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일자리 참여 노인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직무만족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 전주 시 소재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과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조사는 기관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협조를 받아 자기기입법으로 조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300부였으나 응답이 부실한 것을 제외한 총 168부를 최종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일자리 참여 노인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직무만족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 전주 시 소재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과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조사는 기관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협조를 받아 자기기입법으로 조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300부였으나 응답이 부실한 것을 제외한 총 168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조사는 2010년 8월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조사결과의 분석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나타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형태를 보면, 일자리 참여기간이 비교적 짧고(1년 미만이 많음), 근무시간도 많지 않은 편이며(1일 3-4시간, 주당 3-4일 근무가 많음), 참여하고 있는 일자리는 시장형이 가장 많다.
둘째, 참여 일자리 종류별로 노인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력수준은 교육형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이 가장 높고, 연령은 복지형이 가장 적으며, 생활비는 교육형이 가장 많고, 근로기간은 교육형이 가장 길며, 근로시간은 시장형이 가장 많다.
셋째,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비교적 높다. 즉 생활만족도 평균치가 3.67로서 이론적 평균치 2.5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이다. 차원별 순위를 보면 신체적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경제적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자신의 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 반면에 경제생활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직무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 평균치가 3.74로서 이론적 평균치 2.5보다 높다. 이것은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이 일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사업이 어느 정도 성공적이란 사실을 시사한다.
다섯째, 일자리 유형별 직무만족도는 교육형과 복지형 일자리의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에 공익형과 시장형 일자리의 직무만족도가 낮다.
여섯째, 직무만족도 하위차원별 순위를 보면 감독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반면 급여가 가장 낮았다. 노인들이 급여에 대해 큰 불만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우리나라 노인일자리가 거의 대부분 저임금 비정규직 일자리라는 사실이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일곱째, 생활만족도 분산분석 결과 연령이 적을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무만족도는 모든 변수와 통계학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덟째, 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0.622).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도 높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아홉째, 직무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수는 직무만족도를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귀식에 생활만족도를 포함시킬 경우 설명력(R2)은 매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노인의 직무만족도의 상당 부분을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생활만족도 이외에 학력과 주당 근무시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학력이 낮을수록, 주당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
이상과 같은 조사결과는 몇 가지 측면에서 노인일자리사업과 노인복지 관련 이론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먼저 노인일자리사업에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직무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사업이 어느 정도 성공적이란 사실을 시사한다. 그런 점에서 노인 일자리사업의 안착과 발전에 상당히 고무적인 현상이다. 나아가 이런 조사결과는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사업이 앞으로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는 당위를 강력히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일자리 유형별 직무만족도에서 공익형과 시장형 일자리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 두 일자리의 직무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시사한다.
셋째, 노인의 직무만족도 중 급여에 대한 불만이 가장 컸는데, 노인 일자리 사업의 가장 큰 개선점이 바로 급여란 사실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잘 알려져 있는 대로 우리나라 노인일자리가 대부분 저임금 비정규직 일자리이다. 따라서 정부는 노인 일자리 자체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데, 이것은 정부가 노인들에게 적극적으로 일자리사업에의 참여를 권유하고 권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왜냐하면 노인이 일을 함으로써 생활만족도가 높아지고, 생활만족도가 높으면 정신적ㆍ신체적으로 건강해지고, 건강한 노인은 가족과 사회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감소시켜주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조사결과는 노인복지론 분야에도 중요한 연구 과제를 시사한다. 즉 생활만족도는 연령, 학력수준, 건강상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이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직무만족도는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통계학적으로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이론적 규명이 필요할 것 같다. 다시 말해서 왜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가 직무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향후노인복지론 분야의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일자리 참여 노인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직무만족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 전주 시 소재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과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조사는 기관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협조를 받아 자기기입법으로 조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300부였으나 응답이 부실한 것을 제외한 총 168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조사는 2010년 8월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조사결과의 분석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나타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형태를 보면, 일자리 참여기간이 비교적 짧고(1년 미만이 많음), 근무시간도 많지 않은 편이며(1일 3-4시간, 주당 3-4일 근무가 많음), 참여하고 있는 일자리는 시장형이 가장 많다.
둘째, 참여 일자리 종류별로 노인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력수준은 교육형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이 가장 높고, 연령은 복지형이 가장 적으며, 생활비는 교육형이 가장 많고, 근로기간은 교육형이 가장 길며, 근로시간은 시장형이 가장 많다.
셋째,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비교적 높다. 즉 생활만족도 평균치가 3.67로서 이론적 평균치 2.5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이다. 차원별 순위를 보면 신체적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경제적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자신의 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 반면에 경제생활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직무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 평균치가 3.74로서 이론적 평균치 2.5보다 높다. 이것은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이 일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사업이 어느 정도 성공적이란 사실을 시사한다.
다섯째, 일자리 유형별 직무만족도는 교육형과 복지형 일자리의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에 공익형과 시장형 일자리의 직무만족도가 낮다.
