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야생화를 실내의 금속 벽장식으로 표현하게 됨으로써 예술적 미감을 체험하고, 환경미관을 증진하는 등 자연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적 안정감과 생활에 활력소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사회가 급속히 발달하면서 물질이 풍족해지고 생활이 편리해졌으나 산업사회의 고도발달은 생활양식의 변화와 획일화된 시각 환경으로 현대인의 개성표출 기회를 줄여 왔다. 또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더 이상 사람들은 획일화된 환경과 상품을 원하지 않으며 자신만의 독특한 분위기와 개성 창출을 위해 계속적인 창조와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주거공간 중 벽을 장식하는 소품으로 조형적, 장식적, ...
본 연구는 야생화를 실내의 금속 벽장식으로 표현하게 됨으로써 예술적 미감을 체험하고, 환경미관을 증진하는 등 자연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적 안정감과 생활에 활력소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사회가 급속히 발달하면서 물질이 풍족해지고 생활이 편리해졌으나 산업사회의 고도발달은 생활양식의 변화와 획일화된 시각 환경으로 현대인의 개성표출 기회를 줄여 왔다. 또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더 이상 사람들은 획일화된 환경과 상품을 원하지 않으며 자신만의 독특한 분위기와 개성 창출을 위해 계속적인 창조와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주거공간 중 벽을 장식하는 소품으로 조형적, 장식적, 기능적 가치도 다변화되어지며 우리의 생활 속에서 벽장식, 조명, 거울의 형태로 나타난다. 우리는 꽃을 가꾸고 감상하며 그것을 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마음의 위안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꽃의 의미와 연관된 작품을 제작하여 생활 속의 즐거움을 누리고자 한다. 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아름다움의 상징이며 다양한 형태와 색을 가지고 있어 조형화하는데 있어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인간의 도움 없이 스스로 자라서 꽃을 피우며 살아가는 꽃의 생명력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정신적 위안과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기에 실내 벽장식을 야생화의 형태를 응용하여 인간의 미적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야생화의 형태를 이용한 실내 벽장식 개발연구에 있어서 먼저 표현소재로써의 야생화의 구조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고, 친환경적 실내공간과 실내 금속 벽장식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야생화가 가지고 있는 간결하고 생동감 넘치는 부드러운 디자인 요소들을 접목시켜 실내 벽장식으로 벽장식과 거울, 조명으로 제작하였다. 제작하는데 있어 꽃을 주제로 한만큼 화려하게 표현하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도 고려해 형태는 단순화시키되 부분적인 요소를 확대하여 강조하여 꽃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야생화를 조형화한 금속 벽장식은 심미성과과 생활이 결부되어 나타나는 작품이다. 아름다움에만 그쳐서는 안되며, 보다 깊숙이 생활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고, 단순히 쓰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균형 있는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야생화가 가지는 다양한 형과 색은 조형화 과정에 있어서 좋은 소재이며, 사용자의 쓰임과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실내 벽장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야생화를 실내의 금속 벽장식으로 표현하게 됨으로써 예술적 미감을 체험하고, 환경미관을 증진하는 등 자연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적 안정감과 생활에 활력소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사회가 급속히 발달하면서 물질이 풍족해지고 생활이 편리해졌으나 산업사회의 고도발달은 생활양식의 변화와 획일화된 시각 환경으로 현대인의 개성표출 기회를 줄여 왔다. 또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더 이상 사람들은 획일화된 환경과 상품을 원하지 않으며 자신만의 독특한 분위기와 개성 창출을 위해 계속적인 창조와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주거공간 중 벽을 장식하는 소품으로 조형적, 장식적, 기능적 가치도 다변화되어지며 우리의 생활 속에서 벽장식, 조명, 거울의 형태로 나타난다. 우리는 꽃을 가꾸고 감상하며 그것을 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마음의 위안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꽃의 의미와 연관된 작품을 제작하여 생활 속의 즐거움을 누리고자 한다. 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아름다움의 상징이며 다양한 형태와 색을 가지고 있어 조형화하는데 있어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인간의 도움 없이 스스로 자라서 꽃을 피우며 살아가는 꽃의 생명력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정신적 위안과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기에 실내 벽장식을 야생화의 형태를 응용하여 인간의 미적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야생화의 형태를 이용한 실내 벽장식 개발연구에 있어서 먼저 표현소재로써의 야생화의 구조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고, 친환경적 실내공간과 실내 금속 벽장식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야생화가 가지고 있는 간결하고 생동감 넘치는 부드러운 디자인 요소들을 접목시켜 실내 벽장식으로 벽장식과 거울, 조명으로 제작하였다. 제작하는데 있어 꽃을 주제로 한만큼 화려하게 표현하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도 고려해 형태는 단순화시키되 부분적인 요소를 확대하여 강조하여 꽃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야생화를 조형화한 금속 벽장식은 심미성과과 생활이 결부되어 나타나는 작품이다. 아름다움에만 그쳐서는 안되며, 보다 깊숙이 생활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고, 단순히 쓰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균형 있는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야생화가 가지는 다양한 형과 색은 조형화 과정에 있어서 좋은 소재이며, 사용자의 쓰임과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실내 벽장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s objective is to let people feel emotional stability and cutting edge for their life through artistic beauty as well as improve environmental view by expressing wild flowers in the form of metal wall decorations. In contemporary society developing rapidly, people enjoy materialistic abun...
