 서로 관계가 없었다. 이는 번식지에 따라 특정 영소목을 선호하는 번식습성에 기인한다. 노랑부리백로는 영소목으로 선택하는 식물이 번식지내에 서식함에도 불구하고, 번식지역에 따라 각각 다른 영소목을 선호하였다. 번식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영소목은 중부와 남쪽 번식집단이 서로 유사했으며, 북쪽 번식집단끼리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지역별 영소목의 선호는 번식집단간 번식 습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5. 번식기와 이동기 노랑부리백로의 중요 취식지역 노랑부리백로가 번식기에 취식지역으로 사용하는 주요 갯벌을 조사하였다. 노랑부리백로는 진흙(mud)성분이 많아 깊게 빠지는 갯벌보다는 모래와 진흙이 고루 섞인 사질형(sand mudflat) 갯벌을 취식지역으로 선호하였다. 특히 바닥이 딱딱하고, 주변에 작은 돌과 바위가 있으며, 썰물시 작은 소(pond)를 형성하는 지역에서 취식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번식지와 중요 취식지인 갯벌의 이격거리는 번식지역에 따라 다양했다. 연구결과 서해안 노랑부리백로 주요 번식지와 번식기에 사용하는 주요 갯벌과의 이격거리 분포는 0-34km로 조사되었다. 각 번식지와 가장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갯벌은 약 7km 내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노랑부리백로가 집단번식지로 무인도서를 선택할 때 번식지의 식생, 영소목, 둥지재료의 공급 등과는 별도로 최소 7km이내의 거리에 먹이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갯벌이 있어야 할 것으로 해석된다. 이동기 노랑부리백로가 이용하는 중요 채식지 갯벌은 일부 번식기에 사용하는 갯벌과 중첩되기도 하였지만, 번식기에 이용되는 갯벌과는 거리가 떨어진 갯벌지대로 분산,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한반도 남쪽지역 번식개체군은 번식기 이후 한반도 남쪽 갯벌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기 및 이동기에 중요 취식지역과 휴식지로 사용되는 갯벌에 대한 보호 관리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6. 이동경로, 중요 취식지, 번식지간 이동 및 월동지 파악을 위한 가락지 부착과 재확인 2002-2004년과 2008년 한국 내 주요 번식지 6개 지역(서만도, 장구엽도, 섬어벌, 황서, 칠산도, 납대기섬)에서 지역 및 연도에 따라 색깔이 다른 유색가락지를 조합해 361개체에게 가락지를 부착하였다. 다른 연구팀에 의해 99개체가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총 450개체에게 유색가락지가 부착되었다. 연구기간동안 노랑부리백로 유색가락지의 재발견은 국내에서 16개체, 해외에서 3개체였다. 가락지의 재발견율은 4.2%로 매우 낮았는데, 이는 국가 간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정보교류가 부족하고, 월동지의 분포가 넓으며, 장거리 이동을 통한 유조의 사망율이 높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내 가락지 재발견을 통하여 번식지간 개체의 이동을 확인하였고, 일부 번식지의 중요 취식지를 확인하기도 했다. 한국 내 북쪽 번식집단의 일부는 북쪽과 남쪽으로 각각 다른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가락지 재발견을 통해 확인하였고, 한국 내 남쪽 번식집단은 한국의 남부해안으로 남하해 이동하는 것을 가락지 재발견을 통해 확인하였다. 한국 내 가락지 재발견과 해외(일본, 대만, 필리핀)에서 발견된 사례를 통해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 남쪽 번식집단인 칠산도, 납대기섬의 개체는 서해안을 따라 남하, 남해안을 경유 일본 큐슈 및 일본열도, 대만, 필리핀 방향의 이동경로를 사용할 것으로 추정했다. 북쪽 번식집단인 서만도, 장구엽도, 황서, 섬어벌에서 번식한 노랑부리백로 번식개체 일부는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여 남쪽 번식집단과 동일한 이동경로를 사용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북쪽 번식집단 일부개체는 백령도를 거쳐 중국의 산둥반도를 넘거나 번식지에서 황해를 직접 건너 중국으로 이동, 중국 남부해안을 따라 남하한 뒤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의 주요 월동지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런 2가지 이동경로는 동아시아-호주 물새류 이동경로(East Asian-Australasian Flyway)와 유사하였다. 7. 집단 유전학적 분석방법을 통한 번식지간 유전적 다양도 한국 내 서해안에 번식하는 6개의 번식집단으로부터 둥지가 서로 다른 총 88개체의 깃털 및 혈액을 채취하여 번식개체군간 mtDNA CO1 유전자 haplotype 분포 및 빈도, 유전자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6개의 번식집단으로부터 총 10개의 CO1 haplotype이 검정되었으며, 이중 haplotype 3이 전체 88개체 중 75개체로 최우점하였으며, 나무섬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번식집단간 이격 거리, 번식지간 영소습성과 이동경로를 고려해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집단을 북쪽(Region 1-황서와 서만도), 중부(Region 3-나무섬) 그리고 남쪽(Region 2-삼산도, 육산도와 납대기섬) 3개 지역(region)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한반도 노랑부리백로의 mtDNA CO1 유전자의 haplotype의 다양성은 낮았으며, 지역적으로 특정 haplotype의 편중이 심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jima D neutrality test를 통해 CO1 유전자가 지역적으로 selection 또는 drift의 영향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region 3을 제외하고 Tajima D값은 음의 값을 가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region 1과 region 2 지역에서는 CO1 gene의 유전적 다형성(genetic polymorphism)이 감소하는 purifying selection이 작용하여 CO1 haplotype의 diversity가 줄거나, 특정 haplotype의 편중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런 유전적 다양성 감소의 현상은 노랑부리백로가 지난 19세기 동안 서식지의 파괴, 인간의 방해활동 증가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한 뒤 다시 서서히 개체수가 늘어남에 따라 일어나는 유전적 병목현상(genetic bottleneck effect)을 겪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노랑부리백로와 같은 멸종위기종의 향후 인공증식에 의한 종복원 사업 진행시 인공 증식 모개체 선정에 있어 지역 개체군간의 유전적 유사도 및 차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노랑부리백로의 한국 내 번식실태를 파악하고, 연도별, 지역별 번식개체군의 변동을 알아보고자 했다. 노랑부리백로의 한반도내 번식깃과 월동깃의 변화, 차이점을 제시하였고, 유사종인 쇠백로와의 구별방법을 제시하였다. 2010년 남한지역 6개의 번식지에서 번식생태를 조사하고 번식집단내, 번식집단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번식지에서의 영소목 선택 특성 및 식생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번식지 주변 취식지로 사용하는 주요 갯벌을 조사하여 노랑부리백로가 번식지 선택시 갯벌과의 이격거리 조건을 추정하였다. 이동기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노랑부리백로가 관찰되는 주요 갯벌을 조사하여 이동기 사용하는 주요 갯벌지역과 이동기 한반도내 이동방향을 추정하였다. 지역별, 연도별로 구분된 유색가락지를 부착하고, 재확인하여 번식지역간 개체 이동 및 중요 취식지역을 확인하였다. 한국 및 해외지역에서 관찰된 가락지 재발견을 통해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 노랑부리백로의 이동경로를 추정하였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집단내, 집단간 유전적 차이 분석을 위해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내 노랑부리백로의 보전관리 방안을 제언하였다. 