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불교 조계종 승려의 노후복지에 관한 연구 : 대한불교 조계종 광주·전남지역 사찰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olicies of the Old-Age Welfare for the Priests in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원문보기
본 연구는 현재 조계종 승려들이 처한 현실과 노후복지에 대한 관련욕구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이를 중심으로 아직 체계화 되지 않은 승려들의 노후복지에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승려노후복지에 필요한 종단차원의 각종 정책 및 대책에 관한 제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승려들의 삶의 질 향상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승려들의 노후복지를 주거, 의료, 소득보장, 노후복지의 주체로 구분하여 현재 승려들이 처한 상황과 노후복지에 대한 욕구 등을 파악하여 노후복지에 대한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은 대한불교조계종 광주·전남지역 사찰에 거주하는 승려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1일부터 2010년 8월 17일까지 47일간 실시하였고, 전체 184부를 배포하고 134부를 회수하여 72.8%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의 방법은 우편과 직접방문 배포 · 회수를 병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Ver12.0(한글판)을 이용하여 기초통계인 ...
본 연구는 현재 조계종 승려들이 처한 현실과 노후복지에 대한 관련욕구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이를 중심으로 아직 체계화 되지 않은 승려들의 노후복지에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승려노후복지에 필요한 종단차원의 각종 정책 및 대책에 관한 제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승려들의 삶의 질 향상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승려들의 노후복지를 주거, 의료, 소득보장, 노후복지의 주체로 구분하여 현재 승려들이 처한 상황과 노후복지에 대한 욕구 등을 파악하여 노후복지에 대한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은 대한불교조계종 광주·전남지역 사찰에 거주하는 승려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1일부터 2010년 8월 17일까지 47일간 실시하였고, 전체 184부를 배포하고 134부를 회수하여 72.8%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의 방법은 우편과 직접방문 배포 · 회수를 병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Ver12.0(한글판)을 이용하여 기초통계인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ANOVA분석을 실시하고, 또한 두 집단(정식승려집단, 예비승려집단)간의 차이를 볼 수 있는 T-test, 변수 간 인과관계를 알아보는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제 승려노후복지문제는 단순히 승려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국가의 노후복지문제를 개인과 사회가 분담해야 하듯이 조계종 승려노후복지문제도 종단과 구성원 전체(僧侶)가 함께 풀어가야 할 문제이다. 일반사회복지의 주체는 국가의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이미 각 선행연구의 통계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승려노후복지의 주체는 당연히 종단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종단은 모든 사찰의 인사권(人事權)을 가지고 있고 각 사찰로부터 분담금(分擔金)을 받고 있으며, 막대한 예산의 운용(豫算運用)과 행정능력(行政能力)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종단은 그 구성원들이 당면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주어야 하는 당위적인 책임이 부가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 재가불자들의 적극적 후원과 자원봉사활동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승려 개인의 생활이 제도적으로 보장받지 못하면 수행풍토(修行風土)가 흐려지고, 종단의 근간(根幹)이 흔들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 청정(淸淨)과 화합(和合), 무소유(無所有)와 공동체 정신(共同體 情神)으로 청정한 수행생활을 하는 수행자(修行者), 사회적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덕망(德望)있는 성직자(聖職者)를 육성할 수 없게 되어 종단의 대 사회적 위상(對 社會的 位相)도 제고(提高)할 수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승려노후복지 문제를 통하여 한국불교(曹溪宗)의 단면 및 현 주소를 살펴보았다. 