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칠곡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의 농경지(논, 밭)의 토양과 간이상수, 하천수를 채취하고 과거 조사대상지역에서 문제가 된적이 있는 중금속, 즉 납, 구리, 카드뮴, 비소, 아연과 그리고 오염을 유발할 잠재성 중금속인 총크롬의 함유량을 조사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지역은 칠곡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이며 논토양 28개 지점, 밭토양 66개 지점에서 총 9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중금속함유량을 분석하고 농경지에 존재하는 중금속함유량을 ...
본 연구에서는 칠곡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의 농경지(논, 밭)의 토양과 간이상수, 하천수를 채취하고 과거 조사대상지역에서 문제가 된적이 있는 중금속, 즉 납, 구리, 카드뮴, 비소, 아연과 그리고 오염을 유발할 잠재성 중금속인 총크롬의 함유량을 조사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지역은 칠곡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이며 논토양 28개 지점, 밭토양 66개 지점에서 총 9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중금속함유량을 분석하고 농경지에 존재하는 중금속함유량을 토양오염 우려기준 그리고 2007년 전국평균, 한국토양의 자연함유량과 비교 평가하고, 이격거리에 따른 중금속 분포 그리고 신․구 공정시험법간의 상관성을 판단하고, 수질시료는 풍수기(6월)와 갈수기(10월)로 나누어 16개 지점에서 16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중금속을 분석해 칠곡폐금속광산 인근지역의 농경지 토양의 오염관리 및 수질을 관리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논토양과 밭토양을 분석한 결과를 구법과 신법으로 적용했을때 각 기준별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법을 적용했을때 카드뮴, 비소, 아연이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논토양의 자연함유량과 비교한 결과 28개 지점 중 카드뮴이 28개 지점 모두 초과했고, 아연은 12개 지점에서 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의 논토양 자연함유량 최대값에 비해 카드뮴 평균함유량이 1.74배, 아연은 1.02배로 나타났다. 한국 밭토양의 자연함유량과 비교한 결과 66개 지점 중 카드뮴이 63개 지점, 아연은 1개 지점, 구리는 7개 지점, 납은 2개 지점에서 각각 초과했다. 한국의 밭토양 자연함유량 최대값에 비해 카드뮴 평균함유량이 1.38배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7년도 전국평균과 비교한 결과 중금속 함유량을 구법을 적용했을 때 밭토양에서는 카드뮴, 구리, 니켈이 초과했으며, 논토양에서는 카드뮴, 구리, 납, 아연, 니켈이 초과하였다. 따라서 밭토양에 비해 논토양의 전체적인 중금속 오염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잠정적인 오염원인 칠곡폐금속광산 갱구를 기점으로 이격거리에 따른 경작지의 토양의 중금속분포를 살펴보면 갱구로부터 주로 1,500m에서 3,000m사이에 중금속이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이격거리 2,710m지점의 밭토양에서 카드뮴, 구리 등 2개 항목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에 육박하는 지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구 공정시험법을 적용해 분석한 중금속함유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구 공정시험법으로 분석한 결과에 비해 신 공정시험법기준으로 분석한 결과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신․구 공정시험법간의 상관관계는 각 중금속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신․구 공정시험법간의 상관성이 가장 양호한 중금속은 구리이며 구 공정시험법의 결과는 신 공정시험법의 약 15% 수준으로 나타났고, 두 시험법간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70으로 나타났다. 