1.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실태 2000-2010년까지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 주요 번식지는 10개의 무인도서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장구엽도, 예도 및 섬어벌 3개의 무인도서는 각각 2005년, 2008년, 2010년에 번식지를 포기하였다. 이에 따라 2010년까지 노랑부리백로가 한국 내 번식지로 이용되는 장소는 7개의 무인도서였다. 연구기간동안 연도별 최대 번식개체군을 나타낸 섬과 개체수는 2002년 장구엽도 540개체, 2003년 섬업벌 500개체, 2004년 섬어벌 680개체, 2008년 황서 300개체, 2010년 황서 572개체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동안 납대기섬과 황서의 번식개체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칠산도와 서만도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조사결과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 전체 번식개체수는 약 1,000-1,600개체로 추정되며, 노랑부리백로 전 세계 개체군인 2,600-3,400개체의 약 50%에 해당하는 개체가 한국의 남한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멸종위기종인 노랑부리백로 보전에 있어 한국은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번식깃과 월동깃의 변화 및 채식행동 노랑부리백로는 번식이 끝나는 8월과 9월초순경 번식깃털이 월동깃털로 바뀐다. 계절에 따라 번식관우, 다리와 발의 색깔, 부리의 색깔 및 얼굴 앞 피부색깔(facial skin)이 변화했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깃은 20여개의 번식관우, 다리의 색깔이 모두 초록색이 감도는 검정색을 띠었으며, 발은 초록색이 감도는 노랑색, 오렌지색이 감도는 진한 노랑색 부리와 짙은 청자색이 감도는 facial skin이 특징이었다. 가을철 월동깃으로 바뀌며 번식 관우는 사라지고, 윗부리는 연한 검정색, 아랫부리의 끝부분은 검정색, 나머지 부분은 노랑색을 나타냈다. 다리와 발의 색깔은 연한 초록색, facial skin은 연한 노랑색을 띠어 번식깃털과 차이를 보였다. 유사종인 쇠백로와는 부리색, 다리와 발 색, 번식 관우의 수, facial skin에서 서로 차이를 보여 구분되었다. 노랑부리백로는 종 특이적인 취식행동을 나타냈다. 먹이 사냥시 빠르게 달려가듯 먹이를 사냥해 천천히 걸으며 먹이를 사냥하는 유사종인 쇠백로와 구별되었다. 사냥 행동 시 고개를 옆으로 비틀며 뛰어가 사냥하는 “side running hunting behavior”는 노랑부리백로의 종 특이적인 사냥행동이었다. 먹이는 작은 물고기류, 갑각류인 새우, 게, 갯강구를 취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어린 새끼에게 급이 되는 먹이는 작은 물고기류와 새우류가 많았다. 3. 노랑부리백로 번식생태 2010년 나무섬, 납대기섬, 칠산도(삼산도, 육산도), 황서, 서만도 6개의 섬에서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노랑부리백로의 평균 한배알수와 표준편차 그리고 산술범위는 각각 3.21±0.78와 1-6개이었다. 가장 작은 평균 한배알수는 육산도 번식집단(2.95±1.17개)이었으며, 가장 큰 평균 한배알수는 나무섬 번식집단이었다(3.86±0.77개). 한 둥지당 평균 3개체 이하(2.77개체)가 이소에 성공하였고, 부화성공율은 84.8%, 번식성공율은 82.0%를 나타내 내륙에서 번식하는 쇠백로와 유사하였으며, 6곳의 번식지 중 황서(91.1%)에서 번식성공율이 가장 높았으며, 납대기섬(70.9%)에서 가장 낮았다. 노랑부리백로의 한배 산란수 중 가장 빈도가 높은 한배알수는 3-4개로 전체 번식 둥지의 85.2%가 해당되었다. 한배산란수간 부화 및 번식성공율은 번식집단내, 번식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알의 크기 변이는 각 번식지에 따라 다양했으며, 특정 한배산란수의 알이 더 크거나 작은 경향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노랑부리백로의 알 무게는 알의 길이보다는 알의 폭과 부피가 클수록 더 무거웠다. 노랑부리백로의 둥지 높이는 번식지의 영소목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달랐다. 각 번식지에서 산란수별 둥지 높이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6개 번식지 조사결과를 통합해 분석한 결과 한배산란수가 증가할수록 둥지의 높이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둥지의 높이는 노랑부리백로의 부화 및 번식성공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둥지 높이가 가장 높았던 나무섬은 부화 및 번식성공율이 각각 84.8%와 81.8%를 나타내 평균 부화 및 번식성공율인 84.8%, 82.0%와 유사한 수치를 보여주었지만, 가장 낮은 둥지 높이를 보인 납대기섬의 부화 및 번식성공율은 집쥐 포식 증가로 인하여 각각 72.9%와 70.9%를 나타냈다. 나무섬과 납대기섬과 비교해 중간 높이의 둥지를 짓는 나머지 4개의 번식집단은 부화성공율의 분포가 87-93%, 번식성공율의 분포가 83-91%로 평균 부화 및 번식성공율보다 높아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는 노랑부리백로는 해풍의 피해를 막고, 포식율을 줄여주는 적정 번식둥지의 높이를 선택했을 때 번식에 더 큰 이익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주요 번식지의 영소목 선택과 식생 노랑부리백로는 번식지에 따라 다양한 수종을 영소목으로 선택하였다. 나무섬과 납대기섬은 이대 군락, 삼산도는 보리밥나무, 육산도는 보리밥나무 및 누리장나무, 황서와 서만도는 찔레나무, 청미래덩굴, 칡덩굴 및 아까시나무를 영소목으로 선택하여 번식하였다. 번식지별 특정 영소목을 선택한 것은 해풍 피해를 최소화하고, 동일지역 번식조류간 종간경쟁을 피하며, 천적에 의한 잠재적 포식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번식지별 관속식물의 분포와 식생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가장 많은 식물종이 분포한 번식지는 황서, 서만도 순이었으며, 육산도가 가장 적은 식물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섬의 면적과 식생 면적 그리고 식생의 다양도는 노랑부리백로의 번식밀도와는 서로 관계가 없었다. 이는 번식지에 따라 특정 영소목을 선호하는 번식습성에 기인한다. 노랑부리백로는 영소목으로 선택하는 식물이 번식지내에 서식함에도 불구하고, 번식지역에 따라 각각 다른 영소목을 선호하였다. 번식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영소목은 중부와 남쪽 번식집단이 서로 유사했으며, 북쪽 번식집단끼리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지역별 영소목의 선호는 번식집단간 번식 습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5. 번식기와 이동기 노랑부리백로의 중요 취식지역 노랑부리백로가 번식기에 취식지역으로 사용하는 주요 갯벌을 조사하였다. 노랑부리백로는 진흙(mud)성분이 많아 깊게 빠지는 갯벌보다는 모래와 진흙이 고루 섞인 사질형(sand mudflat) 갯벌을 취식지역으로 선호하였다. 특히 바닥이 딱딱하고, 주변에 작은 돌과 바위가 있으며, 썰물시 작은 소(pond)를 형성하는 지역에서 취식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번식지와 중요 취식지인 갯벌의 이격거리는 번식지역에 따라 다양했다. 연구결과 서해안 노랑부리백로 주요 번식지와 번식기에 사용하는 주요 갯벌과의 이격거리 분포는 0-34km로 조사되었다. 각 번식지와 가장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갯벌은 약 7km 내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노랑부리백로가 집단번식지로 무인도서를 선택할 때 번식지의 식생, 영소목, 둥지재료의 공급 등과는 별도로 최소 7km이내의 거리에 먹이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갯벌이 있어야 할 것으로 해석된다. 