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시복식(歲時服飾)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박선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衣類學科 韓國服飾專攻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시풍속은 우리민족이 1년을 주기로 오랜 생활사에서 얻은 지혜를 바탕으로 일정시기에 반복적으로 시행되는 생활 습관이며, 현대에 전통문화의 일환으로 소멸되지 않고 새로운 방식으로 전승되고 있다. 21세기에 변화된 세시의 일부분으로서의 세시복식(歲時服飾)의 각 요소를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 정립하여 이를 바탕으로 세시풍속을 계승·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문헌과 회화자료를 통해 세시복식의 특성과 변천을 살펴보고 세시복식의 구성과 특성을 통해 세시복식이 갖고 있는 기능과 상징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통 문화유산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현대화를 겪는 과정에서 현대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학문적, 문화·예술적, 교육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세시풍속이 전통문화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볼 때 세시풍속에서 복식의 갖는 비중이 적지 않으며 이는 곧 전통문화의 올바른 보존과 계승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세시를 행하는 사람들의 의식이 변해가고, 세시의 내용이 달라져 가는 상황에서 문헌을 통한 전통세시복식의 기초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가장 한국적인 의미를 살리는 전통계승의 방법이다. 따라서 현 시대가 요구하는 세시복식은 역사 속 과거의 정체된 것이 아니라 현재의 변화된 세시복식으로서의 보존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
본 연구는 일 년 중 행해지는 세시풍속 중 각 계절 속에서의 복식의 변화와 직물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도록 봄·여름·가을·겨울로 나누었으며, 계절에 따라 사명절(四名節)로 불리는 설, 한식, 단오, 추석의 세시풍속의 자료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음력 1월 1일인 설은 세시의 시작을 알리는 첫 세시이며, 현재는 민족의 대명절이다. 또한 세시의 기능 중 제의적 성격이 강한 한식을 통해 복식의 역할을 살펴보며, 놀이적 성향이 강하고 기후적으로 가장 좋은 시기인 초여름의 단오에서 복식이 갖는 의미와 상징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과 풍속이 있는 1년의 많은 세시 중에서 복식의 기능이나 계절성을 살펴볼 수 있는 4개의 세시를 선별하였다.
연구내용은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장과 Ⅵ장은 서론과 결론이며, Ⅱ장은 연구의 배경이 되는 세시풍속에 유래와 변천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Ⅲ장에서는 문헌과 회화에 보이는 세시복식의 특성과 변천을 통해, 역사서, 세시기, 문집, 문학작품, 근현대자료, 회화, 사진자료에서 세시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세시복식 키워드를 제시하여, 각 세시복식의 특성과 변천을 살펴보았으며,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각 세시복식을 남, 여, 어린이복식, 의례복, 장신구 및 소품, 직물로 분류하여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앞서 Ⅲ장과 Ⅳ에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세시복식이 갖고 있는 의미와 상징성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사명절과 복식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정형화된 의례 안에서 예를 갖추고 신을 맞는 예의 표현이 되며, 지리·환경적 영향에 의한 의복재료, 즉 직물의 다양성과 기후·환경적 영향에 의한 계절별 복식의 착용 시기에 대한 영향을 미친다. 단오를 기점으로 베옷을 입는다거나, 겹옷을 벗고 홑옷을 입는 시기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설에는 겨울을 지나고 봄을 준비하는 기간이며, 추석은 여름을 지내고 겨울을 준비하는 기간으로 이 두 세시의 옷의 형태는 거의 비슷하나 의복재료는 계절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세시를 즐기기 위한 옷의 기능과 옷 자체에 세시를 즐기기 위함이며, 특정 소품을 이용해서 악귀를 물리친다거나 건강에 대한 행을 바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부분이 많았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몸을 정갈히 하고, 옷을 깨끗이 하면서 세시의 시작을 열고 세시를 즐기기 위해 준비하는 시작이라는 점은 모든 세시풍속에서 세시복식이 갖는 공통점이다.
