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 principal's job performance and the head teacher's job efficacy in elementary schools원문보기
논 문 요 약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송 인 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초등교육행정전공 (지도교수 오 성 철) 본 연구는 초등학교 부장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이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들의 성과와 한계를 검토하였고, 조사 연구는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질문지 구성은 기존에 개발된 질문지를 연구자가 연구의 방향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교감의 직무수행능력 정도는 하위영역인 교육과정․수업지도 영역, 교직원인사․복지 영역, 학생 인사․생활지도․복지 영역, 사무․재무․시설 관리 영역, ...
논 문 요 약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송 인 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초등교육행정전공 (지도교수 오 성 철) 본 연구는 초등학교 부장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이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들의 성과와 한계를 검토하였고, 조사 연구는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질문지 구성은 기존에 개발된 질문지를 연구자가 연구의 방향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교감의 직무수행능력 정도는 하위영역인 교육과정․수업지도 영역, 교직원인사․복지 영역, 학생 인사․생활지도․복지 영역, 사무․재무․시설 관리 영역, 지역사회 관계 영역의 5개 영역,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인인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 등 하위변인 3개 영역, 15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들 문항들은 5단계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 서울시 11개 지역교육지원청 관내에 각각 6개 공립 초등학교에 6부의 설문지를 돌려 총 396부 중 회수된 292부의 설문지를 가지고 연구 분석을 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분석방법은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치를 구하고,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들이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 수준은 선행연구와 비교해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하위영역 중에는 학생 인사․생활지도․복지 영역이 가장 높게, 다음은 사무․재무․시설 관리 영역, 교직원인사․복지 영역, 교육과정․수업지도 영역, 지역사회 관계 영역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는 부장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은 부장교사의 성별, 교육경력, 부장경력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장교사들의 직무효능감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직무효능감 중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은 세 가지 하위영역에 별 영향이 없었으며, 교육경력은 부장교사 직무효능감 중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부장경력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의 세 영역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부장경력이 많을수록 직무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장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이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의 하위변인을 설명하는 정도는 자기조절효능감 영역이 7.44%, 자신감 영역이 9.62%,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이 6.20%의 설명력을 지니며,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기는 하나 그 영향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 및 초등교육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책임경영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교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교감이 처리해야 할 직무 양이 크게 확대됨을 감안할 때 학교경영의 효율성을 위해 교감 연수에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을 기를 수 있는 실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필요하며 동시에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교감의 인성, 리더십 등의 능력을 기르는 과정의 개발도 필요하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학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부장교사들의 직무효능감은 교감의 영향력보다는 부장교사 자신의 내적인 요소인 교육경력, 부장경력 등이 더 영향을 주게 됨이 밝혀짐에 따라 부장교사들의 업무에 대한 자신감과 직무효능감을 높이기 위하여 부장 보직별로 관련 업무처리에 필요한 실무 연수가 계획되어야겠다. 셋째,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제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떤 한 요인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따라서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주요어 : 교감, 직무수행능력, 부장교사, 직무효능감 * 본 논문은 2012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논 문 요 약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송 인 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초등교육행정전공 (지도교수 오 성 철) 본 연구는 초등학교 부장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이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들의 성과와 한계를 검토하였고, 조사 연구는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질문지 구성은 기존에 개발된 질문지를 연구자가 연구의 방향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교감의 직무수행능력 정도는 하위영역인 교육과정․수업지도 영역, 교직원인사․복지 영역, 학생 인사․생활지도․복지 영역, 사무․재무․시설 관리 영역, 지역사회 관계 영역의 5개 영역,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인인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 등 하위변인 3개 영역, 15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들 문항들은 5단계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 서울시 11개 지역교육지원청 관내에 각각 6개 공립 초등학교에 6부의 설문지를 돌려 총 396부 중 회수된 292부의 설문지를 가지고 연구 분석을 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분석방법은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치를 구하고,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들이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 수준은 선행연구와 비교해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하위영역 중에는 학생 인사․생활지도․복지 영역이 가장 높게, 다음은 사무․재무․시설 관리 영역, 교직원인사․복지 영역, 교육과정․수업지도 영역, 지역사회 관계 영역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는 부장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은 부장교사의 성별, 교육경력, 부장경력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장교사들의 직무효능감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직무효능감 중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은 세 가지 하위영역에 별 영향이 없었으며, 교육경력은 부장교사 직무효능감 중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부장경력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의 세 영역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부장경력이 많을수록 직무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장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이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의 하위변인을 설명하는 정도는 자기조절효능감 영역이 7.44%, 자신감 영역이 9.62%,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이 6.20%의 설명력을 지니며, 교감의 직무수행능력과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기는 하나 그 영향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 및 초등교육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책임경영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교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교감이 처리해야 할 직무 양이 크게 확대됨을 감안할 때 학교경영의 효율성을 위해 교감 연수에 교감의 직무수행능력을 기를 수 있는 실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필요하며 동시에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교감의 인성, 리더십 등의 능력을 기르는 과정의 개발도 필요하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학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부장교사들의 직무효능감은 교감의 영향력보다는 부장교사 자신의 내적인 요소인 교육경력, 부장경력 등이 더 영향을 주게 됨이 밝혀짐에 따라 부장교사들의 업무에 대한 자신감과 직무효능감을 높이기 위하여 부장 보직별로 관련 업무처리에 필요한 실무 연수가 계획되어야겠다. 셋째,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은 제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떤 한 요인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따라서 부장교사의 직무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주요어 : 교감, 직무수행능력, 부장교사, 직무효능감 * 본 논문은 2012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