이동기 노랑부리백로가 이용하는 중요 채식지 갯벌은 일부 번식기에 사용하는 갯벌과 중첩되기도 하였지만, 번식기에 이용되는 갯벌과는 거리가 떨어진 갯벌지대로 분산,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한반도 남쪽지역 번식개체군은 번식기 이후 한반도 남쪽 갯벌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랑부리백로의 번식기 및 이동기에 중요 취식지역과 휴식지로 사용되는 갯벌에 대한 보호 관리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6. 이동경로, 중요 취식지, 번식지간 이동 및 월동지 파악을 위한 가락지 부착과 재확인 2002-2004년과 2008년 한국 내 주요 번식지 6개 지역(서만도, 장구엽도, 섬어벌, 황서, 칠산도, 납대기섬)에서 지역 및 연도에 따라 색깔이 다른 유색가락지를 조합해 361개체에게 가락지를 부착하였다. 다른 연구팀에 의해 99개체가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총 450개체에게 유색가락지가 부착되었다. 연구기간동안 노랑부리백로 유색가락지의 재발견은 국내에서 16개체, 해외에서 3개체였다. 가락지의 재발견율은 4.2%로 매우 낮았는데, 이는 국가 간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정보교류가 부족하고, 월동지의 분포가 넓으며, 장거리 이동을 통한 유조의 사망율이 높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내 가락지 재발견을 통하여 번식지간 개체의 이동을 확인하였고, 일부 번식지의 중요 취식지를 확인하기도 했다. 한국 내 북쪽 번식집단의 일부는 북쪽과 남쪽으로 각각 다른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가락지 재발견을 통해 확인하였고, 한국 내 남쪽 번식집단은 한국의 남부해안으로 남하해 이동하는 것을 가락지 재발견을 통해 확인하였다. 한국 내 가락지 재발견과 해외(일본, 대만, 필리핀)에서 발견된 사례를 통해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 남쪽 번식집단인 칠산도, 납대기섬의 개체는 서해안을 따라 남하, 남해안을 경유 일본 큐슈 및 일본열도, 대만, 필리핀 방향의 이동경로를 사용할 것으로 추정했다. 북쪽 번식집단인 서만도, 장구엽도, 황서, 섬어벌에서 번식한 노랑부리백로 번식개체 일부는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여 남쪽 번식집단과 동일한 이동경로를 사용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북쪽 번식집단 일부개체는 백령도를 거쳐 중국의 산둥반도를 넘거나 번식지에서 황해를 직접 건너 중국으로 이동, 중국 남부해안을 따라 남하한 뒤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의 주요 월동지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런 2가지 이동경로는 동아시아-호주 물새류 이동경로(East Asian-Australasian Flyway)와 유사하였다. 7. 집단 유전학적 분석방법을 통한 번식지간 유전적 다양도 한국 내 서해안에 번식하는 6개의 번식집단으로부터 둥지가 서로 다른 총 88개체의 깃털 및 혈액을 채취하여 번식개체군간 mtDNA CO1 유전자 haplotype 분포 및 빈도, 유전자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6개의 번식집단으로부터 총 10개의 CO1 haplotype이 검정되었으며, 이중 haplotype 3이 전체 88개체 중 75개체로 최우점하였으며, 나무섬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번식집단간 이격 거리, 번식지간 영소습성과 이동경로를 고려해 한국 내 노랑부리백로의 번식집단을 북쪽(Region 1-황서와 서만도), 중부(Region 3-나무섬) 그리고 남쪽(Region 2-삼산도, 육산도와 납대기섬) 3개 지역(region)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한반도 노랑부리백로의 mtDNA CO1 유전자의 haplotype의 다양성은 낮았으며, 지역적으로 특정 haplotype의 편중이 심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jima D neutrality test를 통해 CO1 유전자가 지역적으로 selection 또는 drift의 영향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region 3을 제외하고 Tajima D값은 음의 값을 가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region 1과 region 2 지역에서는 CO1 gene의 유전적 다형성(genetic polymorphism)이 감소하는 purifying selection이 작용하여 CO1 haplotype의 diversity가 줄거나, 특정 haplotype의 편중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런 유전적 다양성 감소의 현상은 노랑부리백로가 지난 19세기 동안 서식지의 파괴, 인간의 방해활동 증가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한 뒤 다시 서서히 개체수가 늘어남에 따라 일어나는 유전적 병목현상(genetic bottleneck effect)을 겪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노랑부리백로와 같은 멸종위기종의 향후 인공증식에 의한 종복원 사업 진행시 인공 증식 모개체 선정에 있어 지역 개체군간의 유전적 유사도 및 차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reeding status of Chinese Egret (Egretta europhotes) and the temporal and regional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from 2000 to 2010 in Korea. The difference between summer and winter plumage of the Chinese Egret was described and the biological key to discriminate i...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reeding status of Chinese Egret (Egretta europhotes) and the temporal and regional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from 2000 to 2010 in Korea. The difference between summer and winter plumage of the Chinese Egret was described and the biological key to discriminate it from the similar species, Little Egret (Egretta garzeta),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breeding ecology of the specie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in site and among sites. Nest building tree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at each site was investigated. By investigating main tidal flats, which are known to be feeding sites of Chinese Egret, preferable distance conditions for selection tidal flats as its feeding sites. The main migration routes and major foraging sites were estimated by surveying major tidal flats in western coastal area in South Korea during the migration period. By color banding and re-finding survey specified by regions and years, individuals moving among breeding sites was discerned, and migration routes of Chinese Egret over Korea and East Asia were estimated. The genetic difference among breeding populations was analysed with mitochondrial DN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o conserve the endangered species, the Chinese Egret, was suggested. 