This study’s objective is to let people feel emotional stability and cutting edge for their life through artistic beauty as well as improve environmental view by expressing wild flowers in the form of metal wall decorations. In contemporary society developing rapidly, people enjoy materialistic abundance and convenient life, but highly developed industrial society reduces an opportunity to show individuality of modern people, indeed. Thus, many people showing greater interest in living space no longer want uniform environment or products but they are seeking continued creation and novelty to generate their own unique atmosphere and individuality. With this trend, the value of props for wall decoration, part of living space, tends to be diversified in formative, decorative and functional terms, and props appear in the form of wall decoration, lighting, mirror, etc. We can find emotional comfort while keeping and appreciating flowers and by expressing them as artistic works and further we try to enjoy pleasure in life by making works connected with meanings of flowers. Whether in the Orient or the Occident, flowers symbolize beauty and can become good materials suited for formative works since they have many different shapes and colors. As a life force of wild flowers, which grow and bloom for themselves without help of people, can give mental comfort and emotional stability to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stress, this author aimed at expressing shapes of wild flowers as beautiful craftworks which can satisfy aesthetic desires of man. This author studied the structure and species of wild flowers as expressive material as well as eco-friendly indoor space and indoor metal wall decoration before and for development research of indoor wall decoration, using shapes of wild flowers. This author made wall decorations, mirrors and lighting for wall decoration by grafting spontaneous design elements full of simplicity and vitality which wild flowers have. As I made craftworks focusing on flowers, I expressed them splendidly but at the same time tried to consider practicality and simplify the shape of flowers so that people can use conveniently. And I also expressed feelings of flowers by enlarging and emphasizing partial elements. In conclusion, metal wall decorations using shapes of wild flowers are works which appear through combination of aesthetics and life. Wall decorations must not pursue merely beauty but be utilized in life; and they must not be conanded to usability, but pursue the harmony of beauty and balance as well. As various shapes and colors which wild flowers have are good materials suited for formative crafts, they will be of great service for indoor wall decoration which can meet the use and aesthetic desires of a user, I expect.
This study’s objective is to let people feel emotional stability and cutting edge for their life through artistic beauty as well as improve environmental view by expressing wild flowers in the form of metal wall decorations. In contemporary society developing rapidly, people enjoy materialistic abundance and convenient life, but highly developed industrial society reduces an opportunity to show individuality of modern people, indeed. Thus, many people showing greater interest in living space no longer want uniform environment or products but they are seeking continued creation and novelty to generate their own unique atmosphere and individuality. With this trend, the value of props for wall decoration, part of living space, tends to be diversified in formative, decorative and functional terms, and props appear in the form of wall decoration, lighting, mirror, etc. We can find emotional comfort while keeping and appreciating flowers and by expressing them as artistic works and further we try to enjoy pleasure in life by making works connected with meanings of flowers. Whether in the Orient or the Occident, flowers symbolize beauty and can become good materials suited for formative works since they have many different shapes and colors. As a life force of wild flowers, which grow and bloom for themselves without help of people, can give mental comfort and emotional stability to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stress, this author aimed at expressing shapes of wild flowers as beautiful craftworks which can satisfy aesthetic desires of man. This author studied the structure and species of wild flowers as expressive material as well as eco-friendly indoor space and indoor metal wall decoration before and for development research of indoor wall decoration, using shapes of wild flowers. This author made wall decorations, mirrors and lighting for wall decoration by grafting spontaneous design elements full of simplicity and vitality which wild flowers have. As I made craftworks focusing on flowers, I expressed them splendidly but at the same time tried to consider practicality and simplify the shape of flowers so that people can use conveniently. And I also expressed feelings of flowers by enlarging and emphasizing partial elements. In conclusion, metal wall decorations using shapes of wild flowers are works which appear through combination of aesthetics and life. Wall decorations must not pursue merely beauty but be utilized in life; and they must not be conanded to usability, but pursue the harmony of beauty and balance as well. As various shapes and colors which wild flowers have are good materials suited for formative crafts, they will be of great service for indoor wall decoration which can meet the use and aesthetic desires of a user, I expec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