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시간 속에서 살고 있으며 시간 속에서 모든 삶을 이루어 나가는 시간적인 존재이다. 시간이란 ‘영원의 움직이는 모상’이며 ‘사건들이 진행되는 어떤 것’이고 ‘모든 현상 일반의 아프리오리한 형식적 조건’이기도 했으며 ‘시간은 의식의 연속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지속’으로 여기기도 한다. 시간이 무엇인가라는 것에 대한 물음은 우리의 현존재를 돌이켜보게 한다. 이렇듯 시간 개념과 시간에 대한 문제는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핵심 주제로 등장한다. 인류 문화의 역사와 함께 계속된 시간 연구는 철학뿐만 아니라 과학과 문학 그리고 예술의 주요한 소재로 다루어져 왔다. 더욱이 20세기 모더니즘 소설은 시간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시간의 표현 기법에 강한 강박관념을 갖고 있었다. 당대 소설가들은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혁신적인 시간 개념을 통해 인간의 의식과 심리를 표현하였다. 특히 버지니아 울프는 시간을 문학의 한 요소로 사용하면서 앙리 베르그손의 지속 이론을 작품에 적용한다. ‘지속’의 등장은 시간의 본질을 우리 존재의 시간적 성격과 구체적인 삶의 패러다임에서 찾아야 한다는 현대적 계기를 마련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울프의 세 소설 『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그리고 『파도』를 중심으로 시간에 대한 문학적 고찰을 통해 작품을 분석하면서, 울프가 시간과 인간의 의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의식 안에서 시간 이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다룬다. 특별히 프랑스 철학자 베르그손의 시간 이론들을 세 작품에 적용하여 소설들의 의미를 분석하면서 모더니즘과의 ...
인간은 시간 속에서 살고 있으며 시간 속에서 모든 삶을 이루어 나가는 시간적인 존재이다. 시간이란 ‘영원의 움직이는 모상’이며 ‘사건들이 진행되는 어떤 것’이고 ‘모든 현상 일반의 아프리오리한 형식적 조건’이기도 했으며 ‘시간은 의식의 연속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지속’으로 여기기도 한다. 시간이 무엇인가라는 것에 대한 물음은 우리의 현존재를 돌이켜보게 한다. 이렇듯 시간 개념과 시간에 대한 문제는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핵심 주제로 등장한다. 인류 문화의 역사와 함께 계속된 시간 연구는 철학뿐만 아니라 과학과 문학 그리고 예술의 주요한 소재로 다루어져 왔다. 더욱이 20세기 모더니즘 소설은 시간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시간의 표현 기법에 강한 강박관념을 갖고 있었다. 당대 소설가들은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혁신적인 시간 개념을 통해 인간의 의식과 심리를 표현하였다. 특히 버지니아 울프는 시간을 문학의 한 요소로 사용하면서 앙리 베르그손의 지속 이론을 작품에 적용한다. ‘지속’의 등장은 시간의 본질을 우리 존재의 시간적 성격과 구체적인 삶의 패러다임에서 찾아야 한다는 현대적 계기를 마련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울프의 세 소설 『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그리고 『파도』를 중심으로 시간에 대한 문학적 고찰을 통해 작품을 분석하면서, 울프가 시간과 인간의 의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의식 안에서 시간 이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다룬다. 특별히 프랑스 철학자 베르그손의 시간 이론들을 세 작품에 적용하여 소설들의 의미를 분석하면서 모더니즘과의 관계성 속에서 울프의 시간과 공간개념을 알아본다. 20세기 철학자 베르그손은 세계가 시간을 이해하는 방법을 변화시켰다. 