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일반민족문학'에 대한 연구 : 친일시의 전략을 중심으로 원문보기


구광모 (고려대학교 대학원 비교문학비교문화협동과정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노무현 정부에서 국가기관으로 발족된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이하 ‘진상규명위원회’)는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09년 말에 ‘친일반민족행위자’로 판정한 문인 31명의 명단(김기진, 김동인, 김동환, 김문집, 김억(안서), 김용제, 김종한, 노천명(女), 모윤숙(女), 박영희, 백(세)철, 서정주, 유진오, 윤두헌, 이광수, 이무영, 이석훈, 이 찬, 임학수, 장덕조(女), 장은중(혁주), 정비석, 정인섭, 정인택, 조용만, 조우식, 주영섭, 주요한, 채만식, 최재서, 최정희(女))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친일문인들의 작품 발표에 영향을 준 일제의 정책적 환경요인들과 개별적 내부요인 및 매개요인 등을 파악하여 각 영향요인들과 문인들과의 관계 등을 찾아내고, 일제의 탄압・유인정책과 공작에 대하여 ‘친일반민족 판정 시인’ 15명(김기진, 김동환, 김억(안서), 김용제, 김종한, 노천명(女), 모윤숙(女), 서정주, 윤두헌, 이광수, 이 찬, 임학수, 조우식, 주영섭, 주요한 등)이 어떻게 순응하였으며 또한 어떠한 전략으로 대응했는지를 비교문학적 시각과 관점에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진상규명위원회’가 ‘친일반민족 작품’으로 판정한 詩 총 138편의 텍스트를 전수(全數) 분석하였고, ‘친일반민족 판정 문인 산문’ 268편중에서 139편을 ‘매개 담론’으로서 함께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친일반민족 작품’(이하 ‘친일작품’)의 개념: 문학계에서의 ‘친일’이란 일반적인 개념이 ‘진상규명위원회’에서는 ‘친일반민족’이란 용어로 과장되게 환치되어 문학작품들과 문인들에게 등가적(等價的)으로 적용되었음이 발견된다. 이러한 적용은 ‘진상규명위원회’가 문인들을 31명이나 ‘반민족행위자’로 양산(量産)한 결과를 만든 ‘문학작품에 대한 국가기관 판정의 구조적인 하자’로 이어지게 되었다. (2) ‘친일반민족 작품’의 발표 시기: 그간 문학계에서는 ‘친일문학’의 시기를 1937년 중일전쟁 이후 또는 1940년 전후 10년을 기준으로 흔히 설정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 이는 ‘산문’의 경우에나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일반민족행위’로 판정된 시와 소설의 80%이상은 태평양전쟁 최초 3년간(41.12.~44.12.)에 집중적으로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3) ‘친일반민족 판정 문인’(이하 ‘친일문인’) 31명의 민족의식: 김문집을 제외하고는, ‘친일문인’들이 조선어와 조선식 필명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않는 등 민족의식이 강했다는 점이 발견된다. 또한 이들 31명 중에는 좌파이든 우파이든 민족주의자로서 항일운동에 참여하여 구속되었다가 출옥한 ‘반일운동 주동자’들이 12명이나 된다는 사실도 발견된다. 일제는 이들을 출옥시키는 대신 조선민족에 대한 배신자라는 이미지로 낙인을 찍고 일본을 위한 ‘전향자’라는 딱지를 붙여놓고 감시・탄압・동원했지만, 이들은 ‘유사(類似)순응적 불응’ 행태를 은밀히 그리고 자주 나타낸 것으로 드러난다. (4) 일제의 동화정책에 대한 대응전략: ‘친일반민족 판정 시인들’(이하 ‘친일시인’)은 ‘내선일체・황민화’를 선전・선동하는 ‘친일 시’의 발표를 거의 회피했으며, ‘친일소설가들’도 ‘내선일체・황민화’ 문제에 소극적이었음이 발견된다. 이와 같이 조선 문인들은, ‘친일작품’을 발표해야 할 경우라도, 식민통치의 핵심인 일제의 ‘내선일체・황민화정책’을 선전・선동해 주는 역할을 피해 가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드러난다. ‘내선일체・황민화’ 관련 작품을 발표했을 때에도, 작가는 대부분의 경우에 양가적이거나 다의적인 의미를 내장시키는 문학적 전략을 구사한 것으로 나타난다. (5) 일제의 침략전쟁에 대한 인식: ‘친일문인들’은 일제의 침략전쟁을 조선민족의 앞날을 위한 ‘대운(大運)’의 ‘기회’와 ‘기대’로 인식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한 ‘기회’와 ‘기대’가 중일전쟁 기간 중에는 개전 2년차인 1939년도에, 태평양전쟁 기간 중에는 개전 1년차인 1942년에 최고 절정을 이루었다. (6) ‘일본국민’에 대한 인식: ‘친일문인들’이 전쟁 시기에 내세운 ‘일본국민’은 ‘조선민족 2500만 명’과 ‘대화(일본)민족 7500만 명’으로 구성된 ‘1억 국민’을 의미했다. 조선민족의 소멸이나 말살을 요구하거나 기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본국가’ 내에서의 조선민족의 역할 및 전체국민의 ‘4분의 1’이라는 2500만 명의 지분(持分)을 내세우는 기능과 전략으로서의 ‘일본국민’임을 활용한 측면이 드러난다. 또한 기성문인들은 조선의 젊은이들에게 일본국민으로서의 충의와 천황에 대한 충성을 외면상으로 강조하긴 했지만, 조선동포와 조선남아로서의 의기(義氣)도 바로 할 것을 덧붙이는 전략도 구사한 사례들이 많이 발견된다. (7) 중일전쟁 중의 ‘친일 시’ 발표 동기: 이 연구는 중일전쟁 기간에 발표된 ‘친일반민족 판정 시’ 총 24편중 23편이 일제의 탄압・유인정책 및 4개 유형의 공작에 의해 대응 창작된 것이라는 ...

주제어

#친일문학,+친일반민족행위,+친일문인,+대일협력,+친일전략,+친일시  #Korean literature,+pro-Japanese literature,+pro-Japanese collaborators,+writing strategies 

학위논문 정보

저자 구광모
학위수여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비교문학비교문화협동과정
지도교수 송상기
발행연도 2013
총페이지 xi, 396 p.
키워드 친일문학,+친일반민족행위,+친일문인,+대일협력,+친일전략,+친일시, Korean literature,+pro-Japanese literature,+pro-Japanese collaborators,+writing strategies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061878&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