이러한 세시복식의 기능과 상징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시복식은 의례를 위한 특별한 의복의 착용은 물질이 주는 정신적 표현물로 이어져 종묘제사의식에서 제례복을 갖춤으로 인해 위엄이 강조되고 시간적으로 오래된 사실의 재현을 가시화 한다. 세시에서 의례복은 위엄과 질서를 강조하고, 세시의 제의성의 강조하며, 제의의 신성성의 상징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설, 한식, 단오, 추석에도 궁중에서는 조복을 입는 것으로 세시 안에서 복식을 통해 의례를 행한 것이다.
둘째, 복식의 소재는 전체적인 옷차림의 분위기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느낌을 전달해주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직물은 기후나 토질의 조건에 따라 생산되는 지역적 토속성이 있어 민족의 고유한 취향이 담겨있는 전통적인 특성을 담고 있다. 세시에서 주로 사용된 옷감은 견, 마, 면이며, 한국의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길쌈하는 방법이나 다듬이질을 한다든지 하는 옷감을 손질하는 독특한 습관에 의해 형성되는 재질감이 있다. 또한 생산 방법과 기술에 따라서 고유한 성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세시복식에서 직물은 의복을 변화를 추구하는 중심기준이 되고 있다. 직물의 생산시기와 관련이 있는가 하면, 특정 세시를 기점으로 계절에 맞는 직물의 선택이 달라지는 것이다.
셋째, 문헌과 회화 속 세시의 복색 중 흰색이나 소색이 가장 많다. 색채의 기호는 시대의 사상이나, 관습, 유행에 따라 변화되고 유지된다. 그러한 과정에서도 변화하지 않고 관념적으로 유지되고 선호되는 것은 민족적 심미안으로 선택된 전통색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세시복식은 벽사진경적 주술성을 지닌다. 복색은 특정 상징이 되거나 복을 비는 행위의 표시이다. 설과 추석에 어린이들에게 색동옷을 입히는 것은 가시적인 화려함과 밝음과 더불어 제액을 막고 행복을 축하는 의미에서 선택된 것이고, 붉은색의 치마는 생명, 젊음, 악을 막는 색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색채관념을 통한 복색의 선택은 인간의 염원을 나타낸 색의 주술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세시복식에서 나타나는 장신구와 소품은 여러 주술적인 상징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단오의 장신구로는 창포노리개, 창포비녀, 애호, 채색끈 등이 있으며, 설에 패용하는 주머니가 있으며, 삼국시대의 기록에 나타난 화승 또한 벽사진경을 상징하는 장신구이다. 세시복식에서 장신구는 옷을 입고 난 후의 장식하는 꾸밈의 도구가 아닌 마음의 염원을 담아 이루어지기 바라는 부적과도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만 민족으로부터는 외래문화의 유입에도 이중구조로 한국복식의 원형은 지켜내어 세시복식에 고스란히 담긴다. 제의적 성격이 강한 세시에는 의관을 갖추고 제를 올리며, 오락적·연희적 성격이 강한 세시에서는 바지저고리, 치마저고리 기본복식 차림으로 여가와 놀이를 즐긴다. 세시풍속은 일상의 날과 구별되는 날로 생활의 활력과 삶의 탄력을 얻고자 하는 각별한 날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세시복식은 세시행위의 주체가 되는 인간과 세시 사이에서 외형적으로, 정신적으로 꼭 필요한 요소로 시대적인 복식문화를 표현한다.
본 연구가 시대가 변하고 주체가 변하고 새로운 공간이 생겨있더라도 우리가 전승하고 지켜야할 세시풍속이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nual cyclic rite is the life habit that is repeatedly performed in the certain period based on wisdom, which our race obtained in the long life history by having 1 year as cycle, is being transmitted with new method without being perished, as a part of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times. As a...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박선영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衣類學科 韓國服飾專攻
지도교수 蘇晃玉
발행연도 2012
총페이지 188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2683841&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