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硏究의 目的은 韓國語를 배우는 中級 段階의 外國人 學習者들에게 필요한 反意語를 選定하여 語彙 目錄을 설정하고, 이를 활용한 戰略的 反意語 敎育 方案을 마련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敎育 實驗을 통해 反意語 語彙 敎育의 效用性을 檢證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반의어 교육은 어휘 교육 영역 안에서 잠시 언급될 뿐 구체적인 특정 대상에 따른 학습 단계 및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어휘 교육을 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교육 실험을 바탕으로 한 검증을 통해 다양한 어휘 교육 방법 가운...
이 硏究의 目的은 韓國語를 배우는 中級 段階의 外國人 學習者들에게 필요한 反意語를 選定하여 語彙 目錄을 설정하고, 이를 활용한 戰略的 反意語 敎育 方案을 마련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敎育 實驗을 통해 反意語 語彙 敎育의 效用性을 檢證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반의어 교육은 어휘 교육 영역 안에서 잠시 언급될 뿐 구체적인 특정 대상에 따른 학습 단계 및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어휘 교육을 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교육 실험을 바탕으로 한 검증을 통해 다양한 어휘 교육 방법 가운데 반의어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效率性에 대한 信賴性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급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한 반의어 교육의 樣相과 그 理論을 살펴보고, 실제 교육 현장의 학습자와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반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設問調査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반의어 교육의 필요성과 효율성을 좀 더 살펴보기 위해 韓國語能力試驗에 나타나는 語彙 問項과 韓國語 敎材에 등장하는 語彙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한국어교육의 분포 양상을 살펴본 후에,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중급 단계의 학습자들을 위한 意味 관계의 類型에 따른 反意語 語彙 目錄을 선정하고, 戰略的 反意語 語彙 敎育 方案 및 授業 模型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교육 방안을 바탕으로 한 교육 실험을 진행하여 反意語 敎育의 效果性을 증명하였다.
앞으로 중급 단계뿐만이 아니라 여러 단계의 학습자들을 위한 반의어 목록 및 교육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外國人 學習者들을 위한 語彙 目錄 또는 더 나아가 反意語 辭典을 편찬한다면 반의어 어휘 교육 활용에 근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 硏究의 目的은 韓國語를 배우는 中級 段階의 外國人 學習者들에게 필요한 反意語를 選定하여 語彙 目錄을 설정하고, 이를 활용한 戰略的 反意語 敎育 方案을 마련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敎育 實驗을 통해 反意語 語彙 敎育의 效用性을 檢證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반의어 교육은 어휘 교육 영역 안에서 잠시 언급될 뿐 구체적인 특정 대상에 따른 학습 단계 및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어휘 교육을 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교육 실험을 바탕으로 한 검증을 통해 다양한 어휘 교육 방법 가운데 반의어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效率性에 대한 信賴性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급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한 반의어 교육의 樣相과 그 理論을 살펴보고, 실제 교육 현장의 학습자와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반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設問調査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반의어 교육의 필요성과 효율성을 좀 더 살펴보기 위해 韓國語能力試驗에 나타나는 語彙 問項과 韓國語 敎材에 등장하는 語彙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한국어교육의 분포 양상을 살펴본 후에,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중급 단계의 학습자들을 위한 意味 관계의 類型에 따른 反意語 語彙 目錄을 선정하고, 戰略的 反意語 語彙 敎育 方案 및 授業 模型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교육 방안을 바탕으로 한 교육 실험을 진행하여 反意語 敎育의 效果性을 증명하였다.
앞으로 중급 단계뿐만이 아니라 여러 단계의 학습자들을 위한 반의어 목록 및 교육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外國人 學習者들을 위한 語彙 目錄 또는 더 나아가 反意語 辭典을 편찬한다면 반의어 어휘 교육 활용에 근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organize a strategic teaching system of antonyms for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y developing a list of antonyms for intermediate learners.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e usefulness of teaching antonyms through an educational experiment that applies a str...
The present study aims to organize a strategic teaching system of antonyms for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y developing a list of antonyms for intermediate learners.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e usefulness of teaching antonyms through an educational experiment that applies a strategic teaching method.
Until now, teaching antonyms was underemphasized in an area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limits on teaching vocabulary, since no reliable guidelines are drawn up for levels of fluency. However, this study proves that making use of antonyms as a teaching tool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teach vocabulary.
The study reviews the theory and practice of antonym education, especially for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 survey targeting teachers and students in class finds that they feel the need of antonym education.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antonym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vocabulary from antonyms that appear on questions from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recently published textbooks. It also compiles a list of antonyms for non-native intermediate learners, which are applicable to classroom practice, and suggests the strategic method of teaching antonyms. Based on the teaching method set up by making the best use of a list of antonyms, the educational experiment conducted in the stud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antonym education.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ist of antonyms not only for intermediate learners but for other learners in different levels. Compiling a dictionary of antonyms for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ould be helpful to efficiently educate and learn vocabulary.
The present study aims to organize a strategic teaching system of antonyms for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y developing a list of antonyms for intermediate learners.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e usefulness of teaching antonyms through an educational experiment that applies a strategic teaching method.
Until now, teaching antonyms was underemphasized in an area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limits on teaching vocabulary, since no reliable guidelines are drawn up for levels of fluency. However, this study proves that making use of antonyms as a teaching tool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teach vocabulary.
The study reviews the theory and practice of antonym education, especially for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 survey targeting teachers and students in class finds that they feel the need of antonym education.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antonym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vocabulary from antonyms that appear on questions from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recently published textbooks. It also compiles a list of antonyms for non-native intermediate learners, which are applicable to classroom practice, and suggests the strategic method of teaching antonyms. Based on the teaching method set up by making the best use of a list of antonyms, the educational experiment conducted in the stud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antonym education.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ist of antonyms not only for intermediate learners but for other learners in different levels. Compiling a dictionary of antonyms for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ould be helpful to efficiently educate and learn vocabula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