사실 승려 자신이 사회복지적인 용어인 복지대상(福祉對象)에 언급된다는 사실이 부자연스럽겠지만, 그 보다는 그에 따른 능동적 대처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판단된다. 이에 종단에서는 외형적(外形的)인 대형불사(大形佛事)위주에서 탈피하여 내적인재육성(內的人材育成)에 만전을 기하여야 하며, 종단차원에서 승려노후복지제도(僧侶老後福祉制度)를 확립(確立)하고 체계화(體系化)시키는 노력들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현재 종단의 핵심사업(核心事業)으로 추진 중인 ‘승려개인재산종단출연(僧侶個人財産宗團出捐)’에 관하여 좀 더 세심한 법적대안(法的代案)과 전문성(專門性)을 요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 능력의 한계와 시간과 비용 상의 제약으로 본 연구에 구체적으로 연결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 부분은 종단차원(宗團次元)의 법·제도(法·制度)전문가나 향후 연구자의 책임이기도 하다. 또한 조계종 소속 전체 승려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全數調査)를 하지 못한데서 오는 일반화(一般化)의 한계와 연구범위를 특정지역(特定地域)으로 한정하여 객관화(客觀化)에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주거(住居), 의료(醫療), 소득보장(所得保障)에 대해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방안 등을 제시하여야 하나, 시간과 비용 상의 제약으로 연구가 많이 부진함을 향후 연구자의 몫으로 남긴다. 현대사회복지의 큰 화두(話頭)는 통합(Intergration)과 융합(Convergence)이다(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조계종에서는 불교의 제 종단이나 타 종교의 노후복지제도를 참고(Bench-Marking)하면서 노후복지와 관련된 승려들의 불만과 욕구를 승려노후복지제도와 잘 결합시키고 폭넓게 통섭(通攝, Consilience, Fusion)하여, 소통과 화합(2010년 부처님오신 날의 표어는 “소통(疏通)과 화합(和合)으로 함께하는 세상”이다.)의 시대에 걸 맞는 승려노후복지제도를 확립함으로써 대중화합(大衆和合)과 청정승가(淸淨僧伽)를 구현하여 종단전체의 안정을 도모하고, 나아가 불교사회복지의 새로운 가치창출(New-Paradigm)을 기대해 본다. 주제어 : 불교승려, 조계종승려, 노 승려, 승려노후복지, 은퇴성직자.
본 연구는 현재 조계종 승려들이 처한 현실과 노후복지에 대한 관련욕구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이를 중심으로 아직 체계화 되지 않은 승려들의 노후복지에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승려노후복지에 필요한 종단차원의 각종 정책 및 대책에 관한 제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승려들의 삶의 질 향상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승려들의 노후복지를 주거, 의료, 소득보장, 노후복지의 주체로 구분하여 현재 승려들이 처한 상황과 노후복지에 대한 욕구 등을 파악하여 노후복지에 대한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은 대한불교조계종 광주·전남지역 사찰에 거주하는 승려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1일부터 2010년 8월 17일까지 47일간 실시하였고, 전체 184부를 배포하고 134부를 회수하여 72.8%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의 방법은 우편과 직접방문 배포 · 회수를 병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Ver12.0(한글판)을 이용하여 기초통계인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ANOVA분석을 실시하고, 또한 두 집단(정식승려집단, 예비승려집단)간의 차이를 볼 수 있는 T-test, 변수 간 인과관계를 알아보는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제 승려노후복지문제는 단순히 승려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국가의 노후복지문제를 개인과 사회가 분담해야 하듯이 조계종 승려노후복지문제도 종단과 구성원 전체(僧侶)가 함께 풀어가야 할 문제이다. 