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마을을 필두로 우리의 토속건축에 관한 답사, 분석, 적용이 비단 갑자기 부각된 것은 아니며 그동안 다양한 방식으로의 접근이 있어왔다. 허나 각국이 자국에 적합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현 추세에서, 현대건축물이라는 공통분모로 대부분 외국의 자료를 근거로 작성된 국내 인증기준은 우리나라 고유의 기후환경과 자연요소를 포함한 토속적인 방식을 반영하는 데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특히 전통마을의 실태조사(순천 낙안읍성)를 통하여 토속건축요소를 현대주거단지의 인증기준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기후와 지리적 조건에 적응하고 순응하는 토속건축의 고유한 방식들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반영될 때 지속가능한 개발이 의미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외국 인증제도와의 비교만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가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일부 국외 친환경 제도에서 지역성의 반영을 위한 노력들을 제시함으로써 현 국내인증제도에의 토속건축요소 적용의 당위성을 밝혔다. (2) 토속건축의 친환경 요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선행논문에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구성된 ‘전통마을 친환경 계획요소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순천 낙안읍성을 실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로 전통마을 친환경 계획요소 분류체계의 타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3) 실태조사를 통하여, 단지배치와 지역기후적응의 연관성, ...
전통마을을 필두로 우리의 토속건축에 관한 답사, 분석, 적용이 비단 갑자기 부각된 것은 아니며 그동안 다양한 방식으로의 접근이 있어왔다. 허나 각국이 자국에 적합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현 추세에서, 현대건축물이라는 공통분모로 대부분 외국의 자료를 근거로 작성된 국내 인증기준은 우리나라 고유의 기후환경과 자연요소를 포함한 토속적인 방식을 반영하는 데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특히 전통마을의 실태조사(순천 낙안읍성)를 통하여 토속건축요소를 현대주거단지의 인증기준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기후와 지리적 조건에 적응하고 순응하는 토속건축의 고유한 방식들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반영될 때 지속가능한 개발이 의미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외국 인증제도와의 비교만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가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일부 국외 친환경 제도에서 지역성의 반영을 위한 노력들을 제시함으로써 현 국내인증제도에의 토속건축요소 적용의 당위성을 밝혔다. (2) 토속건축의 친환경 요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선행논문에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구성된 ‘전통마을 친환경 계획요소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순천 낙안읍성을 실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로 전통마을 친환경 계획요소 분류체계의 타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3) 실태조사를 통하여, 단지배치와 지역기후적응의 연관성, 주호의 구성방식과 외부공간의 관계, 지형순응과 방풍, 구조체의 밀도와 수순환체계의 관계, 자연식생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외부활동을 위한 그늘제공 등 토속건축의 친환경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4) 실태조사 결과와 KGBC(공동주택) 부문을 비교분석하여, 자연바람의 이용과 제어, 집약적 구성을 통한 환경친화력, 상징적 경관 또는 조망의 형성, 외부공간에 그늘의 제공, 식물정화시스템, 자연 재료의 이용, 토착식생의 이용 등 7개 추가항목을 도출하였다. (5) 7개의 도출된 항목을 BREEAM, CASBEE, LEED, SBTool 4개의 국외 인증기준과 비교하여 친환경 관련 항목으로써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관련내용을 평가방법(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속건축 친환경 계획요소의 KGBC에의 적용을 위한 항목과 내용중심의 적용 안을 제시하였으나,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제시항목별 구체적인 평가기준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토속건축 친환경계획요소 분석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해서는 전통마을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마을을 필두로 우리의 토속건축에 관한 답사, 분석, 적용이 비단 갑자기 부각된 것은 아니며 그동안 다양한 방식으로의 접근이 있어왔다. 허나 각국이 자국에 적합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현 추세에서, 현대건축물이라는 공통분모로 대부분 외국의 자료를 근거로 작성된 국내 인증기준은 우리나라 고유의 기후환경과 자연요소를 포함한 토속적인 방식을 반영하는 데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특히 전통마을의 실태조사(순천 낙안읍성)를 통하여 토속건축요소를 현대주거단지의 인증기준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기후와 지리적 조건에 적응하고 순응하는 토속건축의 고유한 방식들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반영될 때 지속가능한 개발이 의미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외국 인증제도와의 비교만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가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일부 국외 친환경 제도에서 지역성의 반영을 위한 노력들을 제시함으로써 현 국내인증제도에의 토속건축요소 적용의 당위성을 밝혔다. (2) 토속건축의 친환경 요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선행논문에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구성된 ‘전통마을 친환경 계획요소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순천 낙안읍성을 실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로 전통마을 친환경 계획요소 분류체계의 타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3) 실태조사를 통하여, 단지배치와 지역기후적응의 연관성, 주호의 구성방식과 외부공간의 관계, 지형순응과 방풍, 구조체의 밀도와 수순환체계의 관계, 자연식생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외부활동을 위한 그늘제공 등 토속건축의 친환경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4) 실태조사 결과와 KGBC(공동주택) 부문을 비교분석하여, 자연바람의 이용과 제어, 집약적 구성을 통한 환경친화력, 상징적 경관 또는 조망의 형성, 외부공간에 그늘의 제공, 식물정화시스템, 자연 재료의 이용, 토착식생의 이용 등 7개 추가항목을 도출하였다. (5) 7개의 도출된 항목을 BREEAM, CASBEE, LEED, SBTool 4개의 국외 인증기준과 비교하여 친환경 관련 항목으로써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관련내용을 평가방법(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속건축 친환경 계획요소의 KGBC에의 적용을 위한 항목과 내용중심의 적용 안을 제시하였으나,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제시항목별 구체적인 평가기준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토속건축 친환경계획요소 분석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해서는 전통마을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vernacular architecture including the traditional village has been an meaningful things through investiga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in the academia. Even though many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certifications also tend to reflect their vernacular conditions containing diverse climates...