더욱이 그는 모더니스트들의 사유 중에서도 시간의 영역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베르그손은 시간이란 과거, 현재, 미래의 선형적 형태가 아니라 하나의 동시적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과거는 현재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는 의식 속에서 미래와 함께 작용한다. 또한 시간이란 흐름이며 끝없이 변화하는 것으로 실재하는 것은 변화 그 자체로 여겼으며, 의식의 흐름에서 ‘지속’을 발견함으로써 당시와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시간을 사유할 수 있도록 했다. 베르그손이 말하는 지속이란 우리들의 자아가 느끼고 체험하는 실재적이고 현실적인 시간이다. 지속은 현재 존재하는 시간이며 과거, 현재, 미래가 융합되는 초월적 순간이다. 이러한 순간은 각성의 순간이며 현현의 순간이고, 자기실현과 자아 달성의 순간이다. 또한 순수 지속이란, 자아가 살아가는 대로 몸을 맡겨서, 현재의 상태와 그것에 선행하는 상태들 사이에 경계를 짓지 않을 때 의식의 상태들이 취하는 형태이다. 베르그손의 지속과 기억의 이론은 울프가 의식 속에서 시간의 흐름과 이동을 다루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울프는 플롯이나 인물 묘사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기존의 전통적인 소설 기법을 무시하면서 시간을 하나의 독립된 문학 장치로 다룬다. 울프는 일상의 의식을 초월해서 존재하는 어떤 것 즉 존재의 순간을 묘사하는데 이것은 베르그손의 지속의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 혼돈의 세계에서 자아가 살아남을 수 있는 계기로 작동한다. 또한 울프의 세 작품에서 시간과 기억의 관계를 통해 인물들의 의식 속에서의 시간의 본질을 살펴보고, 이것을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혹학』에서 이야기하는 비자발적 기억의 개념과 비교함으로써 울프가 이야기하려는 주관적 시간의 정체를 알 수 있다. 리꾀르(Paul Ricoeur)는 문학이란 시간 밖에 존재하지만 최초의 느낌을 얻는 것은 예술 작품이 생명을 회복하고, 예술 작품에 의해 창조된 무한성의 의미를 통해 초시간적인 순간에서 생명을 회복할 수 있는 역설적인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고 논한다. 울프에게 있어서 심리적 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실재이며, 달리 말하면 베르그손의 지속의 인물들과 유사하다. 또한 마지막으로 프루스트처럼 울프의 소설은 예술 작품의 영감을 통해 심리적 공간에서 잃어버린 시간의 초시간적인(extratemporal) 회복을 성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간은 시간 속에서 살고 있으며 시간 속에서 모든 삶을 이루어 나가는 시간적인 존재이다. 시간이란 ‘영원의 움직이는 모상’이며 ‘사건들이 진행되는 어떤 것’이고 ‘모든 현상 일반의 아프리오리한 형식적 조건’이기도 했으며 ‘시간은 의식의 연속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지속’으로 여기기도 한다. 시간이 무엇인가라는 것에 대한 물음은 우리의 현존재를 돌이켜보게 한다. 이렇듯 시간 개념과 시간에 대한 문제는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핵심 주제로 등장한다. 인류 문화의 역사와 함께 계속된 시간 연구는 철학뿐만 아니라 과학과 문학 그리고 예술의 주요한 소재로 다루어져 왔다. 더욱이 20세기 모더니즘 소설은 시간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시간의 표현 기법에 강한 강박관념을 갖고 있었다. 당대 소설가들은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혁신적인 시간 개념을 통해 인간의 의식과 심리를 표현하였다. 