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 남녀의 혼외관계 경험의 과정 및 구조를 이해하고 규명하여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혼외관계를 경험하고 있거나 2년 이내에 혼외관계경험이 있었던 중년기 남, 녀 8명을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으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6)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접근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자료를 개방코딩과 ...
본 연구는 중년 남녀의 혼외관계 경험의 과정 및 구조를 이해하고 규명하여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혼외관계를 경험하고 있거나 2년 이내에 혼외관계경험이 있었던 중년기 남, 녀 8명을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으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6)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접근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자료를 개방코딩과 축코딩으로 개념화하고 범주화한 결과, 106개의 개념, 35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중년 남녀의 혼외관계 경험을 분석한 자료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역기능적인 성장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부부 의사소통체계가 역기능적이었던 것들이 누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거의 축적된 부정적 경험들은 중년기에 이르러 부부패턴의 지각변동 및 중년기 회의감이 발생하면서 혼외관계로 표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혼외관계를 통해 자신을 전적으로 주목해주고 수용해주는 대상을 경험함으로써 혼외관계 대상자와 사랑받는 행복감을 느끼는 공생(symbiosis)적 애착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혼외관계를 비밀스럽게 유지하기 위해 다른 공동체나 주변 사람들과 멀어지면서 둘 만의 더욱 긴장되고 흥분된 관계에 빠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은 혼외관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도덕적, 종교적 죄책감의 작동으로 인해 내적 갈등을 경험하며, 가정이라는 ‘성(城)’이 자신에게 중요한 보호 틀이라는 것을 인식하면서 현재의 가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 중 일부는 혼외대상자와 함께 공생적 경험을 유지하기 위하여 혼외관계와 부부관계 둘 다를 지키기 위한 무의식적이며 비현실적인 욕구를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혼외관계의 틀에서 빠져 나오지도 못하고, 가정에서 부부관계의 틀을 깨지도 못하는 이중 관계 체계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중체계에서 갈등하고 타협하던 참여자들은 자신에 대한 평가 및 반추를 하면서 관계의 방향을 결정하는 재구조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섯째, 참여자들 중 종교를 가진 사람들은 혼외관계의 진행에 따라 신앙생활의 변화가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외관계 경험이 장기화될수록 신앙생활과 멀어지지만, 혼외관계 경험이 단기이거나 중단 되었을 때는 신앙생활이 회복되었다. 여섯째, 본 연구의 혼외관계 경험에 대한 핵심범주(core category)는 ‘공생적(共生的) 관계 맺기를 위한 대상추구’로 도출되었다. 성장과정에서 애착의 필요에 충족되지 못한 참여자들은 중년의 위기에서 그들의 결혼생활이 만족하지 못할 때, 혼외대상과 함께 공생적(共生的) 애착관계를 경험하기 위하여 혼외관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갖는 가장 큰 의의는 혼외관계 경험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과정 분석함으로써 혼외관계를 경험하는 중년기 내담자들과 그 배우자들을 조력하기위한 상담 개입의 자료를 제시한 점이다. 또한 혼외관계 유형분석을 통하여 각 유형에 맞는 상담개입의 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상담현장에서 상담자가 혼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를 돕는데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부부세미나 등의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중년의 위기에 있는 부부들에게 상담적 도움을 주는데 깊은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혼외관계로 인하여 믿음의 공동체에서 떠나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중년 남녀의 혼외관계 경험의 과정 및 구조를 이해하고 규명하여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혼외관계를 경험하고 있거나 2년 이내에 혼외관계경험이 있었던 중년기 남, 녀 8명을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으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6)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접근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자료를 개방코딩과 축코딩으로 개념화하고 범주화한 결과, 106개의 개념, 35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중년 남녀의 혼외관계 경험을 분석한 자료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역기능적인 성장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부부 의사소통체계가 역기능적이었던 것들이 누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거의 축적된 부정적 경험들은 중년기에 이르러 부부패턴의 지각변동 및 중년기 회의감이 발생하면서 혼외관계로 표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혼외관계를 통해 자신을 전적으로 주목해주고 수용해주는 대상을 경험함으로써 혼외관계 대상자와 사랑받는 행복감을 느끼는 공생(symbiosis)적 애착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혼외관계를 비밀스럽게 유지하기 위해 다른 공동체나 주변 사람들과 멀어지면서 둘 만의 더욱 긴장되고 흥분된 관계에 빠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은 혼외관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도덕적, 종교적 죄책감의 작동으로 인해 내적 갈등을 경험하며, 가정이라는 ‘성(城)’이 자신에게 중요한 보호 틀이라는 것을 인식하면서 현재의 가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 중 일부는 혼외대상자와 함께 공생적 경험을 유지하기 위하여 혼외관계와 부부관계 둘 다를 지키기 위한 무의식적이며 비현실적인 욕구를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혼외관계의 틀에서 빠져 나오지도 못하고, 가정에서 부부관계의 틀을 깨지도 못하는 이중 관계 체계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중체계에서 갈등하고 타협하던 참여자들은 자신에 대한 평가 및 반추를 하면서 관계의 방향을 결정하는 재구조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섯째, 참여자들 중 종교를 가진 사람들은 혼외관계의 진행에 따라 신앙생활의 변화가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외관계 경험이 장기화될수록 신앙생활과 멀어지지만, 혼외관계 경험이 단기이거나 중단 되었을 때는 신앙생활이 회복되었다. 여섯째, 본 연구의 혼외관계 경험에 대한 핵심범주(core category)는 ‘공생적(共生的) 관계 맺기를 위한 대상추구’로 도출되었다. 성장과정에서 애착의 필요에 충족되지 못한 참여자들은 중년의 위기에서 그들의 결혼생활이 만족하지 못할 때, 혼외대상과 함께 공생적(共生的) 애착관계를 경험하기 위하여 혼외관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갖는 가장 큰 의의는 혼외관계 경험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과정 분석함으로써 혼외관계를 경험하는 중년기 내담자들과 그 배우자들을 조력하기위한 상담 개입의 자료를 제시한 점이다. 또한 혼외관계 유형분석을 통하여 각 유형에 맞는 상담개입의 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상담현장에서 상담자가 혼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를 돕는데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부부세미나 등의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중년의 위기에 있는 부부들에게 상담적 도움을 주는데 깊은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혼외관계로 인하여 믿음의 공동체에서 떠나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to understand and inquire the process and structures of extramarital affairs of middle-aged men and wo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males and females who have been or used to be in extramarital affairs within two years. A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to understand and inquire the process and structures of extramarital affairs of middle-aged men and wo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males and females who have been or used to be in extramarital affairs within two years. After interviewing them, I analyzed the result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1996). As I 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them with the methods of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I found 106 concepts and 35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even-fold. First,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dysfunctional family backgrounds in their family of origin and to have accumulat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with their spouse. These negative experiences were related to trigger extramarital affairs at their middle ages when their marriage relationships experienced some changes including their middle-age crises. Second, participants were found to develop symbiotic