1. Breeding status of the Chinese Egret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s investigated that ten islets were the main breeding sites of the Chinese Egret from 2000 to 2010 in Korea. As the species abandoned breeding at Ye islet, Changguyeop islet, and Seomeobyeol islet since 2008, 2005 and 2010, respectively. Only seven islets have been bred until 2010. The yearly maximum breeding populations are estimated to be 540 individuals at Changgugyeop islet in 2002, 500 and 680 individuals at Seomeobyeol islet in 2003 and 2004, 300 and 572 individuals at Hwangseo islet in 2008 and 2010,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 breeding populations of Napdaegi and Hwangseo islet continuously increased, while those of Chilsan and Seoman islet decreased. There will be total 1,000-1,600 individuals breeding in South Korea, which will be about 50% out of 2,600-3,400 individuals all over the world. Thus, It is suggested that South Korea is a critical region to preserve the endangered Chinese Egret population. 2. Seasonal changes in plumage, body color, and specific feeding behavior The Chinese Egret starts to changes its partial body color and plumages, from the August and the early September, after breeding. The noticeable changes in the appearance of the Chinese Egret are breeding crested feathers, the color of legs, feet, bill and facial skin. This species shows greenish black legs, greenish yellow feet, orange yellow bill and dark green facial skin with about twenty breeding crested feathers during the breeding seasons. During the non-breeding seasons, this species have grayish black upper mandible, yellow and black tip lower mandible, light green feet and light yellow facial skin with disappeared breeding crested feathers. The Chinese Egret differ from Little Egret in the color of bill, leg, feet, facial skin and the number of crested feathers. The Chinese Egret have species-specific foraging behavior, side running hunting behavior. In addition, they move more active in food hunting than the similar species, Little Egret. They foraged small fishes, crustacean(shrimps, crabs, sea slaters) and are taken to feed chicks, such as small fishes and shrimps. 3. The breeding ecology of the Chinese Egret The breeding ecology of Chinese Egret was investigated at six breeding sites, Namoo, Napdaegi, Samsan, Yuksan, Hwangseo and Seoman islet in 2010. The mean and one standard deviation of clutch size in investigated Chinese Egret was 3.21±0.78 with range of 1-6. The average clutch size was lowest at Yuksan islet population with 2.95±1.17, while highest at Namoo islet population with 3.86±0.77. They showed the average hatching success, the average breeding success and average fledglings per nest with 84.8%, 82.0% and 2.77, respectively. The breeding success of Chinese Egret was similar to breeding success of Little Egrets in inland. Breeding success was highest at Hwangseo islet with 91.1% and lowest at Napdaegi islet with 70.9%. Total 85.2% of breeding nests had 3-4 clutch siz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hatching and breeding success on clutch size in within breeding site and among breeding sites.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egg size among breeding sites. The eggs were heavier with higher breadth and volume rather than with higher length. The nest height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nesting tree species. The nest heights did not significant difference on clutch size among each breeding site, but the height increased with increasing clutch size over the breeding sites. The nest heights influenced breeding success: The Namoo islet with the highest nest heights showed, similar hatching(84.8%) and breeding success(81.8%) to average hatching(84.8%) and breeding success(82.0%), while the Napdaegi islet with the lowest nest heights showed lower hatching(72.9%) and breeding success(70.9) mainly due to rat predation. The remaining four islets of the middle nest heights showed higher hatching success(87-93%) and breeding success(83-91%) than of the average hatching and breeding success. Thus, this result indicate that Chinese Egrets may have benefit from breeding when the select middle levels of nest heights to avoid the risk of severe wind and predation. 