특히 버지니아 울프는 시간을 문학의 한 요소로 사용하면서 앙리 베르그손의 지속 이론을 작품에 적용한다. ‘지속’의 등장은 시간의 본질을 우리 존재의 시간적 성격과 구체적인 삶의 패러다임에서 찾아야 한다는 현대적 계기를 마련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울프의 세 소설 『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그리고 『파도』를 중심으로 시간에 대한 문학적 고찰을 통해 작품을 분석하면서, 울프가 시간과 인간의 의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의식 안에서 시간 이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다룬다. 특별히 프랑스 철학자 베르그손의 시간 이론들을 세 작품에 적용하여 소설들의 의미를 분석하면서 모더니즘과의 관계성 속에서 울프의 시간과 공간개념을 알아본다. 20세기 철학자 베르그손은 세계가 시간을 이해하는 방법을 변화시켰다. 더욱이 그는 모더니스트들의 사유 중에서도 시간의 영역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베르그손은 시간이란 과거, 현재, 미래의 선형적 형태가 아니라 하나의 동시적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과거는 현재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는 의식 속에서 미래와 함께 작용한다. 또한 시간이란 흐름이며 끝없이 변화하는 것으로 실재하는 것은 변화 그 자체로 여겼으며, 의식의 흐름에서 ‘지속’을 발견함으로써 당시와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시간을 사유할 수 있도록 했다. 베르그손이 말하는 지속이란 우리들의 자아가 느끼고 체험하는 실재적이고 현실적인 시간이다. 지속은 현재 존재하는 시간이며 과거, 현재, 미래가 융합되는 초월적 순간이다. 이러한 순간은 각성의 순간이며 현현의 순간이고, 자기실현과 자아 달성의 순간이다. 또한 순수 지속이란, 자아가 살아가는 대로 몸을 맡겨서, 현재의 상태와 그것에 선행하는 상태들 사이에 경계를 짓지 않을 때 의식의 상태들이 취하는 형태이다. 베르그손의 지속과 기억의 이론은 울프가 의식 속에서 시간의 흐름과 이동을 다루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울프는 플롯이나 인물 묘사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기존의 전통적인 소설 기법을 무시하면서 시간을 하나의 독립된 문학 장치로 다룬다. 울프는 일상의 의식을 초월해서 존재하는 어떤 것 즉 존재의 순간을 묘사하는데 이것은 베르그손의 지속의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 혼돈의 세계에서 자아가 살아남을 수 있는 계기로 작동한다. 또한 울프의 세 작품에서 시간과 기억의 관계를 통해 인물들의 의식 속에서의 시간의 본질을 살펴보고, 이것을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혹학』에서 이야기하는 비자발적 기억의 개념과 비교함으로써 울프가 이야기하려는 주관적 시간의 정체를 알 수 있다. 리꾀르(Paul Ricoeur)는 문학이란 시간 밖에 존재하지만 최초의 느낌을 얻는 것은 예술 작품이 생명을 회복하고, 예술 작품에 의해 창조된 무한성의 의미를 통해 초시간적인 순간에서 생명을 회복할 수 있는 역설적인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고 논한다. 울프에게 있어서 심리적 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실재이며, 달리 말하면 베르그손의 지속의 인물들과 유사하다. 또한 마지막으로 프루스트처럼 울프의 소설은 예술 작품의 영감을 통해 심리적 공간에서 잃어버린 시간의 초시간적인(extratemporal) 회복을 성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literary portrayals of time in three novels written by Virginia Woolf: Mrs. Dalloway, To the Lighthouse, and The Waves. Specifically, I apply French Philosopher Henri Bergson's theories of time to the texts so a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ovels. Henri Bergson, tw...