여섯째, 직무만족도 하위차원별 순위를 보면 감독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반면 급여가 가장 낮았다. 노인들이 급여에 대해 큰 불만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우리나라 노인일자리가 거의 대부분 저임금 비정규직 일자리라는 사실이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일곱째, 생활만족도 분산분석 결과 연령이 적을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무만족도는 모든 변수와 통계학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덟째, 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0.622).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도 높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아홉째, 직무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수는 직무만족도를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귀식에 생활만족도를 포함시킬 경우 설명력(R2)은 매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노인의 직무만족도의 상당 부분을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생활만족도 이외에 학력과 주당 근무시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학력이 낮을수록, 주당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
이상과 같은 조사결과는 몇 가지 측면에서 노인일자리사업과 노인복지 관련 이론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먼저 노인일자리사업에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직무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사업이 어느 정도 성공적이란 사실을 시사한다. 그런 점에서 노인 일자리사업의 안착과 발전에 상당히 고무적인 현상이다. 나아가 이런 조사결과는 우리나라 노인 일자리사업이 앞으로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는 당위를 강력히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일자리 유형별 직무만족도에서 공익형과 시장형 일자리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 두 일자리의 직무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시사한다.
셋째, 노인의 직무만족도 중 급여에 대한 불만이 가장 컸는데, 노인 일자리 사업의 가장 큰 개선점이 바로 급여란 사실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잘 알려져 있는 대로 우리나라 노인일자리가 대부분 저임금 비정규직 일자리이다. 따라서 정부는 노인 일자리 자체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데, 이것은 정부가 노인들에게 적극적으로 일자리사업에의 참여를 권유하고 권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왜냐하면 노인이 일을 함으로써 생활만족도가 높아지고, 생활만족도가 높으면 정신적ㆍ신체적으로 건강해지고, 건강한 노인은 가족과 사회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감소시켜주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조사결과는 노인복지론 분야에도 중요한 연구 과제를 시사한다. 즉 생활만족도는 연령, 학력수준, 건강상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이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직무만족도는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통계학적으로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이론적 규명이 필요할 것 같다. 다시 말해서 왜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가 직무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향후노인복지론 분야의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find out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aged. Now the government is trying to create new jobs for the aged in order to positively meet the ageing society, but almost all the jobs for the aged...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find out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aged. Now the government is trying to create new jobs for the aged in order to positively meet the ageing society, but almost all the jobs for the aged are irregular and their incomes are very low. Therefore, we can expect job satisfaction of the aged participating in the job creation project of the government is relatively low.
For the purpose, 168 elderly who have jobs provide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clubs and elderly association which are managing the job creation project were sampled, and interview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 of job satisfaction scale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ir participating period of the job creation project is mostly less than 1 years, working time is 3-4 hours per a day, and the market type is the most one.
Second, the aged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type of jobs have highest educational background, most living cost and longest working time, the aged participation in the welfare type of jobs are youngest, and the aged in market type have longest working hours.
Third,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is relatively high. In dimensional aspect, physical satisfaction is highest, and economic satisfaction is lowest.
Fourth,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is relatively high either. It means that the aged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provided by government, and suggests that the job creation project is somewhat successful. And in the type of jobs, job satisfaction of educational and welfare type is relatively high,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and market type is relatively low. In aspect of job satisfaction's sub-dimension, supervision satisfaction is highest, and income satisfaction is lowest. The reason of low income satisfaction is the fact that their jobs are mostly irregular and their wages are very low.
Fifth,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socio-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s high. This means that the aged who have high life satisfaction have high job satisfaction either.
The results suggest something important to the job creation project. First, relatively high job satisfaction means the government support the job creation policy more strongly. Second, the jobs of public and market type must be improved. Third, the government needs to improve income level of the jobs for the aged.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participate more ag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find out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aged. Now the government is trying to create new jobs for the aged in order to positively meet the ageing society, but almost all the jobs for the aged are irregular and their incomes are very low. Therefore, we can expect job satisfaction of the aged participating in the job creation project of the government is relatively low.
For the purpose, 168 elderly who have jobs provide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clubs and elderly association which are managing the job creation project were sampled, and interview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 of job satisfaction scale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ir participating period of the job creation project is mostly less than 1 years, working time is 3-4 hours per a day, and the market type is the most one.
Second, the aged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type of jobs have highest educational background, most living cost and longest working time, the aged participation in the welfare type of jobs are youngest, and the aged in market type have longest working hours.
Third,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is relatively high. In dimensional aspect, physical satisfaction is highest, and economic satisfaction is lowest.
Fourth,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is relatively high either. It means that the aged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provided by government, and suggests that the job creation project is somewhat successful. And in the type of jobs, job satisfaction of educational and welfare type is relatively high,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and market type is relatively low. In aspect of job satisfaction's sub-dimension, supervision satisfaction is highest, and income satisfaction is lowest. The reason of low income satisfaction is the fact that their jobs are mostly irregular and their wages are very low.
Fifth,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socio-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s high. This means that the aged who have high life satisfaction have high job satisfaction either.
The results suggest something important to the job creation project. First, relatively high job satisfaction means the government support the job creation policy more strongly. Second, the jobs of public and market type must be improved. Third, the government needs to improve income level of the jobs for the aged.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participate more ag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