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에 관한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 사례연구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o Relieve Depression of Alzheimer’s Seniors : a Case Study원문보기
본 연구는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 S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으로서 총 5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검사는 미술치료 시작 1주전인 2010년 4월에 실시하고, 사후검사는 미술치료 마지막 회기 1주일 후인 2010년 9월에 실시하였다. 회상을 적용한 사진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0년 5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조맹제 등(1999)이 번역한 단축 형 노인우울 척도(...
본 연구는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 S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으로서 총 5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검사는 미술치료 시작 1주전인 2010년 4월에 실시하고, 사후검사는 미술치료 마지막 회기 1주일 후인 2010년 9월에 실시하였다. 회상을 적용한 사진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0년 5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조맹제 등(1999)이 번역한 단축 형 노인우울 척도(SGDS)와 Buck(1948)이 개발한 집-나무-사람 그림(HTP)검사를 사용하였고, Matson(1989)이 제시한 우울행동 특성들을 토대로 매 회기 별 행동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회기 별 우울반응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회기 별 우울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셋째,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 척도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넷째,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집-나무-사람 그림(HTP) 우울 지표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즉,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이 사진과 미술매체를 통해 과거의 긍정적인 기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성취감과 삶의 활력을 얻을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우울 감소에도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는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 S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으로서 총 5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검사는 미술치료 시작 1주전인 2010년 4월에 실시하고, 사후검사는 미술치료 마지막 회기 1주일 후인 2010년 9월에 실시하였다. 회상을 적용한 사진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0년 5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조맹제 등(1999)이 번역한 단축 형 노인우울 척도(SGDS)와 Buck(1948)이 개발한 집-나무-사람 그림(HTP)검사를 사용하였고, Matson(1989)이 제시한 우울행동 특성들을 토대로 매 회기 별 행동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회기 별 우울반응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회기 별 우울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셋째,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 척도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넷째,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집-나무-사람 그림(HTP) 우울 지표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즉,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이 사진과 미술매체를 통해 과거의 긍정적인 기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성취감과 삶의 활력을 얻을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우울 감소에도 도움이 되었다.
This case study is closely focused on how the photo art therapy affects Alzheimer’s seniors to relieve depression. The research objects are five-Alzheimer’s seniors as S senior’s hospital- inpatients in D-city, South Korea. In order to research this case study, a preliminary examination was taken on...
This case study is closely focused on how the photo art therapy affects Alzheimer’s seniors to relieve depression. The research objects are five-Alzheimer’s seniors as S senior’s hospital- inpatients in D-city, South Korea. In order to research this case study, a preliminary examination was taken on April of 2010, a week before beginning of art therapy. A post-examination was also taken on September of 2010, which was one-week after the last session of art therapy.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echnique was treated on Alzheimer’s seniors for 50 minutes as one session; one session per week, total 16 sessions.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of Alzheimer’s Seniors,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translated by Cho & etc(1999), House-Tree-Person test or HTP for short (Buck, 1948) and depressive behaviors presented by Matson(1989) were applied to those seniors at every session. All of the result data is carried out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The summarized result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akes effect to draw the positive changes of depressive reaction of the Alzheimer’s seniors during the each session. Second,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akes effect to draw the positive changes of depressive behaviors of the Alzheimer’s seniors during the session. Third,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akes effect to draw the positive changes of SGDS of the Alzheimer’s seniors. Forth,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akes effect to draw the positive changes of HTP scale of the Alzheimer’s seniors. In conclusion, it means that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echnique helps Alzheimer’s seniors to feel sense of accomplishment and vigor by expressing visually their positive past memories through the photo art article.
This case study is closely focused on how the photo art therapy affects Alzheimer’s seniors to relieve depression. The research objects are five-Alzheimer’s seniors as S senior’s hospital- inpatients in D-city, South Korea. In order to research this case study, a preliminary examination was taken on April of 2010, a week before beginning of art therapy. A post-examination was also taken on September of 2010, which was one-week after the last session of art therapy.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echnique was treated on Alzheimer’s seniors for 50 minutes as one session; one session per week, total 16 sessions.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of Alzheimer’s Seniors,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translated by Cho & etc(1999), House-Tree-Person test or HTP for short (Buck, 1948) and depressive behaviors presented by Matson(1989) were applied to those seniors at every session. All of the result data is carried out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The summarized result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akes effect to draw the positive changes of depressive reaction of the Alzheimer’s seniors during the each session. Second,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akes effect to draw the positive changes of depressive behaviors of the Alzheimer’s seniors during the session. Third,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akes effect to draw the positive changes of SGDS of the Alzheimer’s seniors. Forth,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akes effect to draw the positive changes of HTP scale of the Alzheimer’s seniors. In conclusion, it means that the photo art therapy applying a memory-recollection technique helps Alzheimer’s seniors to feel sense of accomplishment and vigor by expressing visually their positive past memories through the photo art article.
Keyword
#Photo art therapy Alzheimer Depression 알츠하이머 사진미술치료
학위논문 정보
저자
조민희
학위수여기관
대구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재활심리학과 미술치료전공
지도교수
최은영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103 p.
키워드
Photo art therapy Alzheimer Depression 알츠하이머 사진미술치료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