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에서의 물수지를 분석 및 필요수량의 산정을 위해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에 위치해 있는 전북대학교의 시험포장(900㎡)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11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총 4개월간 물수지의 구성요소에 대한 관측 및 추정을 하여 그 값을 분석하였다. 필지에서의 직접 측정은 강우량, 증발량, 토양침투량을 측정하였으며, 지표유출량과 관개량은 파샬플륨과 자동수위측정기(USM-1000), ...
논에서의 물수지를 분석 및 필요수량의 산정을 위해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에 위치해 있는 전북대학교의 시험포장(900㎡)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11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총 4개월간 물수지의 구성요소에 대한 관측 및 추정을 하여 그 값을 분석하였다. 필지에서의 직접 측정은 강우량, 증발량, 토양침투량을 측정하였으며, 지표유출량과 관개량은 파샬플륨과 자동수위측정기(USM-1000), 유량계를 이용하여 관측하였으며, 그 이외의 기상자료는 전주기상대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증발산량의 추정은 FAO-56 Penman-monteith법을 이용하였으며, 작물증발산량은 작물계수 값 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11년 연구기간의 기상은 최대 일평균 기온의 경우 7월 하순 32.2 ℃, 평균 이슬점 온도는 17.7 ℃로 나타났다. 연구기간동안의 평균 전운량은 6.5 할, 평균 풍속은 1.9 m/s, 평균 일사량은 15.6 MJ/㎡로 조사되었다. 2. 연구기간인 5월 상순부터 9월 하순까지의 총 강우량은 1,148.2 ㎜로 측정되었으며, 강우량은 실측자료와 전주 기상대의 기상자료와 평년자료를 비교한 결과 기상대의 자료와는 142.4 ㎜의 차이를 보였으며, 평년의 자료와는 175.6 ㎜의 차이가 나타났다. 배수량의 경우 총 445.8 ㎜로 관측 되었으며, 강우량이 많았던 7월과 8월에 336.0 ㎜의 유출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 2011년의 관개기 동안 시험포장의 강우량은 총 1,148.2 ㎜로 관측되었으며, 유효우량은 885.4 ㎜로 나타났다. 유효우량은 일우량비법으로 산정하였으며, 유효율은 65.85 %를 나타냈다. 4. 시험포장의 관개기 동안 논 침투량은 573.3 ㎜로 나타났다. 논 침투량의 경우 순별 35.0∼45.4 ㎜의 범위로서 일평균 3.75 ㎜/day의 침투량을 보였다. 작물계수를 계산하지 않은 잠재증발산량의 경우 408.5 ㎜로 나타났으며, 작물계수를 적용한 작물증발산량의 경우 442.7 ㎜로 나타났다. 5. 2011년 5월부터 9월까지의 총관개량은 524.0 ㎜로 관측되었으며, 총 관개시간은 17.9 hr로 나타났다. 관개용수의 공급은 6월 상순경에 이앙용수로 인해 많은 관개용수를 공급하였으며, 그 외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6. 지표유출수인 배수량은 조사기간인 4개월간 445.8 ㎜로 관측되었다. 배수량은 강우량의 따라 배출량이 달랐으나, 6월 하순과 7월 상순, 8월 상순에 각각 46.2 ㎜, 130.5 ㎜, 121.8 ㎜의 유출량이 나타냈다. 7. 2011년 시험포장의 물수지 분석 결과 총 유입량은 1,672.2 ㎜이며, 총 유출량은 1,491.6 ㎜로 나타났으며, 논의 필요수량은 130.8 ㎜로 산정되었다.
논에서의 물수지를 분석 및 필요수량의 산정을 위해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에 위치해 있는 전북대학교의 시험포장(900㎡)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11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총 4개월간 물수지의 구성요소에 대한 관측 및 추정을 하여 그 값을 분석하였다. 필지에서의 직접 측정은 강우량, 증발량, 토양침투량을 측정하였으며, 지표유출량과 관개량은 파샬플륨과 자동수위측정기(USM-1000), 유량계를 이용하여 관측하였으며, 그 이외의 기상자료는 전주기상대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증발산량의 추정은 FAO-56 Penman-monteith법을 이용하였으며, 작물증발산량은 작물계수 값 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11년 연구기간의 기상은 최대 일평균 기온의 경우 7월 하순 32.2 ℃, 평균 이슬점 온도는 17.7 ℃로 나타났다. 연구기간동안의 평균 전운량은 6.5 할, 평균 풍속은 1.9 m/s, 평균 일사량은 15.6 MJ/㎡로 조사되었다. 2. 연구기간인 5월 상순부터 9월 하순까지의 총 강우량은 1,148.2 ㎜로 측정되었으며, 강우량은 실측자료와 전주 기상대의 기상자료와 평년자료를 비교한 결과 기상대의 자료와는 142.4 ㎜의 차이를 보였으며, 평년의 자료와는 175.6 ㎜의 차이가 나타났다. 배수량의 경우 총 445.8 ㎜로 관측 되었으며, 강우량이 많았던 7월과 8월에 336.0 ㎜의 유출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 2011년의 관개기 동안 시험포장의 강우량은 총 1,148.2 ㎜로 관측되었으며, 유효우량은 885.4 ㎜로 나타났다. 유효우량은 일우량비법으로 산정하였으며, 유효율은 65.85 %를 나타냈다. 4. 시험포장의 관개기 동안 논 침투량은 573.3 ㎜로 나타났다. 논 침투량의 경우 순별 35.0∼45.4 ㎜의 범위로서 일평균 3.75 ㎜/day의 침투량을 보였다. 작물계수를 계산하지 않은 잠재증발산량의 경우 408.5 ㎜로 나타났으며, 작물계수를 적용한 작물증발산량의 경우 442.7 ㎜로 나타났다. 5. 2011년 5월부터 9월까지의 총관개량은 524.0 ㎜로 관측되었으며, 총 관개시간은 17.9 hr로 나타났다. 관개용수의 공급은 6월 상순경에 이앙용수로 인해 많은 관개용수를 공급하였으며, 그 외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6. 지표유출수인 배수량은 조사기간인 4개월간 445.8 ㎜로 관측되었다. 배수량은 강우량의 따라 배출량이 달랐으나, 6월 하순과 7월 상순, 8월 상순에 각각 46.2 ㎜, 130.5 ㎜, 121.8 ㎜의 유출량이 나타냈다. 7. 2011년 시험포장의 물수지 분석 결과 총 유입량은 1,672.2 ㎜이며, 총 유출량은 1,491.6 ㎜로 나타났으며, 논의 필요수량은 130.8 ㎜로 산정되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