풍수기(6월)와 갈수기(10월)에 채취한 수질시료를 분석한 결과 비소, 카드뮴, 납, 수은, 6가크롬 모두 불검출로 확인되었으며, 주민들이 식수로 이용하는 간이상수와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중금속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칠곡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의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함유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향후 이 지역에서 가장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금속으로는 카드뮴으로 조사되었으며, 향후 카드뮴에 대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칠곡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의 농경지(논, 밭)의 토양과 간이상수, 하천수를 채취하고 과거 조사대상지역에서 문제가 된적이 있는 중금속, 즉 납, 구리, 카드뮴, 비소, 아연과 그리고 오염을 유발할 잠재성 중금속인 총크롬의 함유량을 조사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지역은 칠곡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이며 논토양 28개 지점, 밭토양 66개 지점에서 총 9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중금속함유량을 분석하고 농경지에 존재하는 중금속함유량을 토양오염 우려기준 그리고 2007년 전국평균, 한국토양의 자연함유량과 비교 평가하고, 이격거리에 따른 중금속 분포 그리고 신․구 공정시험법간의 상관성을 판단하고, 수질시료는 풍수기(6월)와 갈수기(10월)로 나누어 16개 지점에서 16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중금속을 분석해 칠곡폐금속광산 인근지역의 농경지 토양의 오염관리 및 수질을 관리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논토양과 밭토양을 분석한 결과를 구법과 신법으로 적용했을때 각 기준별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법을 적용했을때 카드뮴, 비소, 아연이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논토양의 자연함유량과 비교한 결과 28개 지점 중 카드뮴이 28개 지점 모두 초과했고, 아연은 12개 지점에서 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의 논토양 자연함유량 최대값에 비해 카드뮴 평균함유량이 1.74배, 아연은 1.02배로 나타났다. 한국 밭토양의 자연함유량과 비교한 결과 66개 지점 중 카드뮴이 63개 지점, 아연은 1개 지점, 구리는 7개 지점, 납은 2개 지점에서 각각 초과했다. 한국의 밭토양 자연함유량 최대값에 비해 카드뮴 평균함유량이 1.38배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7년도 전국평균과 비교한 결과 중금속 함유량을 구법을 적용했을 때 밭토양에서는 카드뮴, 구리, 니켈이 초과했으며, 논토양에서는 카드뮴, 구리, 납, 아연, 니켈이 초과하였다. 따라서 밭토양에 비해 논토양의 전체적인 중금속 오염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잠정적인 오염원인 칠곡폐금속광산 갱구를 기점으로 이격거리에 따른 경작지의 토양의 중금속분포를 살펴보면 갱구로부터 주로 1,500m에서 3,000m사이에 중금속이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이격거리 2,710m지점의 밭토양에서 카드뮴, 구리 등 2개 항목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에 육박하는 지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구 공정시험법을 적용해 분석한 중금속함유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구 공정시험법으로 분석한 결과에 비해 신 공정시험법기준으로 분석한 결과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신․구 공정시험법간의 상관관계는 각 중금속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신․구 공정시험법간의 상관성이 가장 양호한 중금속은 구리이며 구 공정시험법의 결과는 신 공정시험법의 약 15% 수준으로 나타났고, 두 시험법간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70으로 나타났다. 풍수기(6월)와 갈수기(10월)에 채취한 수질시료를 분석한 결과 비소, 카드뮴, 납, 수은, 6가크롬 모두 불검출로 확인되었으며, 주민들이 식수로 이용하는 간이상수와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중금속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칠곡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의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함유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향후 이 지역에서 가장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금속으로는 카드뮴으로 조사되었으며, 향후 카드뮴에 대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For the research, soils, provisional supply water and stream water at the agricultural fields (fields and paddies) near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in Chilgok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hich were problems at the investigation region, namely, the contents of lead, copp...