일반사회복지의 주체는 국가의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이미 각 선행연구의 통계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승려노후복지의 주체는 당연히 종단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종단은 모든 사찰의 인사권(人事權)을 가지고 있고 각 사찰로부터 분담금(分擔金)을 받고 있으며, 막대한 예산의 운용(豫算運用)과 행정능력(行政能力)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종단은 그 구성원들이 당면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주어야 하는 당위적인 책임이 부가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 재가불자들의 적극적 후원과 자원봉사활동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승려 개인의 생활이 제도적으로 보장받지 못하면 수행풍토(修行風土)가 흐려지고, 종단의 근간(根幹)이 흔들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 청정(淸淨)과 화합(和合), 무소유(無所有)와 공동체 정신(共同體 情神)으로 청정한 수행생활을 하는 수행자(修行者), 사회적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덕망(德望)있는 성직자(聖職者)를 육성할 수 없게 되어 종단의 대 사회적 위상(對 社會的 位相)도 제고(提高)할 수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승려노후복지 문제를 통하여 한국불교(曹溪宗)의 단면 및 현 주소를 살펴보았다. 사실 승려 자신이 사회복지적인 용어인 복지대상(福祉對象)에 언급된다는 사실이 부자연스럽겠지만, 그 보다는 그에 따른 능동적 대처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판단된다. 이에 종단에서는 외형적(外形的)인 대형불사(大形佛事)위주에서 탈피하여 내적인재육성(內的人材育成)에 만전을 기하여야 하며, 종단차원에서 승려노후복지제도(僧侶老後福祉制度)를 확립(確立)하고 체계화(體系化)시키는 노력들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현재 종단의 핵심사업(核心事業)으로 추진 중인 ‘승려개인재산종단출연(僧侶個人財産宗團出捐)’에 관하여 좀 더 세심한 법적대안(法的代案)과 전문성(專門性)을 요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 능력의 한계와 시간과 비용 상의 제약으로 본 연구에 구체적으로 연결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 부분은 종단차원(宗團次元)의 법·제도(法·制度)전문가나 향후 연구자의 책임이기도 하다. 또한 조계종 소속 전체 승려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全數調査)를 하지 못한데서 오는 일반화(一般化)의 한계와 연구범위를 특정지역(特定地域)으로 한정하여 객관화(客觀化)에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주거(住居), 의료(醫療), 소득보장(所得保障)에 대해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방안 등을 제시하여야 하나, 시간과 비용 상의 제약으로 연구가 많이 부진함을 향후 연구자의 몫으로 남긴다. 현대사회복지의 큰 화두(話頭)는 통합(Intergration)과 융합(Convergence)이다(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조계종에서는 불교의 제 종단이나 타 종교의 노후복지제도를 참고(Bench-Marking)하면서 노후복지와 관련된 승려들의 불만과 욕구를 승려노후복지제도와 잘 결합시키고 폭넓게 통섭(通攝, Consilience, Fusion)하여, 소통과 화합(2010년 부처님오신 날의 표어는 “소통(疏通)과 화합(和合)으로 함께하는 세상”이다.)의 시대에 걸 맞는 승려노후복지제도를 확립함으로써 대중화합(大衆和合)과 청정승가(淸淨僧伽)를 구현하여 종단전체의 안정을 도모하고, 나아가 불교사회복지의 새로운 가치창출(New-Paradigm)을 기대해 본다. 주제어 : 불교승려, 조계종승려, 노 승려, 승려노후복지, 은퇴성직자.
The purpose of this study seeks for policy alternative to promote the welfare of aged priests in Jogye Oredr and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ir living quality through out the understanding reality of aged priests, their needs for welfare and the points at issue. This study, to do this, classifi...
