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은 조혈계의 진행성 악성질환으로 항암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이식이 치료방법으로 가장 많이 시행된다. 백혈병환자들은 치료 중에 감염과 출혈 등에 대한 신체간호와 우울과 적응장애 등의 정서 및 사회 심리적 문제에 대한 전인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특히 항암화학요법 후 퇴원하여 가정에서 지내는 기간에는 ...
백혈병은 조혈계의 진행성 악성질환으로 항암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이식이 치료방법으로 가장 많이 시행된다. 백혈병환자들은 치료 중에 감염과 출혈 등에 대한 신체간호와 우울과 적응장애 등의 정서 및 사회 심리적 문제에 대한 전인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특히 항암화학요법 후 퇴원하여 가정에서 지내는 기간에는 호중구 감소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에 당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한 퇴원간호계획 수립과 간호중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2개 광역시 소재 2개의 대학 병원에서 백혈병 진단 하에 입원치료 및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 142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3월 18일부터 동년 10월 31일까지 8개월간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측정도구는 권인수와 은영(1999)이 개발한 암환자의 퇴원 후 가정간호요구 도구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ANOVA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평균 180.24±20.32점이었고, 평균평점은 3.83±0.43점(척도범위 1-5점)으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영역별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를 살펴보면, 신체적 영역 평균평점 4.08±0.50점, 정서심리적 영역 3.87±0.68점, 사회경제적 영역 3.60±0.58점, 영적 영역 3.08±0.69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나이(F=2.765, p=.030), 종교(F=2.920, p=.036), 진단명(F=4.410, p=.014), 중심정맥관 유무(t=2.378, p=.019), 치료방법(F=3.295, p=.02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중 중심정맥관을 보유하고 있는 군이 보유하지 않은 군보다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았다. 사후검증 결과 나이가 50대인 군이 60대 이상인 군보다, 급성골수구성 백혈병이 만성 백혈병보다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가계의 월평균수입(F=3.778, p=.012), 진단명(F=6.912, p=.001), 중심정맥관 유무(t=2.141, p= .034), 치료방법(F=4.943, p=.003), 현재건강상태인식(F=4.192,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심정맥관을 보유하고 있는 군이 보유하지 않은 군보다 신체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았다. 사후검증 결과 가계의 월평균 수입이 200-300만원인 군이 100만원 미만인 군보다, 급성골수구성 백혈병과 급성림프구성 백혈병이 만성 백혈병보다,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군과 항암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이식을 병행한 군이 경구항암약물치료만 하는 군보다 신체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심리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성별(t=-2.406, p=.01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정서 심리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종교(F=12.081, p<.001), 중심정맥관 유무(F=2.407, p=.04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심정맥관을 보유하고 있는 군이 보유하지 않은 군보다 영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았으며, 사후검증 결과 기독교와 천주교가 불교와 무교보다 영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영역, 정서심리적 영역, 사회경제적 영역, 영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교육 시에는 감염관리 등 신체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를 우선으로 하고 정서심리, 사회경제, 영적 영역까지 모두 고려한 전인적인 퇴원간호교육을 제공해야 될 것이다. 또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성별, 나이, 종교, 가계의 월평균수입, 진단명, 중심정맥관 유무, 치료방법, 현재건강상태인식 등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대상자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백혈병환자에게 적합한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백혈병은 조혈계의 진행성 악성질환으로 항암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이식이 치료방법으로 가장 많이 시행된다. 백혈병환자들은 치료 중에 감염과 출혈 등에 대한 신체간호와 우울과 적응장애 등의 정서 및 사회 심리적 문제에 대한 전인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특히 항암화학요법 후 퇴원하여 가정에서 지내는 기간에는 호중구 감소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에 당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한 퇴원간호계획 수립과 간호중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2개 광역시 소재 2개의 대학 병원에서 백혈병 진단 하에 입원치료 및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 142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3월 18일부터 동년 10월 31일까지 8개월간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측정도구는 권인수와 은영(1999)이 개발한 암환자의 퇴원 후 가정간호요구 도구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ANOVA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평균 180.24±20.32점이었고, 평균평점은 3.83±0.43점(척도범위 1-5점)으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영역별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를 살펴보면, 신체적 영역 평균평점 4.08±0.50점, 정서심리적 영역 3.87±0.68점, 사회경제적 영역 3.60±0.58점, 영적 영역 3.08±0.69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나이(F=2.765, p=.030), 종교(F=2.920, p=.036), 진단명(F=4.410, p=.014), 중심정맥관 유무(t=2.378, p=.019), 치료방법(F=3.295, p=.02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중 중심정맥관을 보유하고 있는 군이 보유하지 않은 군보다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았다. 사후검증 결과 나이가 50대인 군이 60대 이상인 군보다, 급성골수구성 백혈병이 만성 백혈병보다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가계의 월평균수입(F=3.778, p=.012), 진단명(F=6.912, p=.001), 중심정맥관 유무(t=2.141, p= .034), 치료방법(F=4.943, p=.003), 현재건강상태인식(F=4.192,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심정맥관을 보유하고 있는 군이 보유하지 않은 군보다 신체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았다. 사후검증 결과 가계의 월평균 수입이 200-300만원인 군이 100만원 미만인 군보다, 급성골수구성 백혈병과 급성림프구성 백혈병이 만성 백혈병보다,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군과 항암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이식을 병행한 군이 경구항암약물치료만 하는 군보다 신체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심리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성별(t=-2.406, p=.01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정서 심리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종교(F=12.081, p<.001), 중심정맥관 유무(F=2.407, p=.04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심정맥관을 보유하고 있는 군이 보유하지 않은 군보다 영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았으며, 사후검증 결과 기독교와 천주교가 불교와 무교보다 영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영역, 정서심리적 영역, 사회경제적 영역, 영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교육 시에는 감염관리 등 신체적 영역의 퇴원 후 간호요구를 우선으로 하고 정서심리, 사회경제, 영적 영역까지 모두 고려한 전인적인 퇴원간호교육을 제공해야 될 것이다. 또한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정도는 성별, 나이, 종교, 가계의 월평균수입, 진단명, 중심정맥관 유무, 치료방법, 현재건강상태인식 등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대상자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백혈병환자에게 적합한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