attachments that seemed to provide a deep sense of happiness as they experienced undivided attentions from a person other than their spouse. They were also found to fall in love with him or her due to more thrilled, excited experiences between them keeping their secret relationships and to separate from others including their spouse. Third, interviewees were found to experience internal conflicts because of their moral, religious guilts in the process of their extramarital affairs and to want to keep their family because they perceived their family as a necessary "fortress" to them. Some of them were found to have unconscious, unrealistic wishes to keep both their marriage relationship and their extramarital relationship in order to maintain their symbiotic experiences with their lover. Fourth, participants were found to struggle with conflicts between two relationships without breaking any relationship. Some of them who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and evaluate their relationships were able to restructure their life out of struggling process with conflicts. Fifth, some participants with religion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religious life as their extramarital affairs grew deeper. It was shown that the longer the affairs, the farther away they from their religious life and the shorter the affairs or after breaking up from the affairs, the easier the recovery of the religious life. Sixth,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on extramarital experiences was found to be "seeking a loving partner because of desires for symbiotic attachment." Participants who had deficiency in attachment needs in their developmental stages seemed to have tendency to fall in extramarital affairs in order to experience symbiotic attachment with a good object, when they experienced unsatisfactory marriage relationships in addition to middle life crises. The most meaningful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some foundational ideas for intervention in counseling process with clients and their spouse who struggle with extramarital affairs in their middle life crises, based on accurate assessment in their stages of affairs. It also provides counselors with interventive approaches pertinent to different types of extramarital affairs.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counselors to better understand their clients with difficulties in extramarital relationships and to be taught the meanings of symbiotic experiences in those relationship as well. In addition,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ideas in the areas of marriage and family enrichment in the stage of middle life crises and preventive ideas to help people who may leave their faith community because of their unresolved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to understand and inquire the process and structures of extramarital affairs of middle-aged men and wo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males and females who have been or used to be in extramarital affairs within two years. After interviewing them, I analyzed the result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1996). As I 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them with the methods of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I found 106 concepts and 35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even-fold. First,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dysfunctional family backgrounds in their family of origin and to have accumulat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with their spouse. These negative experiences were related to trigger extramarital affairs at their middle ages when their marriage relationships experienced some changes including their middle-age crises. Second, participants were found to develop symbiotic attachments that seemed to provide a deep sense of happiness as they experienced undivided attentions from a person other than their spouse. They were also found to fall in love with him or her due to more thrilled, excited experiences between them keeping their secret relationships and to separate from others including their spouse. Third, interviewees were found to experience internal conflicts because of their moral, religious guilts in the process of their extramarital affairs and to want to keep their family because they perceived their family as a necessary "fortress" to them. Some of them were found to have unconscious, unrealistic wishes to keep both their marriage relationship and their extramarital relationship in order to maintain their symbiotic experiences with their lover. Fourth, participants were found to struggle with conflicts between two relationships without breaking any relationship. Some of them who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and evaluate their relationships were able to restructure their life out of struggling process with conflicts. Fifth, some participants with religion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religious life as their extramarital affairs grew deeper. It was shown that the longer the affairs, the farther away they from their religious life and the shorter the affairs or after breaking up from the affairs, the easier the recovery of the religious life. Sixth,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on extramarital experiences was found to be "seeking a loving partner because of desires for symbiotic attachment." Participants who had deficiency in attachment needs in their developmental stages seemed to have tendency to fall in extramarital affairs in order to experience symbiotic attachment with a good object, when they experienced unsatisfactory marriage relationships in addition to middle life crises. The most meaningful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some foundational ideas for intervention in counseling process with clients and their spouse who struggle with extramarital affairs in their middle life crises, based on accurate assessment in their stages of affairs. It also provides counselors with interventive approaches pertinent to different types of extramarital affairs.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counselors to better understand their clients with difficulties in extramarital relationships and to be taught the meanings of symbiotic experiences in those relationship as well. In addition,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ideas in the areas of marriage and family enrichment in the stage of middle life crises and preventive ideas to help people who may leave their faith community because of their unresolved extramarital relationship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