4. Selection of nesting trees and the flora of the breeding sites Chinese Egrets used various kinds of nesting tree species: mainly Pseudosasa japonica in Namoo and Napdaegi islet, Elaeagnus macrophylla in Samsan islet, Elaeagnus macrophylla and Clerodendrum trichotomum in Yuksan islet, Rosa multiflora, Smilax china, Kudzu vine and Robinia pseudo-acacia in Hwangseo and Seoman islet. The selection of nesting trees might provide benefits from breeding by avoiding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minimizing the predation pressure. Vegetation types and distribution varied for each breeding sites. The most and second most various vegetation species were at Hwangseo and Seoman islet, respectively and Yuksan islet were the least speci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 among the size of islets, vegetation structure and breeding densities, because Chinese Egrets preferred certain nesting tree species depending on breeding sites. They chose specific nesting trees in each breeding sites, even though there exist various tree species on breeding sites. Preferable nesting trees were quite similar between central and southern breeding sites and among northern breeding sites, which will be ascribed to the differences of breeding habits among the breeding sites. 5. Major foraging sites of Chinese Egrets during breeding seasons and migration periods Tidal flats, which are known to be the main foraging sites of Chinese Egrets, were investigated. They preferred mudflat with higher proportion of sand than with higher proportion of mud. The Chinese Egret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idal hard surface flats covered with higher proportion of sand, or small peddle and rocks, or with small ponds in the low tide period. The distances between breeding sites and foraging tidal flats varied from 0 to 34km depending on breeding sites. The most adjacent regions of the foraging tidal flats from each breeding site were located within about 7 km.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in tidal flats within 7km are required to provide stable food habitat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Chinese Egret populations, as well as relevant vegetation, nesting trees and nesting materials. Most of the tidal flats used as foraging sites during breeding seasons were mainly overlapped with migration stopover sites, where the tidal flats were more extensively distributed over the South Korea. Especially, the southern breeding populations migrated towards the southern tidal flats after breeding season. Thus, management plans for preserving tidal flats used for breeding and stopover habitats for migration are required to protect and conserve Chinese Egret populations. 6. Color banding and surveying Chinese Egret individuals to reveal migration route, main foraging sites, movements of breeding population and wintering sites. From 2002 to 2004 and in 2008, total 361 fledglings were color-banded in six breeding sites, Seoman, Changguyeop, Seomeobyeol, Hwangseo, Chilsan and Napdaegi islet. Specific color combinations were used to indicate breeding sites and years. Ninety-nine additional individuals were also color-banded by another research team so that total 450 individuals were banded. Rediscovery of banded individuals were 16 in Korea and 3 abroad during survey period. Rediscovery rate was low(4.2%) mainly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among neighboring countries, extensive wintering distributions and high death rate of fledglings during migration periods. By observing color-banded individuals migration routes as well as main foraging sites were identified. Some individuals of northern breeding populations chooses two different migration routes of northward and southward, while individuals of southern breeding populations migrated southward along the western coastal lines. Thus, southern breeding populations at Chilsan and Napdaegi islets might migrate along the western coastal lines, through south coast of South Korea, Kyushu in Japan and Japanese islands, till Taiwan and the Philippines. Some of northern breeding populations at Seoman, Changguyeop, Hwangseo and Seomeobyeol islets might migrate southward and uses the same routes of southern breeding populations. Others might pass Baekryung islet and migrate towards Shandong peninsula in China, or fly directly over the Yellow Sea, and then move southward along the southern coastal lines in China till the main wintering sites in the Philippines, Thailand, Malaysia, Indonesia, and Vietnam. These two migration routes are similar to those of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of shorebirds. 7.