The vernacular architecture including the traditional village has been an meaningful things through investiga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in the academia. Even though many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certifications also tend to reflect their vernacular conditions containing diverse climates and natural elements, however, our domestic certification criteria is insufficient to apply those factors. According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oblem of the domestic certification and suggests an alternative to apply Korean vernacular factors to it as investigating the Nakan traditional village.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summarized like below. (1)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KGBC) oversea regional climate and geographical conditions, whereas they focus on make improvements over measuring themselves against foreign certifications. This survey makes known the appropriateness of applying factors of the vernacular architecture to KGBC as producing relevant evidences through the foreign certifications. (2) Nakan-eupseong is selected as one of the traditional villages. The investigation of this traditional village to analyze the environment-friendly factors of Korean vernacular architecture is carried out as us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factors in traditional village that is drawn through precedent thesis. (3)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responding to regional cl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 of buildings and outdoor spac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wind shielding program and topography-adaptation, correlation between building density and water circulation, sanitation facilities using natural vegetation, and shaded space for outdoor activities are understood as environment-friendly factors of Nakan-eupseong. (4) Through comparing above results with KGBC(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7 additional items are drawn; the utilization and control of natural wind, the environmental affinity through intensive format, the build-up of symbolic landscape or view, the shaded space for outdoor activities, the sanitation facilities using natural vegetation, the usage of natural materials, and the use of native plantings. (5) As making a comparison between above 7 items and BREEAM, CASBEE, LEED and SBTool, the validity of those is confirmed and the relevant provisions are proposed as valuation bases. In this survey, the concrete succeeding studies to practical use would be necessary even though the 7 items and related provisions are suggested. In addition, the continuous investigation on other traditional villages might be required to secure objectivity of the environment-friendly factors in the Korean vernacular architecture.
The vernacular architecture including the traditional village has been an meaningful things through investiga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in the academia. Even though many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certifications also tend to reflect their vernacular conditions containing diverse climates and natural elements, however, our domestic certification criteria is insufficient to apply those factors. According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oblem of the domestic certification and suggests an alternative to apply Korean vernacular factors to it as investigating the Nakan traditional village.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summarized like below. (1)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KGBC) oversea regional climate and geographical conditions, whereas they focus on make improvements over measuring themselves against foreign certifications. This survey makes known the appropriateness of applying factors of the vernacular architecture to KGBC as producing relevant evidences through the foreign certifications. (2) Nakan-eupseong is selected as one of the traditional villages. The investigation of this traditional village to analyze the environment-friendly factors of Korean vernacular architecture is carried out as us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factors in traditional village that is drawn through precedent thesis. (3)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responding to regional cl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 of buildings and outdoor spac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wind shielding program and topography-adaptation, correlation between building density and water circulation, sanitation facilities using natural vegetation, and shaded space for outdoor activities are understood as environment-friendly factors of Nakan-eupseong. (4) Through comparing above results with KGBC(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7 additional items are drawn; the utilization and control of natural wind, the environmental affinity through intensive format, the build-up of symbolic landscape or view, the shaded space for outdoor activities, the sanitation facilities using natural vegetation, the usage of natural materials, and the use of native plantings. (5) As making a comparison between above 7 items and BREEAM, CASBEE, LEED and SBTool, the validity of those is confirmed and the relevant provisions are proposed as valuation bases. In this survey, the concrete succeeding studies to practical use would be necessary even though the 7 items and related provisions are suggested. In addition, the continuous investigation on other traditional villages might be required to secure objectivity of the environment-friendly factors in the Korean vernacular architec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