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기존에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었던 어휘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앞으로 어휘 교육이 지향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교사와 학생의 머릿속에 어휘와 관련한 지식과 경험 및 의식, 그리고 주체별로 특화된 교수 방법적 지식이나 학습 전략 등이 저장된 추상적인 공간인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논의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어휘 교육 방법의 절차 모형을 구안함으로써 일선 학교에서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이 시행되는 데 밑거름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론에서 밝힌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간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었던 어휘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따져 보았다. 그동안 시행되었던 국어 어휘 교육은 교수․학습의 주체 관련 측면, 어휘 교육 및 어휘력에 대한 인식 관련 측면, 어휘 교육 실천 관련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사가 전문성과 ...
이 연구는 기존에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었던 어휘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앞으로 어휘 교육이 지향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교사와 학생의 머릿속에 어휘와 관련한 지식과 경험 및 의식, 그리고 주체별로 특화된 교수 방법적 지식이나 학습 전략 등이 저장된 추상적인 공간인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논의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어휘 교육 방법의 절차 모형을 구안함으로써 일선 학교에서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이 시행되는 데 밑거름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론에서 밝힌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간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었던 어휘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따져 보았다. 그동안 시행되었던 국어 어휘 교육은 교수․학습의 주체 관련 측면, 어휘 교육 및 어휘력에 대한 인식 관련 측면, 어휘 교육 실천 관련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사가 전문성과 책무성을 가지고 책임감 있게 주도적으로 어휘 교육을 실행해야 하며 어휘 교육의 주체로서 학생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여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어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렇게 어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돕는 방편으로서 교사와 학생의 머릿속에 어휘와 관련된 지식과 경험, 의식, 교수 방법적 지식과 학습 전략 등이 저장된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이 유용할 것이다. 어휘 교육 주체별 책무성을 강화하고 개개 어휘의 특성을 잘 반영한 어휘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을 시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어휘 교육은 국어 교육 차원 및 인간 교육 차원 그리고 평생 교육 차원에서 여러 가지 교육적 의의가 있다. 교사와 학생별로 이상적인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의 모습을 상정해야 이러한 모습에 가깝게 접근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할 수 있다. 교사의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의 이상적인 모습은 어휘론 관련 일반 지식이 들어 있고, 각 어휘에 따른 교수 내용적 지식, 어휘와 관련된 의식 및 경험, 그리고 교수 방법적 지식이 풍부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의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의 이상적인 모습은 어휘론 관련 일반 지식이 들어 있고, 각 어휘에 따른 내용적 지식, 어휘와 관련된 의식 및 경험, 어휘 학습 시 구사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풍부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의 주요 원리로 머릿속 사전의 내용을 겉으로 드러내어 점검하는 과정과 관련된 것이 ‘발현’이다. 또한 교사와 학생이 서로 도와서 머릿속 사전 중 잘못된 부분을 고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과정과 관련된 것이 ‘상호작용’이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이 자신의 머릿속 사전 내용을 좀 더 알차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 ‘내실화’이다. 어휘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머릿속 사전 내용이 풍부하게 되는 것이 가장 필요한데, 이는 수업 이전 단계에서 장시간의 노력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 학교 수업 장면에서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수․학습의 절차로는 ‘학습할 어휘의 선정’, ‘어휘별 교수․학습 항목 추출’, ‘학생의 머릿속 사전 내용 발현’, ‘학생 머릿속 사전 내용의 점검’, ‘학생 머릿속 사전 내용의 수정․보완․추가’, ‘추가로 학습할 어휘 및 항목 선정’, ‘항목별 내용 확장’, ‘머릿속 사전 내용의 평가’ 등을 제시하고 각 절차별 구체적 실행 방법을 제안했다. 이러한 단계를 적용하는 방식은 모든 단계를 다 적용하는 <기본형>, 학생들의 머릿속 사전 내용의 발현 등을 생략하는 <축약형>, 가르치는 단어에 따라 두 유형을 혼합해 적용하는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수업 절차는 학교급별 특성, 학습 영역별 특성, 개별 제재글의 특성, 학습 대상 어휘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적절히 적용할 수 있음을 현장 학교에 적용된 수업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이 잘 이뤄지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교사가 자신의 머릿속 사전을 풍부하게 하려고 부단히 노력해야 하지만, 외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점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일선 교사들에게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을 시도해 보도록 용기를 주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어휘 교수 지원 사이트’를 마련하고 ‘어휘 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외부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에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었던 어휘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앞으로 어휘 교육이 지향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교사와 학생의 머릿속에 어휘와 관련한 지식과 경험 및 의식, 그리고 주체별로 특화된 교수 방법적 지식이나 학습 전략 등이 저장된 추상적인 공간인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하여 어휘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논의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어휘 교육 방법의 절차 모형을 구안함으로써 일선 학교에서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이 시행되는 데 밑거름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론에서 밝힌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간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었던 어휘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따져 보았다. 그동안 시행되었던 국어 어휘 교육은 교수․학습의 주체 관련 측면, 어휘 교육 및 어휘력에 대한 인식 관련 측면, 어휘 교육 실천 관련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사가 전문성과 책무성을 가지고 책임감 있게 주도적으로 어휘 교육을 실행해야 하며 어휘 교육의 주체로서 학생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여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어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렇게 어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돕는 방편으로서 교사와 학생의 머릿속에 어휘와 관련된 지식과 경험, 의식, 교수 방법적 지식과 학습 전략 등이 저장된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이 유용할 것이다. 어휘 교육 주체별 책무성을 강화하고 개개 어휘의 특성을 잘 반영한 어휘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을 시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어휘 교육은 국어 교육 차원 및 인간 교육 차원 그리고 평생 교육 차원에서 여러 가지 교육적 의의가 있다. 