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iation and diversity of mtDNA CO1 gene among breeding sites To analyze of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ce among six breeding populations of western coastal areas in South Korea, total 88 samples of feather or blood of fledglings were collected from nests of each breeding site. The frequency,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tDNA CO1(cytochrome oxidase 1) gene haplotypes among breeding populations were analysed. Total 10 haplotypes were identified from the sites. It is found that the haplotype 3 is dominant. Seventy five out of individuals share the haplotype. Furthermore the haplotype is not observed in Namoo islet but in all breeding populations from all other breeding sites. Considering geographic distance, nesting habit and different migration routes among breeding sites, the population were divided in and analyzed northern(Region 1-Hwangseo and Seoman islet), central(Region 3-Namoo islet) and southern(Region 2-Samsan, Yuksan and Napdaegi islet) regional populations. The diversity of mtDNA CO1 gene haplotypes of the Chinese Egret in South Korea was low and it is thought that specific haplotyp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a certain breeding region. Tajima D neutrality test was conducted to infer whether the gene was selection or drift. The Tajima D values were nega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wo regions except for region 3. The result strongly suggest that genetic polymorphism and haplotype diversity of the gene at the region 1 and 2 was reduced and concentrated in specific haplotype at each region, because of purifying selection. This may mean that the reduction of genetic diversity due to rapid reduction of the whole population size by habitat destruction and disturbance by human activities in 19th century. When considering programs of artificial breeding of endangered or threatened species, such as Chinese Egret,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genetic structure and differentiation of a regional population that is potentially to be a source popul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reeding status of Chinese Egret (Egretta europhotes) and the temporal and regional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from 2000 to 2010 in Korea. The difference between summer and winter plumage of the Chinese Egret was described and the biological key to discriminate it from the similar species, Little Egret (Egretta garzeta),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breeding ecology of the specie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in site and among sites. Nest building tree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at each site was investigated. By investigating main tidal flats, which are known to be feeding sites of Chinese Egret, preferable distance conditions for selection tidal flats as its feeding sites. The main migration routes and major foraging sites were estimated by surveying major tidal flats in western coastal area in South Korea during the migration period. By color banding and re-finding survey specified by regions and years, individuals moving among breeding sites was discerned, and migration routes of Chinese Egret over Korea and East Asia were estimated. The genetic difference among breeding populations was analysed with mitochondrial DN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o conserve the endangered species, the Chinese Egret, was suggested. 1. Breeding status of the Chinese Egret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s investigated that ten islets were the main breeding sites of the Chinese Egret from 2000 to 2010 in Korea. As the species abandoned breeding at Ye islet, Changguyeop islet, and Seomeobyeol islet since 2008, 2005 and 2010, respectively. Only seven islets have been bred until 2010. The yearly maximum breeding populations are estimated to be 540 individuals at Changgugyeop islet in 2002, 500 and 680 individuals at Seomeobyeol islet in 2003 and 2004, 300 and 572 individuals at Hwangseo islet in 2008 and 2010,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 breeding populations of Napdaegi and Hwangseo islet continuously increased, while those of Chilsan and Seoman islet decreased. There will be total 1,000-1,600 individuals breeding in South Korea, which will be about 50% out of 2,600-3,400 individuals all over the world. Thus, It is suggested that South Korea is a critical region to preserve the endangered Chinese Egret population. 2. Seasonal changes in plumage, body color, and specific feeding behavior The Chinese Egret starts to changes its partial body color and plumages, from the August and the early September, after breeding. The noticeable changes in the appearance of the Chinese Egret are breeding crested feathers, the color of legs, feet, bill and facial skin. This species shows greenish black legs, greenish yellow feet, orange yellow bill and dark green facial skin with about twenty breeding crested feathers during the breeding seasons. During the non-breeding seasons, this species have grayish black upper mandible, yellow and black tip lower mandible, light green feet and light yellow facial skin with disappeared breeding crested feathers. The Chinese Egret differ from Little Egret in the color of bill, leg, feet, facial skin and the number of crested feathers. The Chinese Egret have species-specific foraging behavior, side running hunting behavior. In addition, they move more active in food hunting than the similar species, Little Egret. They foraged small fishes, crustacean(shrimps, crabs, sea slaters) and are taken to feed chicks, such as small fishes and shrimps. 