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장의 부서와 업무에 따라 사용 언어 기술이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비즈니스 한국어’를 ‘부서 한국어’로 보고 중국 산동성 위해(威海) 지역에 진출한 제조업 분야의 한국 기업체의 ‘생산·품질 관리’ 부서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교재 개발의 모든 과정인 교재 분석, 학습자 요구분석, 담화 분석을 통하여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재 분석은 한국과 중국에서 실제 교육 자료로 사용되고 있거나 사용 가능성이 있는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 교재 3권, 중국 교재 7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출판 교재는 전반적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직장 생활, 업무 활동에 관하여 교재 편찬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중국 출판 교재는 교재 내용이 대부분 한·중 무역 업무와 관련된 내용으로 ‘무역’이외 다른 부서와 관련된 학습은 할 수 없었다. 교재의 난이도 측면으로는 한국 교재는 개별적으로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하였지만, 교재 간의 학습 수준은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중국 교재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했다기보다 내용 제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루는 내용이 전반적으로 어려워 학습자들이 흥미를 잃을 수 있고, 전반적으로 표현의 오류가 많아 학습자들이 잘못된 학습의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학습자 요구분석은 예비 취업자(학생), 직장인, 한국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여 비즈니스 교육 현황과 필요성, 현재 비즈니스 교재의 문제점과 향후 교재 개발의 방향에 대한 의견을 중심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집단 모두 직업 목적 한국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한국 기업체뿐만 아니라 위해(威海)지역에 위치한 대학 기관에서도 대부분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그 대표적인 이유는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교재 내용이 실제 업무활동에 적용이 어렵고, 교재의 난이도도 학습자의 언어 수준과 맞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교재의 구체적인 주제를 제안하사기 위한 의사소통이 잦은 상황에 대한 문항에 한국인 관리자와 중국인 직원 모두 ‘인사’, ‘업무 보고’, ‘전화 업무’,‘제품 소개 및 설명’,‘불량 발생’,‘일상 대화’,‘원자재 관리’,‘품질 관리 업무’,‘생산 관리 업무’,‘거래처 실사(實査) 준비’,‘거래처 방문 대응’,‘업무 회의’,‘개인 신상 문제 해결’,‘개인 감정 표현하고, 상대방 감정 표현 이해하기’,‘상사에게 의견 말하기’,‘결과 보고’,‘결제 관련 사항’,‘문의’,‘보고서 작정’,‘문서 관리’의 상황이라고 답하였고, 교재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학생을 포함한 전체적인 요구는 ‘중급’ 수준이 적절하다고 하였지만, 중국인 직원과 한국인 관리자들은 모두 초급이 가장 적절하다고 하였다.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영역은 ‘읽기’,‘쓰기’,‘듣기’,‘말하기’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기업 문화 교육의 중요도는 한국인 관리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실제 어휘 ...
본 연구는 직장의 부서와 업무에 따라 사용 언어 기술이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비즈니스 한국어’를 ‘부서 한국어’로 보고 중국 산동성 위해(威海) 지역에 진출한 제조업 분야의 한국 기업체의 ‘생산·품질 관리’ 부서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교재 개발의 모든 과정인 교재 분석, 학습자 요구분석, 담화 분석을 통하여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재 분석은 한국과 중국에서 실제 교육 자료로 사용되고 있거나 사용 가능성이 있는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 교재 3권, 중국 교재 7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출판 교재는 전반적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직장 생활, 업무 활동에 관하여 교재 편찬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중국 출판 교재는 교재 내용이 대부분 한·중 무역 업무와 관련된 내용으로 ‘무역’이외 다른 부서와 관련된 학습은 할 수 없었다. 