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구과학Ⅰ 수능예시문항을 통해 고3 자연계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기대치를 조사하여 학생과 교사의 지구과학 개념 인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제고를 위해 2010년 5월에 필자가 제작한 지구과학Ⅰ수능 예시 문항 시험지를 사용하여 모의고사 형태로 전국의 학생들에게 풀도록 하였다. 문항수는 수능시험과 동일하게 20문항을 30분 동안 풀도록 한정하였으며, 비상에듀의 도움을 받아 전국 고등학생 중 30,690명을 대상으로 정답률을 처리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구과학에 대한 개념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평가 전문가 그룹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학생들의 이 시험지 문항에 대한 각 문항의 예상 정답률이 어느 정도인지 조사하였다. 평가 문항별로 개념을 심층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개념인식과 교사의 개념인식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구과학 개념 인식에 대한 기대치와 학생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단원별로 다양하게 나왔다. 교사와 학생의 정답률 차이 범위가 -20%~-10%는 8문항이고, -10%~0%는 4문항이고, 0%~10%는 5문항이고, 10%~20%는 3문항이다. 단원별로 보면 Ⅰ. 하나뿐인 지구 5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63%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61.6%이고, Ⅱ. 살아 있는 지구는 9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53%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54.5%이고, Ⅲ. 신비한 우주 6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46.7%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56%이다. 학생의 정답률과 교사의 예상 정답률을 비교해 보면 Ⅰ. 하나뿐인 지구 단원에서는 대체로 교사의 예상보다 학생들은 개념 학습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학생들이 천문학 분야와 단원 통합된 문항에 대해 절대적으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Ⅱ. 살아 있는 지구 단원에서는 교사들은 해양의 연직 구조에 대해 개념 전달이 잘 되어 있으리라 예상하나 실제 학생들은 상당히 개념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Ⅲ. 신비한 우주 단원에서는 교사의 예상 정답률과 가장 큰 ...
본 연구는 지구과학Ⅰ 수능예시문항을 통해 고3 자연계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기대치를 조사하여 학생과 교사의 지구과학 개념 인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제고를 위해 2010년 5월에 필자가 제작한 지구과학Ⅰ수능 예시 문항 시험지를 사용하여 모의고사 형태로 전국의 학생들에게 풀도록 하였다. 문항수는 수능시험과 동일하게 20문항을 30분 동안 풀도록 한정하였으며, 비상에듀의 도움을 받아 전국 고등학생 중 30,690명을 대상으로 정답률을 처리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구과학에 대한 개념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평가 전문가 그룹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학생들의 이 시험지 문항에 대한 각 문항의 예상 정답률이 어느 정도인지 조사하였다. 평가 문항별로 개념을 심층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개념인식과 교사의 개념인식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구과학 개념 인식에 대한 기대치와 학생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단원별로 다양하게 나왔다. 교사와 학생의 정답률 차이 범위가 -20%~-10%는 8문항이고, -10%~0%는 4문항이고, 0%~10%는 5문항이고, 10%~20%는 3문항이다. 단원별로 보면 Ⅰ. 하나뿐인 지구 5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63%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61.6%이고, Ⅱ. 살아 있는 지구는 9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53%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54.5%이고, Ⅲ. 신비한 우주 6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46.7%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56%이다. 학생의 정답률과 교사의 예상 정답률을 비교해 보면 Ⅰ. 하나뿐인 지구 단원에서는 대체로 교사의 예상보다 학생들은 개념 학습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학생들이 천문학 분야와 단원 통합된 문항에 대해 절대적으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Ⅱ. 살아 있는 지구 단원에서는 교사들은 해양의 연직 구조에 대해 개념 전달이 잘 되어 있으리라 예상하나 실제 학생들은 상당히 개념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Ⅲ. 신비한 우주 단원에서는 교사의 예상 정답률과 가장 큰 편차를 보이는 내용으로 별의 거리와 연주 시차에 관련된 문제나 우주론에 관련된 문제도 교사들은 상대적으로 정답률을 높게 보았으나 학생들은 상당히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원에 대해서는 교사들도 어려운 개념이 많다고 판단하여 정답률을 낮게 잡은 편이나 실제 학생들은 교사보다 더 어려워하는 개념들이 많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사의 예상 정답률과 학생의 정답률 차이를 통해 교사가 학생을 지도할 때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학습 결손 부분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되며 이에 대처하여 적절한 교수 학습 방법을 교사들이 개발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단원별 교수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개념 인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교수 학습 지도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지구과학을 공부하는 고등학생들이 올바른 과학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수업전략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는 지구과학Ⅰ 수능예시문항을 통해 고3 자연계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기대치를 조사하여 학생과 교사의 지구과학 개념 인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제고를 위해 2010년 5월에 필자가 제작한 지구과학Ⅰ수능 예시 문항 시험지를 사용하여 모의고사 형태로 전국의 학생들에게 풀도록 하였다. 문항수는 수능시험과 동일하게 20문항을 30분 동안 풀도록 한정하였으며, 비상에듀의 도움을 받아 전국 고등학생 중 30,690명을 대상으로 정답률을 처리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구과학에 대한 개념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평가 전문가 그룹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학생들의 이 시험지 문항에 대한 각 문항의 예상 정답률이 어느 정도인지 조사하였다. 평가 문항별로 개념을 심층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개념인식과 교사의 개념인식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구과학 개념 인식에 대한 기대치와 학생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단원별로 다양하게 나왔다. 교사와 학생의 정답률 차이 범위가 -20%~-10%는 8문항이고, -10%~0%는 4문항이고, 0%~10%는 5문항이고, 10%~20%는 3문항이다. 단원별로 보면 Ⅰ. 하나뿐인 지구 5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63%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61.6%이고, Ⅱ. 살아 있는 지구는 9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53%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54.5%이고, Ⅲ. 신비한 우주 6문항으로 학생 정답률 평균은 46.7%이며, 교사 예상 정답률 평균은 56%이다. 학생의 정답률과 교사의 예상 정답률을 비교해 보면 Ⅰ. 하나뿐인 지구 단원에서는 대체로 교사의 예상보다 학생들은 개념 학습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학생들이 천문학 분야와 단원 통합된 문항에 대해 절대적으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Ⅱ. 살아 있는 지구 단원에서는 교사들은 해양의 연직 구조에 대해 개념 전달이 잘 되어 있으리라 예상하나 실제 학생들은 상당히 개념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Ⅲ. 신비한 우주 단원에서는 교사의 예상 정답률과 가장 큰 편차를 보이는 내용으로 별의 거리와 연주 시차에 관련된 문제나 우주론에 관련된 문제도 교사들은 상대적으로 정답률을 높게 보았으나 학생들은 상당히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원에 대해서는 교사들도 어려운 개념이 많다고 판단하여 정답률을 낮게 잡은 편이나 실제 학생들은 교사보다 더 어려워하는 개념들이 많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사의 예상 정답률과 학생의 정답률 차이를 통해 교사가 학생을 지도할 때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학습 결손 부분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되며 이에 대처하여 적절한 교수 학습 방법을 교사들이 개발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단원별 교수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개념 인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교수 학습 지도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지구과학을 공부하는 고등학생들이 올바른 과학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수업전략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Keyword
#평가 모의 수학능력 시험 지구 과학 정답률 개념 인식 evaluation CSAT illustration earth science item difficulty awareness of conceptions
학위논문 정보
저자
차수열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공통과학(지학교육)전공
지도교수
우남칠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vii, 108장
키워드
평가 모의 수학능력 시험 지구 과학 정답률 개념 인식 evaluation CSAT illustration earth science item difficulty awareness of conceptio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