3. The breeding ecology of the Chinese Egret The breeding ecology of Chinese Egret was investigated at six breeding sites, Namoo, Napdaegi, Samsan, Yuksan, Hwangseo and Seoman islet in 2010. The mean and one standard deviation of clutch size in investigated Chinese Egret was 3.21±0.78 with range of 1-6. The average clutch size was lowest at Yuksan islet population with 2.95±1.17, while highest at Namoo islet population with 3.86±0.77. They showed the average hatching success, the average breeding success and average fledglings per nest with 84.8%, 82.0% and 2.77, respectively. The breeding success of Chinese Egret was similar to breeding success of Little Egrets in inland. Breeding success was highest at Hwangseo islet with 91.1% and lowest at Napdaegi islet with 70.9%. Total 85.2% of breeding nests had 3-4 clutch siz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hatching and breeding success on clutch size in within breeding site and among breeding sites.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egg size among breeding sites. The eggs were heavier with higher breadth and volume rather than with higher length. The nest height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nesting tree species. The nest heights did not significant difference on clutch size among each breeding site, but the height increased with increasing clutch size over the breeding sites. The nest heights influenced breeding success: The Namoo islet with the highest nest heights showed, similar hatching(84.8%) and breeding success(81.8%) to average hatching(84.8%) and breeding success(82.0%), while the Napdaegi islet with the lowest nest heights showed lower hatching(72.9%) and breeding success(70.9) mainly due to rat predation. The remaining four islets of the middle nest heights showed higher hatching success(87-93%) and breeding success(83-91%) than of the average hatching and breeding success. Thus, this result indicate that Chinese Egrets may have benefit from breeding when the select middle levels of nest heights to avoid the risk of severe wind and predation. 4. Selection of nesting trees and the flora of the breeding sites Chinese Egrets used various kinds of nesting tree species: mainly Pseudosasa japonica in Namoo and Napdaegi islet, Elaeagnus macrophylla in Samsan islet, Elaeagnus macrophylla and Clerodendrum trichotomum in Yuksan islet, Rosa multiflora, Smilax china, Kudzu vine and Robinia pseudo-acacia in Hwangseo and Seoman islet. The selection of nesting trees might provide benefits from breeding by avoiding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minimizing the predation pressure. Vegetation types and distribution varied for each breeding sites. The most and second most various vegetation species were at Hwangseo and Seoman islet, respectively and Yuksan islet were the least speci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 among the size of islets, vegetation structure and breeding densities, because Chinese Egrets preferred certain nesting tree species depending on breeding sites. They chose specific nesting trees in each breeding sites, even though there exist various tree species on breeding sites. Preferable nesting trees were quite similar between central and southern breeding sites and among northern breeding sites, which will be ascribed to the differences of breeding habits among the breeding sites. 5. Major foraging sites of Chinese Egrets during breeding seasons and migration periods Tidal flats, which are known to be the main foraging sites of Chinese Egrets, were investigated. They preferred mudflat with higher proportion of sand than with higher proportion of mud. The Chinese Egret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idal hard surface flats covered with higher proportion of sand, or small peddle and rocks, or with small ponds in the low tide period. The distances between breeding sites and foraging tidal flats varied from 0 to 34km depending on breeding sites. The most adjacent regions of the foraging tidal flats from each breeding site were located within about 7 km.