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우리의 삶은 수많은 정보의 홍수와 다양한 시각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의 문화들이 우리의 사회에 빠르게 유입되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가장 중요한 미술교육의 역할은 시각적 문해력(文解力, visual literacy)을 통한 시각 이미지의 이해와 상호소통 능력, 미적 감수성의 함양, 다른 문화의 유입에 대한 포용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 Neo-DBAE 미술이론 있다. Neo-DBAE는 학문중심 교육과정 개혁운동으로 등장한 DBAE의 이론적 확장의 개념으로 1980년부터 게티센터(The Getty Education institute for the Arts)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 되어왔으며 현재도 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Neo-DBAE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는 DBAE의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단편적으로 한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통합 검색창에 DBAE를 주제어로 논문을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231편, 국내학술논문지 76편이 검색되지만, Neo-DBAE를 주제어로 논문을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13편, 국내학술지 2편 정도가 검색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국내의 Neo-DBAE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확장하고자 Neo-DBAE의 이론적 개념의 기틀을 다지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미술 교육과정과 Neo-DBAE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미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첫째로 Neo-DBAE의 전신인 DBAE의 개념과 등장 배경 및 특징과 이론이 적용된 후 나타난 한계점에 대해 살펴았다. 둘째로 Neo-DBAE의 개념 및 등장배경을 제시하였으며, Neo-DBAE에 영향을 준 교육적 배경인 ...
21세기 우리의 삶은 수많은 정보의 홍수와 다양한 시각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의 문화들이 우리의 사회에 빠르게 유입되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가장 중요한 미술교육의 역할은 시각적 문해력(文解力, visual literacy)을 통한 시각 이미지의 이해와 상호소통 능력, 미적 감수성의 함양, 다른 문화의 유입에 대한 포용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 Neo-DBAE 미술이론 있다. Neo-DBAE는 학문중심 교육과정 개혁운동으로 등장한 DBAE의 이론적 확장의 개념으로 1980년부터 게티센터(The Getty Education institute for the Arts)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 되어왔으며 현재도 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Neo-DBAE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는 DBAE의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단편적으로 한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통합 검색창에 DBAE를 주제어로 논문을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231편, 국내학술논문지 76편이 검색되지만, Neo-DBAE를 주제어로 논문을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13편, 국내학술지 2편 정도가 검색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국내의 Neo-DBAE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확장하고자 Neo-DBAE의 이론적 개념의 기틀을 다지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미술 교육과정과 Neo-DBAE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미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첫째로 Neo-DBAE의 전신인 DBAE의 개념과 등장 배경 및 특징과 이론이 적용된 후 나타난 한계점에 대해 살펴았다. 둘째로 Neo-DBAE의 개념 및 등장배경을 제시하였으며, Neo-DBAE에 영향을 준 교육적 배경인 구성주의 교육 및 홀리스틱 교육, 포스트모던 미술교육, 다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을 살펴보았다. 셋째, Neo-DBAE의 특성 및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제1차 미술 교육과정부터 제7차 미술 교육과정의 흐름을 살펴보고 Neo-DBAE를 통한 제7차 2007 · 2009개정 미술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미술 교육과정의 분석은 Neo-DBAE의 이론적 영향 관계가 많은 성격, 목표,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Ⅳ장에서는 Neo-DBAE 미술교육 이론이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Neo-DBAE의 특성 중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다문화적인 요소, 통합적 요소를 중심으로 2007개정 미술 교육과정을 토대로 발간된 9종 미술교과서의 단원을 분석하고 2009개정 미술 교과서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Neo-DBAE 미술교육이론을 통한 중학교 교육과정분석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개정 미술 교육과정에서 Neo-DBAE의 강조를 강조한 예로는 통합적인 미술교육, 시각적 문해력의 향상을 위한 체험 영역의 확장, 미술 교과 외의 다양한 미술 문화의 경험을 들 수 있다. 현재 미술교과의 영역은 체험, 표현, 감상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내용별 영역지도에서 체험, 표현, 감상의 유기적 연계성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한 학기 중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1회 방문을 명시하고 있으며, 지역 축제 및 학교 축제와 미술교과의 연계를 강조하고 있다. Neo-DBAE 미술이론이 강조하고 있는 다문화적, 통합적 측면을 토대로 9종 미술교과서를 분석해보면 다문화적 요소는 9종의 미술 교과서 중 1종의 교과서에서만이 직접적인 단원을 설정하고 있으며, 참고 도판의 경우에도 한국을 제외하고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는 다문화적 요소가 아직까지 미술교육 현장에서의 반영된다는 면에서 볼때 아직 그 수준이 미비함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통합적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반영되어 있다. 