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함에 따라 이문화 간 의사소통(Intercultural Communication)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자국의 문화와는 다른 이문화 환경 속에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문화 의사소통에 대한 실제적인 양상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의 대표적 연구 방법인 민족지학적 연구(Ethnography)를 선정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 않은 민족지학적 연구는 한 문화적 집단의 삶에 대한 묘사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자연스러운 맥락에서 현상을 관찰하고 문화적 패턴을 찾아가는 연구 방법이다. 따라서 실험 연구보다는 전체적인 맥락과 인간의 행동이나 현상을 탐구하는 연구 방법이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자료의 수집 방법으로는 첫째, 한국어 교실을 집합 한국어 수업과 방문 한국어 수업으로 나누어서 관찰하였고, 담당 교사와 학습자의 동의하에 녹취를 하면서 관찰 일지를 작성하였다. 둘째, 다양한 국적의 연구 대상자 13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수업 일지를 수집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자 5명을 선정한 후 개별적으로 심층 면접을 시행하고, 학습자의 동의하에 녹취한 내용을 전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의 공통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범주화한 후 분석틀을 마련하고 해석 및 논의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분석한 자료를 종합하여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문화 의사소통에 대한 특징과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언어적 측면에서는 한국어 학습 시 발음 문제, 어휘력 부족, 문법 오류, 받아쓰기의 어려움, 문식성(...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함에 따라 이문화 간 의사소통(Intercultural Communication)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자국의 문화와는 다른 이문화 환경 속에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문화 의사소통에 대한 실제적인 양상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의 대표적 연구 방법인 민족지학적 연구(Ethnography)를 선정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 않은 민족지학적 연구는 한 문화적 집단의 삶에 대한 묘사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자연스러운 맥락에서 현상을 관찰하고 문화적 패턴을 찾아가는 연구 방법이다. 따라서 실험 연구보다는 전체적인 맥락과 인간의 행동이나 현상을 탐구하는 연구 방법이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자료의 수집 방법으로는 첫째, 한국어 교실을 집합 한국어 수업과 방문 한국어 수업으로 나누어서 관찰하였고, 담당 교사와 학습자의 동의하에 녹취를 하면서 관찰 일지를 작성하였다. 둘째, 다양한 국적의 연구 대상자 13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수업 일지를 수집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자 5명을 선정한 후 개별적으로 심층 면접을 시행하고, 학습자의 동의하에 녹취한 내용을 전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의 공통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범주화한 후 분석틀을 마련하고 해석 및 논의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분석한 자료를 종합하여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문화 의사소통에 대한 특징과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언어적 측면에서는 한국어 학습 시 발음 문제, 어휘력 부족, 문법 오류, 받아쓰기의 어려움, 문식성(Literacy) 문제를 보였다. 문화적 측면에서는 고부간의 의사소통 문제, 자녀 양육의 어려움, 한국 생활 적응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를 볼 수 있었다. 특히 한국 생활과 적응에 대한 태도가 한국어 학습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언어와 문화는 서로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또한, 상호 간 문화 이해와 다양성 인정을 위해 중국, 베트남, 네팔에서 온 여성 결혼이민자 자국의 문화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여성 결혼이민자에게만 국한한 이문화 교육이 아니라 그들의 가족과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국민 전체가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진정한 이문화 의사소통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이문화 의사소통에 대한 실제적이고 풍부한 현장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이문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제언을 교사, 학생, 교재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언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시되고 있으므로 교실 현장 및 교실 환경 밖의 실생활을 다양한 각도에서 담은 본 연구는 상당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언어와 문화 교육에서 그들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효과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고가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문화 의사소통 부재의 해소 방안에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함에 따라 이문화 간 의사소통(Intercultural Communication)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자국의 문화와는 다른 이문화 환경 속에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문화 의사소통에 대한 실제적인 양상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의 대표적 연구 방법인 민족지학적 연구(Ethnography)를 선정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 않은 민족지학적 연구는 한 문화적 집단의 삶에 대한 묘사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자연스러운 맥락에서 현상을 관찰하고 문화적 패턴을 찾아가는 연구 방법이다. 따라서 실험 연구보다는 전체적인 맥락과 인간의 행동이나 현상을 탐구하는 연구 방법이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자료의 수집 방법으로는 첫째, 한국어 교실을 집합 한국어 수업과 방문 한국어 수업으로 나누어서 관찰하였고, 담당 교사와 학습자의 동의하에 녹취를 하면서 관찰 일지를 작성하였다. 둘째, 다양한 국적의 연구 대상자 13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수업 일지를 수집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자 5명을 선정한 후 개별적으로 심층 면접을 시행하고, 학습자의 동의하에 녹취한 내용을 전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의 공통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범주화한 후 분석틀을 마련하고 해석 및 논의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분석한 자료를 종합하여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문화 의사소통에 대한 특징과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언어적 측면에서는 한국어 학습 시 발음 문제, 어휘력 부족, 문법 오류, 받아쓰기의 어려움, 문식성(Literacy) 문제를 보였다. 문화적 측면에서는 고부간의 의사소통 문제, 자녀 양육의 어려움, 한국 생활 적응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를 볼 수 있었다. 특히 한국 생활과 적응에 대한 태도가 한국어 학습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언어와 문화는 서로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또한, 상호 간 문화 이해와 다양성 인정을 위해 중국, 베트남, 네팔에서 온 여성 결혼이민자 자국의 문화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여성 결혼이민자에게만 국한한 이문화 교육이 아니라 그들의 가족과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국민 전체가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진정한 이문화 의사소통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이문화 의사소통에 대한 실제적이고 풍부한 현장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이문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제언을 교사, 학생, 교재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언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시되고 있으므로 교실 현장 및 교실 환경 밖의 실생활을 다양한 각도에서 담은 본 연구는 상당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언어와 문화 교육에서 그들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효과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고가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문화 의사소통 부재의 해소 방안에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As Korean society becomes a multicultural one, it is critical to focu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written about women who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in a culture other than their own. This work focuses o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aspects of communication. The rese...
