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교육청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인식 연구 : 3개 교육청 전산직 공무원 중심으로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n Information Technology Public Servants Working in Office of Education : Focusing on 3 Offices of Educa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교육행정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전산직 공무원의 업무의 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직무 재설계 및 인사관리의 기초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청 전산직 공무원의 발전적 기틀을 정립하고,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을 통해 조직개선의 방향을 탐색하여 교육행정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산직 공무원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그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인식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교육청의 지방교육행정직 또는 사서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연구경향인데 반해, 본 연구는 더 나아가 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교육청 전산직의 인식과 직무에 대하여 분석하고, 소수 직렬인 전산직 공무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교육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전산직 인력의 관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부산광역시교육청, 울산광역시교육청 및 경상남도교육청에 근무하는 전체 전산직 공무원 168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업무 독창성, 업무 흥미, 자신의 업무 중요성 및 자율성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업무과중으로 인한 업무 부담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진 전망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 응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산직 공무원은 인원수가 적고, 타 직렬보다 상위 직급에 대한 정원 비율이 낮아 승진할 수 있는 기회조차 오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자신의 직무와 관련한 보수 정도에 대해서도 매우 불만족 상태이다. 이는 전산직 공무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선행 논문에서도 공무원의 공통된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넷째, 전산직원들은 상․하를 불문하고 유대관계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공식적 모임은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렬의 만족도, 직업 선택에 대한 만족도, 업무능력에 대한 인정 등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업무능력에 대해 5급은 자신의 업무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전산직 공무원들은 상․하 직급을 불문하고 업무협조 및 의사소통 등은 잘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로 사무관들은 팀 내 많은 인력관리로 업무는 과중하지만 직렬과 직종이 다른 상급자에게 인정은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업무와 관련된 ...
본 연구는 교육행정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전산직 공무원의 업무의 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직무 재설계 및 인사관리의 기초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청 전산직 공무원의 발전적 기틀을 정립하고,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을 통해 조직개선의 방향을 탐색하여 교육행정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산직 공무원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그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인식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교육청의 지방교육행정직 또는 사서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연구경향인데 반해, 본 연구는 더 나아가 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교육청 전산직의 인식과 직무에 대하여 분석하고, 소수 직렬인 전산직 공무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교육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전산직 인력의 관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부산광역시교육청, 울산광역시교육청 및 경상남도교육청에 근무하는 전체 전산직 공무원 168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업무 독창성, 업무 흥미, 자신의 업무 중요성 및 자율성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업무과중으로 인한 업무 부담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진 전망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 응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산직 공무원은 인원수가 적고, 타 직렬보다 상위 직급에 대한 정원 비율이 낮아 승진할 수 있는 기회조차 오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자신의 직무와 관련한 보수 정도에 대해서도 매우 불만족 상태이다. 이는 전산직 공무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선행 논문에서도 공무원의 공통된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넷째, 전산직원들은 상․하를 불문하고 유대관계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공식적 모임은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렬의 만족도, 직업 선택에 대한 만족도, 업무능력에 대한 인정 등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업무능력에 대해 5급은 자신의 업무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전산직 공무원들은 상․하 직급을 불문하고 업무협조 및 의사소통 등은 잘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로 사무관들은 팀 내 많은 인력관리로 업무는 과중하지만 직렬과 직종이 다른 상급자에게 인정은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업무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참여가 수월하고, 상사와의 의견 교환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무가 다양하고 독창성이 많아 하위 직급의 업무라도 상위 직급에서 단독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전산업무의 특수성이 있기 때문이다. 설문조사 결과 전산직 공무원은 인사 관련, 보수 관련에 대하여 불만족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보완하는 방법을 토대로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만족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사제도 개선으로 정보화 업무 증가에 맞는 인력 확보를 위한 법․제도 마련이 필요하고, 정보화가 많은 부서에 전산직 공무원들을 순환 근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승진 임용이 발생하면 직렬을 통합하여 승진할 수 있도록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보수체계 개선으로 공무원 보수가 기본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하고, 성과급 및 시간외수당 지급 제도를 개선하여 연공서열 보다 일하는 공무원이 근무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급변하는 업무를 신속하게 적용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전산실 근무자들의 전문성을 인정하여 전 문관으로 임명함으로써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업무의 다양성 및 전문성이 요구되는 정보화부분에 지속적인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전산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지원금 지급 확대로 전산직 공무원의 사기를 높여 주어야 할 것이며, 교육․훈련 이수 후 일정한 성과에 도달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가 마련되어 체계적인 전산직 공무원의 인력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행정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전산직 공무원의 업무의 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직무 재설계 및 인사관리의 기초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청 전산직 공무원의 발전적 기틀을 정립하고,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을 통해 조직개선의 방향을 탐색하여 교육행정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산직 공무원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그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인식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교육청의 지방교육행정직 또는 사서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연구경향인데 반해, 본 연구는 더 나아가 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교육청 전산직의 인식과 직무에 대하여 분석하고, 소수 직렬인 전산직 공무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교육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전산직 인력의 관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부산광역시교육청, 울산광역시교육청 및 경상남도교육청에 근무하는 전체 전산직 공무원 168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업무 독창성, 업무 흥미, 자신의 업무 중요성 및 자율성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업무과중으로 인한 업무 부담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진 전망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 응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산직 공무원은 인원수가 적고, 타 직렬보다 상위 직급에 대한 정원 비율이 낮아 승진할 수 있는 기회조차 오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자신의 직무와 관련한 보수 정도에 대해서도 매우 불만족 상태이다. 이는 전산직 공무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선행 논문에서도 공무원의 공통된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넷째, 전산직원들은 상․하를 불문하고 유대관계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공식적 모임은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렬의 만족도, 직업 선택에 대한 만족도, 업무능력에 대한 인정 등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업무능력에 대해 5급은 자신의 업무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전산직 공무원들은 상․하 직급을 불문하고 업무협조 및 의사소통 등은 잘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로 사무관들은 팀 내 많은 인력관리로 업무는 과중하지만 직렬과 직종이 다른 상급자에게 인정은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업무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참여가 수월하고, 상사와의 의견 교환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무가 다양하고 독창성이 많아 하위 직급의 업무라도 상위 직급에서 단독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전산업무의 특수성이 있기 때문이다. 설문조사 결과 전산직 공무원은 인사 관련, 보수 관련에 대하여 불만족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보완하는 방법을 토대로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만족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사제도 개선으로 정보화 업무 증가에 맞는 인력 확보를 위한 법․제도 마련이 필요하고, 정보화가 많은 부서에 전산직 공무원들을 순환 근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승진 임용이 발생하면 직렬을 통합하여 승진할 수 있도록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보수체계 개선으로 공무원 보수가 기본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하고, 성과급 및 시간외수당 지급 제도를 개선하여 연공서열 보다 일하는 공무원이 근무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급변하는 업무를 신속하게 적용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전산실 근무자들의 전문성을 인정하여 전 문관으로 임명함으로써 전산직 공무원의 직무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업무의 다양성 및 전문성이 요구되는 정보화부분에 지속적인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전산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지원금 지급 확대로 전산직 공무원의 사기를 높여 주어야 할 것이며, 교육․훈련 이수 후 일정한 성과에 도달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가 마련되어 체계적인 전산직 공무원의 인력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