교재의 난이도 측면으로는 한국 교재는 개별적으로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하였지만, 교재 간의 학습 수준은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중국 교재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했다기보다 내용 제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루는 내용이 전반적으로 어려워 학습자들이 흥미를 잃을 수 있고, 전반적으로 표현의 오류가 많아 학습자들이 잘못된 학습의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학습자 요구분석은 예비 취업자(학생), 직장인, 한국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여 비즈니스 교육 현황과 필요성, 현재 비즈니스 교재의 문제점과 향후 교재 개발의 방향에 대한 의견을 중심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집단 모두 직업 목적 한국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한국 기업체뿐만 아니라 위해(威海)지역에 위치한 대학 기관에서도 대부분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그 대표적인 이유는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교재 내용이 실제 업무활동에 적용이 어렵고, 교재의 난이도도 학습자의 언어 수준과 맞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교재의 구체적인 주제를 제안하사기 위한 의사소통이 잦은 상황에 대한 문항에 한국인 관리자와 중국인 직원 모두 ‘인사’, ‘업무 보고’, ‘전화 업무’,‘제품 소개 및 설명’,‘불량 발생’,‘일상 대화’,‘원자재 관리’,‘품질 관리 업무’,‘생산 관리 업무’,‘거래처 실사(實査) 준비’,‘거래처 방문 대응’,‘업무 회의’,‘개인 신상 문제 해결’,‘개인 감정 표현하고, 상대방 감정 표현 이해하기’,‘상사에게 의견 말하기’,‘결과 보고’,‘결제 관련 사항’,‘문의’,‘보고서 작정’,‘문서 관리’의 상황이라고 답하였고, 교재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학생을 포함한 전체적인 요구는 ‘중급’ 수준이 적절하다고 하였지만, 중국인 직원과 한국인 관리자들은 모두 초급이 가장 적절하다고 하였다.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영역은 ‘읽기’,‘쓰기’,‘듣기’,‘말하기’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기업 문화 교육의 중요도는 한국인 관리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실제 어휘 말뭉치 구축과 담화 상황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중국 위해(威海)에 진출해 있는 기업체의 보고서, 일지를 이용하여 ‘1669’개 실제 어휘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생산·품질 관리’ 부서의 한국인 실무 관리자들을 2차례 녹취하여 실제 담화 상황을 담화 유형별로 나누고 그 안에서의 화행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생산 ? 품질 관리’ 부서의 담화 상황의 구조적 특징은 ① 출근 인사 - ② 야근 업무 보고 및 조치 - ③ 당일 업무 상황 보고 및 조치 ? ④ 업무 마무리 및 퇴근 보고 의 순서로 이어지며 담화 유형은 ① 출근 인사 ② 제품 불량 발생 현황 보고 및 원인 규명 ③ 거래처와의 업무 ④ 보고서 ⑤ 결재 요청 ⑥ 상사에게 업무 현황 보고 ⑦ 회의 ⑧ 야근 업무 지시 ⑨ 조퇴 신청 처리 ⑩ 퇴근 보고로 나타났다. 또한 이 담화 유형 안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화행 기능은 ① 업무 지시와 보고, ② 질문과 이에 대한 대책 응답 ③ 업무 미숙으로 인한 질책과 이에 따른 지시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분석의 결과 비교를 통하여 주제, 어휘, 문법, 과제, 문화 영역에서 다룰 수 있는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재 개발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실제적인 자료를 통하여 각 영역별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고, 이러한 교육 내용은 중국 내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동일한 분야의 외국인 근로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업 안에는 여러 부서가 존재하고 있고, 각 부서마다의 담화 상황과 필수어휘가 다르다.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이 전문화 되고, 구체적이기 위해서는 세분화된 교재 개발이 필수적이므로 이러한 세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직장의 부서와 업무에 따라 사용 언어 기술이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비즈니스 한국어’를 ‘부서 한국어’로 보고 중국 산동성 위해(威海) 지역에 진출한 제조업 분야의 한국 기업체의 ‘생산·품질 관리’ 부서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교재 개발의 모든 과정인 교재 분석, 학습자 요구분석, 담화 분석을 통하여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재 분석은 한국과 중국에서 실제 교육 자료로 사용되고 있거나 사용 가능성이 있는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 교재 3권, 중국 교재 7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출판 교재는 전반적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직장 생활, 업무 활동에 관하여 교재 편찬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중국 출판 교재는 교재 내용이 대부분 한·중 무역 업무와 관련된 내용으로 ‘무역’이외 다른 부서와 관련된 학습은 할 수 없었다. 