This dissertation explores literary portrayals of time in three novels written by Virginia Woolf: Mrs. Dalloway, To the Lighthouse, and The Waves. Specifically, I apply French Philosopher Henri Bergson's theories of time to the texts so a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ovels. Henri Bergson, twentieth century philosopher, changed the way the world understands time. Furthermore, he absolutely had a great effect on modernist thought, particularly in the area of time. In his philosophy, Bergson insists that time works as one simultaneous concept rather than working as a linear tim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past has an influence on the present, and the present functions with the future in mind. Bergson introduces the notion of 'duration' as the time of inner experience, the time of past, present and future. Pure duration is the form which the succession of our conscious states assumes when our ego lets itself live, when it refrains from separating its present state from its former states. That is, real duration is the dynamic temporality of one's psychic experience that exists within the self in relation and in response to temporality in general. Bergson's idea of duration, memory, or of an eternal flux which precedes the categories of time and space, has a close resemblance to Woolf's treatment of the fluid movement of time within the consciousness. Virginia Woolf looked for a new form which could overthrow the technique of conventional fiction. Woolf attempted to describe something existing beyond everyday consciousness, the idea of which is connected with Bergsonian 'duration'. For example, the moment of being Clarissa in Mrs Dalloway encounters becomes the most significant durational moment for her while Clarissa is alone at the end of the party. This epiphanic moment of duration at the end of the novel animates a optimistic reading. Clarissa survives her day. She does not abandon her inner self, nor does she abandon her social self. In addition, Woolf begins to use time as a literary element, thereby reducing her development of plot and characterization. Next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conception of memory, or the non-chronological time of recollection, in Woolf, Proust, and Bergson. The involuntary memory of Bergsonian duration is compared with Proustian narrator's reminiscence. Proustian discontinuous space is also an effective means of rendering the character's consciousness, which moves non-chronologically. Proustian's reminiscence connects the intuitive elements of duration with the more voluntary elements of conscious organization. By the way the Proustian narrator's trial to recapture the essence of the past is resonated in that of Woolf's characters to transcend unconscious desire for unifying the past. Finally, Ricoeur argues that literature stands outside time and yet that regaining the original impression means that the work of art has recovered life in the extratemporal moment. For Woolf, mental space is a constantly changing reality, or in other words resembles the character of Bergsonian duration. Woolf's writing like that of Prous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extratemporal 'recovery' of lost time in mental space through the inspiration of works of art. Besides, what makes her writing notably modernist in its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time is its focus on the unique ways in which each subject constructs or reconstructs an external world, which is thus at least as mental and individual as it is material and universal.
This dissertation explores literary portrayals of time in three novels written by Virginia Woolf: Mrs. Dalloway, To the Lighthouse, and The Waves. Specifically, I apply French Philosopher Henri Bergson's theories of time to the texts so a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ovels. Henri Bergson, twentieth century philosopher, changed the way the world understands time. Furthermore, he absolutely had a great effect on modernist thought, particularly in the area of time. In his philosophy, Bergson insists that time works as one simultaneous concept rather than working as a linear tim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past has an influence on the present, and the present functions with the future in mind. Bergson introduces the notion of 'duration' as the time of inner experience, the time of past, present and future. Pure duration is the form which the succession of our conscious states assumes when our ego lets itself live, when it refrains from separating its present state from its former states. That is, real duration is the dynamic temporality of one's psychic experience that exists within the self in relation and in response to temporality in general. Bergson's idea of duration, memory, or of an eternal flux which precedes the categories of time and space, has a close resemblance to Woolf's treatment of the fluid movement of time within the consciousness. Virginia Woolf looked for a new form which could overthrow the technique of conventional fiction. Woolf attempted to describe something existing beyond everyday consciousness, the idea of which is connected with Bergsonian 'duration'. For example, the moment of being Clarissa in Mrs Dalloway encounters becomes the most significant durational moment for her while Clarissa is alone at the end of the party. This epiphanic moment of duration at the end of the novel animates a optimistic reading. Clarissa survives her day. She does not abandon her inner self, nor does she abandon her social self. In addition, Woolf begins to use time as a literary element, thereby reducing her development of plot and characterization. Next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conception of memory, or the non-chronological time of recollection, in Woolf, Proust, and Bergson. The involuntary memory of Bergsonian duration is compared with Proustian narrator's reminiscence. Proustian discontinuous space is also an effective means of rendering the character's consciousness, which moves non-chronologically. Proustian's reminiscence connects the intuitive elements of duration with the more voluntary elements of conscious organization. By the way the Proustian narrator's trial to recapture the essence of the past is resonated in that of Woolf's characters to transcend unconscious desire for unifying the past. Finally, Ricoeur argues that literature stands outside time and yet that regaining the original impression means that the work of art has recovered life in the extratemporal moment. For Woolf, mental space is a constantly changing reality, or in other words resembles the character of Bergsonian duration. Woolf's writing like that of Prous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extratemporal 'recovery' of lost time in mental space through the inspiration of works of art. Besides, what makes her writing notably modernist in its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time is its focus on the unique ways in which each subject constructs or reconstructs an external world, which is thus at least as mental and individual as it is material and universa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