교과서별로 다른 교과와의 통합적 단원을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지역축제 및 문화, 학교 축제, 미술관 및 박물관을 통한 미술 감상 단원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통합적 프로그램을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드물었으며, 국어와 사회와의 통합에 치우친 경향이 있었다. 2009개정 미술교과서 편찬 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반영과 통합 교과의 실제적인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체험 영역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미술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참고 도판 수록 시 유럽과 미국 중심이 아닌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와 함께 소수미족의 미술 문화를 반영해야 한다. 본 논문은 현대 사회에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이주노동자의 유입과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 가정 증가, 분과식 교육과정으로 인한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사고의 부재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Neo-DBAE의 미술교육이론이 현장에서 활발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Neo-DBAE 이론적 개념의 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21세기 우리의 삶은 수많은 정보의 홍수와 다양한 시각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의 문화들이 우리의 사회에 빠르게 유입되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가장 중요한 미술교육의 역할은 시각적 문해력(文解力, visual literacy)을 통한 시각 이미지의 이해와 상호소통 능력, 미적 감수성의 함양, 다른 문화의 유입에 대한 포용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 Neo-DBAE 미술이론 있다. Neo-DBAE는 학문중심 교육과정 개혁운동으로 등장한 DBAE의 이론적 확장의 개념으로 1980년부터 게티센터(The Getty Education institute for the Arts)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 되어왔으며 현재도 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Neo-DBAE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는 DBAE의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단편적으로 한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통합 검색창에 DBAE를 주제어로 논문을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231편, 국내학술논문지 76편이 검색되지만, Neo-DBAE를 주제어로 논문을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13편, 국내학술지 2편 정도가 검색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국내의 Neo-DBAE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확장하고자 Neo-DBAE의 이론적 개념의 기틀을 다지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미술 교육과정과 Neo-DBAE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미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첫째로 Neo-DBAE의 전신인 DBAE의 개념과 등장 배경 및 특징과 이론이 적용된 후 나타난 한계점에 대해 살펴았다. 둘째로 Neo-DBAE의 개념 및 등장배경을 제시하였으며, Neo-DBAE에 영향을 준 교육적 배경인 구성주의 교육 및 홀리스틱 교육, 포스트모던 미술교육, 다문화교육, 시각문화교육을 살펴보았다. 셋째, Neo-DBAE의 특성 및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제1차 미술 교육과정부터 제7차 미술 교육과정의 흐름을 살펴보고 Neo-DBAE를 통한 제7차 2007 · 2009개정 미술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미술 교육과정의 분석은 Neo-DBAE의 이론적 영향 관계가 많은 성격, 목표,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Ⅳ장에서는 Neo-DBAE 미술교육 이론이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Neo-DBAE의 특성 중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다문화적인 요소, 통합적 요소를 중심으로 2007개정 미술 교육과정을 토대로 발간된 9종 미술교과서의 단원을 분석하고 2009개정 미술 교과서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Neo-DBAE 미술교육이론을 통한 중학교 교육과정분석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개정 미술 교육과정에서 Neo-DBAE의 강조를 강조한 예로는 통합적인 미술교육, 시각적 문해력의 향상을 위한 체험 영역의 확장, 미술 교과 외의 다양한 미술 문화의 경험을 들 수 있다. 현재 미술교과의 영역은 체험, 표현, 감상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내용별 영역지도에서 체험, 표현, 감상의 유기적 연계성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한 학기 중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1회 방문을 명시하고 있으며, 지역 축제 및 학교 축제와 미술교과의 연계를 강조하고 있다. Neo-DBAE 미술이론이 강조하고 있는 다문화적, 통합적 측면을 토대로 9종 미술교과서를 분석해보면 다문화적 요소는 9종의 미술 교과서 중 1종의 교과서에서만이 직접적인 단원을 설정하고 있으며, 참고 도판의 경우에도 한국을 제외하고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는 다문화적 요소가 아직까지 미술교육 현장에서의 반영된다는 면에서 볼때 아직 그 수준이 미비함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통합적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반영되어 있다. 교과서별로 다른 교과와의 통합적 단원을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지역축제 및 문화, 학교 축제, 미술관 및 박물관을 통한 미술 감상 단원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통합적 프로그램을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드물었으며, 국어와 사회와의 통합에 치우친 경향이 있었다. 2009개정 미술교과서 편찬 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반영과 통합 교과의 실제적인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체험 영역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미술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참고 도판 수록 시 유럽과 미국 중심이 아닌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와 함께 소수미족의 미술 문화를 반영해야 한다. 본 논문은 현대 사회에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이주노동자의 유입과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 가정 증가, 분과식 교육과정으로 인한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사고의 부재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Neo-DBAE의 미술교육이론이 현장에서 활발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Neo-DBAE 이론적 개념의 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