교사와 학생별로 이상적인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의 모습을 상정해야 이러한 모습에 가깝게 접근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할 수 있다. 교사의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의 이상적인 모습은 어휘론 관련 일반 지식이 들어 있고, 각 어휘에 따른 교수 내용적 지식, 어휘와 관련된 의식 및 경험, 그리고 교수 방법적 지식이 풍부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의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의 이상적인 모습은 어휘론 관련 일반 지식이 들어 있고, 각 어휘에 따른 내용적 지식, 어휘와 관련된 의식 및 경험, 어휘 학습 시 구사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풍부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의 주요 원리로 머릿속 사전의 내용을 겉으로 드러내어 점검하는 과정과 관련된 것이 ‘발현’이다. 또한 교사와 학생이 서로 도와서 머릿속 사전 중 잘못된 부분을 고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과정과 관련된 것이 ‘상호작용’이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이 자신의 머릿속 사전 내용을 좀 더 알차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 ‘내실화’이다. 어휘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머릿속 사전 내용이 풍부하게 되는 것이 가장 필요한데, 이는 수업 이전 단계에서 장시간의 노력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 학교 수업 장면에서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수․학습의 절차로는 ‘학습할 어휘의 선정’, ‘어휘별 교수․학습 항목 추출’, ‘학생의 머릿속 사전 내용 발현’, ‘학생 머릿속 사전 내용의 점검’, ‘학생 머릿속 사전 내용의 수정․보완․추가’, ‘추가로 학습할 어휘 및 항목 선정’, ‘항목별 내용 확장’, ‘머릿속 사전 내용의 평가’ 등을 제시하고 각 절차별 구체적 실행 방법을 제안했다. 이러한 단계를 적용하는 방식은 모든 단계를 다 적용하는 <기본형>, 학생들의 머릿속 사전 내용의 발현 등을 생략하는 <축약형>, 가르치는 단어에 따라 두 유형을 혼합해 적용하는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수업 절차는 학교급별 특성, 학습 영역별 특성, 개별 제재글의 특성, 학습 대상 어휘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적절히 적용할 수 있음을 현장 학교에 적용된 수업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이 잘 이뤄지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교사가 자신의 머릿속 사전을 풍부하게 하려고 부단히 노력해야 하지만, 외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점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일선 교사들에게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어휘 교육을 시도해 보도록 용기를 주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어휘 교수 지원 사이트’를 마련하고 ‘어휘 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외부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vocabulary education which has been performed in the existing class, and explore what vocabulary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for resolving the revealed problems. And then, I discuss that vocabulary should be educated by utilizing ‘Total Men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vocabulary education which has been performed in the existing class, and explore what vocabulary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for resolving the revealed problems. And then, I discuss that vocabulary should be educated by utilizing ‘Total Mental Dictionary’ which is abstract space where knowledge, experience, awareness,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hich is related to vocabularies, are saved. I attempt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performing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TMD by devising its procedure model for applying to educational practice. Discussion in this article is as follows: I examine whether there is a problem with 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at has been instructed. I can find that there have been various problems : one for aspect of the subject of teaching-learning, two for aspect of the awareness of vocabulary and vocabulary education, three for aspect of the practice of vocabulary education. To resolve the aforementioned statements, a teacher of Korean should educate students on vocabulary with the professionalism and accountability,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vocabulary education independently and actively as giving an important role to students who are the subject of vocabulary education. TMD in which knowledge, experience, awareness, knowledge of instructional method, and teaching strategy related to vocabulary are stored, the way of helping educate vocabulary, is efficacious for teaching vocabulary.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TMD should be performed to carry out vocabulary education that enforces the accountability of each subject and reflects a feature of the individual vocabulary well. This vocabulary education has various educational significances to three different levels : Korean education, huma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ostulating a mental image of what TMD would look like, students and teachers could attempt to approach the image. We can suggest that the ideal TMD of teacher abundantly consist of lexicologic knowledge, instructional knowledge in each vocabulary, awareness and experience related to vocabulary, and knowledge of instructional method; and that of student is composed of lexicologic knowledge, knowledge in each vocabulary, awareness and experience related to vocabulary, and a diversity of strategies that could be used when students learn vocabularies. Revelation, the primary principle of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TMD, is the concept that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checking the content of TMD, and the concept that the process of adjusting misknowledge of TMD and complementing a shortfall in TMD as a teacher and student help each other is interaction. And internalization is the effort that a teacher and student try to develop the content of TMD meaningfully. For appropriate education in vocabulary, it is the most significant for teacher to increase the sum of the content of TMD, which should be attained through an effort for hours before class. The selection of learning vocabulary, sampling of teaching-learning items in each vocabulary, revelation about the content of student’s TMD, a check on the content of