For the research, soils, provisional supply water and stream water at the agricultural fields (fields and paddies) near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in Chilgok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hich were problems at the investigation region, namely, the contents of lead, copper, cadmium, arsenic and zinc, and the content of total chromium were investigated. Total of 94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8 locations for paddy soils and 66 locations for field soils, respectively, in the investigation region Chilgok area. The 16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6 locations dividing into Wet Season(June) and Dry Season(October). It was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manage the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fields near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samples, comparing and assessing the heavy metal contents analyzed by the old official test method with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and 2007 national averages, and judging the heavy meta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length and the correlation of the old and the new official test. When applying the old and the new method for the results of paddy and filed soil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 item exceeding the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and when applied the new method, it was discovered that cadmium, arsenic and zinc were found in relatively high level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with natural Korean paddy soils, at 28 locations the cadmium contents 28 locations all exceeded and the zinc content at 12 locations exceeded. The average content of cadmium appeared as 1.74 times of natural Korean paddy soils and zinc as 1.02 times of natural Korean paddy soils value with the maximum. In the comparison with natural Korean field soils, among the 66 location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admium contents at 63 locations exceeded that of natural Korean field soils, the zinc content at 1 location, the copper contents at 7 locations, In the comparison with the maximum contents of natural Korean field soils, the average cadmium content appeared as 1.38 tim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with 2007 national averages, when applying the old method the contents of cadmium, copper and nickel exceeded at the filed soil. At the Paddy the contents of cadmium, copper, lead, zinc and nickel exceeded. so it were investigated highly of contamination heavy matals at the Paddy more than filed soil. If reviewing the heavy metal distribution of the farmland soils according to the distance length from the pithead of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becoming a potential source of contamination, the heavy metals are distributed between 1,500m to 3,000m distance from the pithead. Especially, the two items of cadmium and copper were investigated as exceeding the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at the field soil of 2,710m poi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of heavy metal contents using the old and the new official test, it was verified that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new official test appeared higher in general compared to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old official te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official test was grea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heavy metals. The heavy metal showing the most satisfying correla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official test was copper, the result of the old official test remained at about 15% of the new official test,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ests was 0.7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Wet Season(June) and the Dry Season(October),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arsenic, cadmium, lead, mercury and hexavalent chromium were not detected at all, and have no relation with the heavy metals to harm the provisional water supply and the local residents. In conclusion, as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heavy metal contents of the farmland soils near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the heavy metal concerned to become the biggest contamination problem in this region in the future was investigated as cadmium,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er measures must be steady management in order to avoid any damages occurred by cadmium in the future.
For the research, soils, provisional supply water and stream water at the agricultural fields (fields and paddies) near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in Chilgok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hich were problems at the investigation region, namely, the contents of lead, copper, cadmium, arsenic and zinc, and the content of total chromium were investigated. Total of 94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8 locations for paddy soils and 66 locations for field soils, respectively, in the investigation region Chilgok area. The 16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6 locations dividing into Wet Season(June) and Dry Season(October). It was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manage the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fields near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samples, comparing and assessing the heavy metal contents analyzed by the old official test method with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and 2007 national averages, and judging the heavy meta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length and the correlation of the old and the new official test. When applying the old and the new method for the results of paddy and filed soil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 item exceeding the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and when applied the new method, it was discovered that cadmium, arsenic and zinc were found in relatively high level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with natural Korean paddy soils, at 28 locations the cadmium contents 28 locations all exceeded and the zinc content at 12 locations exceeded. The average content of cadmium appeared as 1.74 times of natural Korean paddy soils and zinc as 1.02 times of natural Korean paddy soils value with the maximum. In the comparison with natural Korean field soils, among the 66 location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admium contents at 63 locations exceeded that of natural Korean field soils, the zinc content at 1 location, the copper contents at 7 locations, In the comparison with the maximum contents of natural Korean field soils, the average cadmium content appeared as 1.38 tim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with 2007 national averages, when applying the old method the contents of cadmium, copper and nickel exceeded at the filed soil. At the Paddy the contents of cadmium, copper, lead, zinc and nickel exceeded. so it were investigated highly of contamination heavy matals at the Paddy more than filed soil. If reviewing the heavy metal distribution of the farmland soils according to the distance length from the pithead of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becoming a potential source of contamination, the heavy metals are distributed between 1,500m to 3,000m distance from the pithead. Especially, the two items of cadmium and copper were investigated as exceeding the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at the field soil of 2,710m poi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of heavy metal contents using the old and the new official test, it was verified that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new official test appeared higher in general compared to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old official te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official test was grea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heavy metals. The heavy metal showing the most satisfying correla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official test was copper, the result of the old official test remained at about 15% of the new official test,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ests was 0.7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Wet Season(June) and the Dry Season(October),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arsenic, cadmium, lead, mercury and hexavalent chromium were not detected at all, and have no relation with the heavy metals to harm the provisional water supply and the local residents. In conclusion, as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heavy metal contents of the farmland soils near Chilgok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the heavy metal concerned to become the biggest contamination problem in this region in the future was investigated as cadmium,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er measures must be steady management in order to avoid any damages occurred by cadmium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