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in tidal flats within 7km are required to provide stable food habitat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Chinese Egret populations, as well as relevant vegetation, nesting trees and nesting materials. Most of the tidal flats used as foraging sites during breeding seasons were mainly overlapped with migration stopover sites, where the tidal flats were more extensively distributed over the South Korea. Especially, the southern breeding populations migrated towards the southern tidal flats after breeding season. Thus, management plans for preserving tidal flats used for breeding and stopover habitats for migration are required to protect and conserve Chinese Egret populations. 6. Color banding and surveying Chinese Egret individuals to reveal migration route, main foraging sites, movements of breeding population and wintering sites. From 2002 to 2004 and in 2008, total 361 fledglings were color-banded in six breeding sites, Seoman, Changguyeop, Seomeobyeol, Hwangseo, Chilsan and Napdaegi islet. Specific color combinations were used to indicate breeding sites and years. Ninety-nine additional individuals were also color-banded by another research team so that total 450 individuals were banded. Rediscovery of banded individuals were 16 in Korea and 3 abroad during survey period. Rediscovery rate was low(4.2%) mainly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among neighboring countries, extensive wintering distributions and high death rate of fledglings during migration periods. By observing color-banded individuals migration routes as well as main foraging sites were identified. Some individuals of northern breeding populations chooses two different migration routes of northward and southward, while individuals of southern breeding populations migrated southward along the western coastal lines. Thus, southern breeding populations at Chilsan and Napdaegi islets might migrate along the western coastal lines, through south coast of South Korea, Kyushu in Japan and Japanese islands, till Taiwan and the Philippines. Some of northern breeding populations at Seoman, Changguyeop, Hwangseo and Seomeobyeol islets might migrate southward and uses the same routes of southern breeding populations. Others might pass Baekryung islet and migrate towards Shandong peninsula in China, or fly directly over the Yellow Sea, and then move southward along the southern coastal lines in China till the main wintering sites in the Philippines, Thailand, Malaysia, Indonesia, and Vietnam. These two migration routes are similar to those of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of shorebirds. 7.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iation and diversity of mtDNA CO1 gene among breeding sites To analyze of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ce among six breeding populations of western coastal areas in South Korea, total 88 samples of feather or blood of fledglings were collected from nests of each breeding site. The frequency,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tDNA CO1(cytochrome oxidase 1) gene haplotypes among breeding populations were analysed. Total 10 haplotypes were identified from the sites. It is found that the haplotype 3 is dominant. Seventy five out of individuals share the haplotype. Furthermore the haplotype is not observed in Namoo islet but in all breeding populations from all other breeding sites. Considering geographic distance, nesting habit and different migration routes among breeding sites, the population were divided in and analyzed northern(Region 1-Hwangseo and Seoman islet), central(Region 3-Namoo islet) and southern(Region 2-Samsan, Yuksan and Napdaegi islet) regional populations. The diversity of mtDNA CO1 gene haplotypes of the Chinese Egret in South Korea was low and it is thought that specific haplotyp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a certain breeding region. Tajima D neutrality test was conducted to infer whether the gene was selection or drift. The Tajima D values were nega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wo regions except for region 3. The result strongly suggest that genetic polymorphism and haplotype diversity of the gene at the region 1 and 2 was reduced and concentrated in specific haplotype at each region, because of purifying selection. This may mean that the reduction of genetic diversity due to rapid reduction of the whole population size by habitat destruction and disturbance by human activities in 19th century. When considering programs of artificial breeding of endangered or threatened species, such as Chinese Egret,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genetic structure and differentiation of a regional population that is potentially to be a source popul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