The purpose of this study seeks for policy alternative to promote the welfare of aged priests in Jogye Oredr and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ir living quality through out the understanding reality of aged priests, their needs for welfare and the points at issue. This study, to do this, classifies the welfare for aged priests into four groups(housing welfare, medical welfare, income security and welfare for the aged), and proposes concrete alternative for the welfare of aged priest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priests in Jogye Order living in the temple in Gwangju and Chonnam area. The period of the survey is 47days from July 1st to August 17th 2010, and the collect rate of questionnaires is 72.8% as 134 from 184 questionnaires. The methods of survey distribution and collection are mail and direct visits. Statistical analysis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ANOVA analysis as a basic statistics, go into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12.0(Korean version). The welfare problem of aged priests is not a simple personal problem. The welfare problem of aged priests in Jogye Order have to be solved with Jogye order and all together of the member such as national aged welfare problem is solved with individuals and society. As general social welfare is conducted by the leading role of the state, the leading group of the welfare problem of aged priests must be Jogye Order mentioned by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Jogye Order as a nation's largest Buddhist sect have authority over personnel management in all temples, receive a share of expenses, and have the right of budget management. The Jogye Order have to be active in finding a solution to members' problem. In addition, the buddhist should give positive support and serve as a volunteer. If priests can not receive security for living, the condition of asceticism will be shaken, and falter the basis of the Jogye Order. This study inquire into section and real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by the welfare problem of aged priests. Even though priests supposed be unnatural in referencing as a welfare case, it seems that we need to change the way we regard those problem and cope with matters in a positive attitude. Therefore, it takes the view that the Jogye Order have to establish and systematize the system of the welfare for aged priests. This study has some limits in researcher's abilities, time, expenses and so on even it make a demand expertise and detailed legal alternative that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s the core business at the end of 'the end of private property appeared priests'. This part is also responsible fo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pecialists in the level of Jogye Order and perspective researchers. The main topic of modern society is 'intergration' and 'convergence'(Korea Institute of Social Welfare, 2010). It is expected that Jogye order will consult other religious order or organizations in welfare system for aged person, combine aged priests' needs and welfare system, settle down welfare system for aged priests' in well reflected the times, and promote the stability of Jogye Order and create new paradigm in Buddhist Welfare. Key words : buddhist preists, preists in jogye order, aged preists, welfare for old preists, retired mini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eks for policy alternative to promote the welfare of aged priests in Jogye Oredr and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ir living quality through out the understanding reality of aged priests, their needs for welfare and the points at issue. This study, to do this, classifies the welfare for aged priests into four groups(housing welfare, medical welfare, income security and welfare for the aged), and proposes concrete alternative for the welfare of aged priest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priests in Jogye Order living in the temple in Gwangju and Chonnam area. The period of the survey is 47days from July 1st to August 17th 2010, and the collect rate of questionnaires is 72.8% as 134 from 184 questionnaires. The methods of survey distribution and collection are mail and direct visits. Statistical analysis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ANOVA analysis as a basic statistics, go into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12.0(Korean version). The welfare problem of aged priests is not a simple personal problem. The welfare problem of aged priests in Jogye Order have to be solved with Jogye order and all together of the member such as national aged welfare problem is solved with individuals and society. As general social welfare is conducted by the leading role of the state, the leading group of the welfare problem of aged priests must be Jogye Order mentioned by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Jogye Order as a nation's largest Buddhist sect have authority over personnel management in all temples, receive a share of expenses, and have the right of budget management. The Jogye Order have to be active in finding a solution to members' problem. In addition, the buddhist should give positive support and serve as a volunteer. If priests can not receive security for living, the condition of asceticism will be shaken, and falter the basis of the Jogye Order. This study inquire into section and real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by the welfare problem of aged priests. Even though priests supposed be unnatural in referencing as a welfare case, it seems that we need to change the way we regard those problem and cope with matters in a positive attitude. Therefore, it takes the view that the Jogye Order have to establish and systematize the system of the welfare for aged priests. This study has some limits in researcher's abilities, time, expenses and so on even it make a demand expertise and detailed legal alternative that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s the core business at the end of 'the end of private property appeared priests'. This part is also responsible fo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pecialists in the level of Jogye Order and perspective researchers. The main topic of modern society is 'intergration' and 'convergence'(Korea Institute of Social Welfare, 2010). It is expected that Jogye order will consult other religious order or organizations in welfare system for aged person, combine aged priests' needs and welfare system, settle down welfare system for aged priests' in well reflected the times, and promote the stability of Jogye Order and create new paradigm in Buddhist Welfare. Key words : buddhist preists, preists in jogye order, aged preists, welfare for old preists, retired minist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