student’s TMD, adjustment, complement and supplement to the content of student’s TMD, the selection of additional vocabulary or item, expansion in each item, and evaluation of the content of TMD are suggested; and course of action in each process is proposed as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bout vocabulary based on TMD in the instructional spot. The ways applied to these phases can be divided into a basic, concise and mixed model. The basic model applies all phases, and the concise model omits revelation of the content of students’ TMD, and the mixed model applies mixture of two types in accordance with teaching words. I assure that aforementioned procedure for classes could be applied depending on various features-a level, domain, individual material, an object of study- through the practical case of classes. I make sure that external support is desperate to properly educate vocabulary although it is important for teacher to enrich the content of TMD. I believe that this thesis will help to raise capital to encourage teachers in the attempt at vocabulary education as utilizing TMD and to prepare to make a website online and the program for support for vocabular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vocabulary education which has been performed in the existing class, and explore what vocabulary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for resolving the revealed problems. And then, I discuss that vocabulary should be educated by utilizing ‘Total Mental Dictionary’ which is abstract space where knowledge, experience, awareness,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hich is related to vocabularies, are saved. I attempt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performing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TMD by devising its procedure model for applying to educational practice. Discussion in this article is as follows: I examine whether there is a problem with 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at has been instructed. I can find that there have been various problems : one for aspect of the subject of teaching-learning, two for aspect of the awareness of vocabulary and vocabulary education, three for aspect of the practice of vocabulary education. To resolve the aforementioned statements, a teacher of Korean should educate students on vocabulary with the professionalism and accountability,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vocabulary education independently and actively as giving an important role to students who are the subject of vocabulary education. TMD in which knowledge, experience, awareness, knowledge of instructional method, and teaching strategy related to vocabulary are stored, the way of helping educate vocabulary, is efficacious for teaching vocabulary.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TMD should be performed to carry out vocabulary education that enforces the accountability of each subject and reflects a feature of the individual vocabulary well. This vocabulary education has various educational significances to three different levels : Korean education, huma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ostulating a mental image of what TMD would look like, students and teachers could attempt to approach the image. We can suggest that the ideal TMD of teacher abundantly consist of lexicologic knowledge, instructional knowledge in each vocabulary, awareness and experience related to vocabulary, and knowledge of instructional method; and that of student is composed of lexicologic knowledge, knowledge in each vocabulary, awareness and experience related to vocabulary, and a diversity of strategies that could be used when students learn vocabularies. Revelation, the primary principle of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TMD, is the concept that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checking the content of TMD, and the concept that the process of adjusting misknowledge of TMD and complementing a shortfall in TMD as a teacher and student help each other is interaction. And internalization is the effort that a teacher and student try to develop the content of TMD meaningfully. For appropriate education in vocabulary, it is the most significant for teacher to increase the sum of the content of TMD, which should be attained through an effort for hours before class. The selection of learning vocabulary, sampling of teaching-learning items in each vocabulary, revelation about the content of student’s TMD, a check on the content of student’s TMD, adjustment, complement and supplement to the content of student’s TMD, the selection of additional vocabulary or item, expansion in each item, and evaluation of the content of TMD are suggested; and course of action in each process is proposed as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bout vocabulary based on TMD in the instructional spot. The ways applied to these phases can be divided into a basic, concise and mixed model. The basic model applies all phases, and the concise model omits revelation of the content of students’ TMD, and the mixed model applies mixture of two types in accordance with teaching words. I assure that aforementioned procedure for classes could be applied depending on various features-a level, domain, individual material, an object of study- through the practical case of classes. I make sure that external support is desperate to properly educate vocabulary although it is important for teacher to enrich the content of TMD. I believe that this thesis will help to raise capital to encourage teachers in the attempt at vocabulary education as utilizing TMD and to prepare to make a website online and the program for support for vocabulary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