As Korean society becomes a multicultural one, it is critical to focu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written about women who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in a culture other than their own. This work focuses o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aspects of communication. The research method chosen for this work was that of Ethnography, the most commonly used among qualitative approaches. Ethnography, which is not yet widesprea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requires the researcher to participate in the everyday life of the observed subjects and collect data in the most unbiased way possible. Ethnography is more suitable than quantitative methods since it takes into account the whole context, human behaviour and phenomena. Data was collected in three different ways. First of all, both group and one-to-one lectures were recorded and personally transcribed into a diary. Secondly, diaries written by two instructors containing data from lectures involving thirteen other foreign students were analyzed. Lastly, recordings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students were taken and transcribed. All the students previously agreed to the use of the collected data. After data collection, common traits were extracted, a standard evaluation method formulated and data analyzed. As a result of the proceeding research, the main communication problems of immigrant wives were identified, and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aspects studied. Regarding linguistics, students showed pronunciation problems at beginners level, lack of vocabulary, grammatical errors, difficulty with dictation, and insufficient literacy levels. Cultural analysis considered the traits of communication with mothers-in-law, rearing of children, and the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by immigrant wives. In particular, the attitude towards adaptation to life in Korea substantially affects the Korean language-learning process. This suggests that culture and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n together since they cannot be separated. Furthermo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research on Vietnamese, Nepalese and Chinese culture was conducted. For Korea to truly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cultural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immigrant wives. Instead it should be extended to their families and the whole Korean population. Given the abundance and authentic nature of the collected data, suggestions for students, teachers and textbook authors are given in order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Given the central role of the learner’s active communication in language learning, this research prove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communication applied in various contexts. The author wishes to suggest a standard as well as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cultural education, and hopes that this work will be useful in solving the problem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Korean society becomes a multicultural one, it is critical to focu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written about women who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in a culture other than their own. This work focuses o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aspects of communication. The research method chosen for this work was that of Ethnography, the most commonly used among qualitative approaches. Ethnography, which is not yet widesprea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requires the researcher to participate in the everyday life of the observed subjects and collect data in the most unbiased way possible. Ethnography is more suitable than quantitative methods since it takes into account the whole context, human behaviour and phenomena. Data was collected in three different ways. First of all, both group and one-to-one lectures were recorded and personally transcribed into a diary. Secondly, diaries written by two instructors containing data from lectures involving thirteen other foreign students were analyzed. Lastly, recordings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students were taken and transcribed. All the students previously agreed to the use of the collected data. After data collection, common traits were extracted, a standard evaluation method formulated and data analyzed. As a result of the proceeding research, the main communication problems of immigrant wives were identified, and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aspects studied. Regarding linguistics, students showed pronunciation problems at beginners level, lack of vocabulary, grammatical errors, difficulty with dictation, and insufficient literacy levels. Cultural analysis considered the traits of communication with mothers-in-law, rearing of children, and the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by immigrant wives. In particular, the attitude towards adaptation to life in Korea substantially affects the Korean language-learning process. This suggests that culture and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n together since they cannot be separated. Furthermo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research on Vietnamese, Nepalese and Chinese culture was conducted. For Korea to truly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cultural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immigrant wives. Instead it should be extended to their families and the whole Korean population. Given the abundance and authentic nature of the collected data, suggestions for students, teachers and textbook authors are given in order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Given the central role of the learner’s active communication in language learning, this research prove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communication applied in various contexts. The author wishes to suggest a standard as well as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cultural education, and hopes that this work will be useful in solving the problem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