교재의 난이도 측면으로는 한국 교재는 개별적으로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하였지만, 교재 간의 학습 수준은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중국 교재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했다기보다 내용 제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루는 내용이 전반적으로 어려워 학습자들이 흥미를 잃을 수 있고, 전반적으로 표현의 오류가 많아 학습자들이 잘못된 학습의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학습자 요구분석은 예비 취업자(학생), 직장인, 한국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여 비즈니스 교육 현황과 필요성, 현재 비즈니스 교재의 문제점과 향후 교재 개발의 방향에 대한 의견을 중심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집단 모두 직업 목적 한국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한국 기업체뿐만 아니라 위해(威海)지역에 위치한 대학 기관에서도 대부분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그 대표적인 이유는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교재 내용이 실제 업무활동에 적용이 어렵고, 교재의 난이도도 학습자의 언어 수준과 맞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교재의 구체적인 주제를 제안하사기 위한 의사소통이 잦은 상황에 대한 문항에 한국인 관리자와 중국인 직원 모두 ‘인사’, ‘업무 보고’, ‘전화 업무’,‘제품 소개 및 설명’,‘불량 발생’,‘일상 대화’,‘원자재 관리’,‘품질 관리 업무’,‘생산 관리 업무’,‘거래처 실사(實査) 준비’,‘거래처 방문 대응’,‘업무 회의’,‘개인 신상 문제 해결’,‘개인 감정 표현하고, 상대방 감정 표현 이해하기’,‘상사에게 의견 말하기’,‘결과 보고’,‘결제 관련 사항’,‘문의’,‘보고서 작정’,‘문서 관리’의 상황이라고 답하였고, 교재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학생을 포함한 전체적인 요구는 ‘중급’ 수준이 적절하다고 하였지만, 중국인 직원과 한국인 관리자들은 모두 초급이 가장 적절하다고 하였다.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영역은 ‘읽기’,‘쓰기’,‘듣기’,‘말하기’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기업 문화 교육의 중요도는 한국인 관리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실제 어휘 말뭉치 구축과 담화 상황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중국 위해(威海)에 진출해 있는 기업체의 보고서, 일지를 이용하여 ‘1669’개 실제 어휘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생산·품질 관리’ 부서의 한국인 실무 관리자들을 2차례 녹취하여 실제 담화 상황을 담화 유형별로 나누고 그 안에서의 화행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생산 ? 품질 관리’ 부서의 담화 상황의 구조적 특징은 ① 출근 인사 - ② 야근 업무 보고 및 조치 - ③ 당일 업무 상황 보고 및 조치 ? ④ 업무 마무리 및 퇴근 보고 의 순서로 이어지며 담화 유형은 ① 출근 인사 ② 제품 불량 발생 현황 보고 및 원인 규명 ③ 거래처와의 업무 ④ 보고서 ⑤ 결재 요청 ⑥ 상사에게 업무 현황 보고 ⑦ 회의 ⑧ 야근 업무 지시 ⑨ 조퇴 신청 처리 ⑩ 퇴근 보고로 나타났다. 또한 이 담화 유형 안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화행 기능은 ① 업무 지시와 보고, ② 질문과 이에 대한 대책 응답 ③ 업무 미숙으로 인한 질책과 이에 따른 지시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분석의 결과 비교를 통하여 주제, 어휘, 문법, 과제, 문화 영역에서 다룰 수 있는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재 개발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실제적인 자료를 통하여 각 영역별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고, 이러한 교육 내용은 중국 내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동일한 분야의 외국인 근로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업 안에는 여러 부서가 존재하고 있고, 각 부서마다의 담화 상황과 필수어휘가 다르다.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이 전문화 되고, 구체적이기 위해서는 세분화된 교재 개발이 필수적이므로 이러한 세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
#직업 목적 한국어, 비즈니스 한국어, 부서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 교재 개발, 교재 분석, 요구분석, 담화 분석, occupational Korean language, business Korean, Korean used in a company department, Chinese learner, textbook development, textbook analysis, needs analy
학위논문 정보
저자
서민아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강현화
발행연도
2012
총페이지
viii, 143 p.
키워드
직업 목적 한국어, 비즈니스 한국어, 부서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 교재 개발, 교재 분석, 요구분석, 담화 분석, occupational Korean language, business Korean, Korean used in a company department, Chinese learner, textbook development, textbook analysis, needs ana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