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유도만능줄기세포는 신약의 개발, 발생생물학 그리고 치료적인 용도를 위하여 기능적인 간세포로 분화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간세포로의 분화능에 대하여 비교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저자들은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 만능줄기만능줄부터 수립된 embryoid body를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유도만능줄기세포는 신약의 개발, 발생생물학 그리고 치료적인 용도를 위하여 기능적인 간세포로 분화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간세포로의 분화능에 대하여 비교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저자들은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 만능줄기만능줄부터 수립된 embryoid body를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를 조합하여 일련의 처치를 하여 간세포 lineage 로 효율적인 분화를 하도록 하는 적절한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4주간의 처치 후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다각형의 모양을 가진 세포를 얻었고 광학현미경, 전자현미경과 정량 RT-PCR 분석을 통해 간세포와 유사한 세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양쪽에서 유래된 간세포유사세포는 조기 그리고 후기 간세포분화와 연관된 AFP, CK8, CK18, albumin (ALB), asialoglycoprotein 1 (ASGPR1), tryptophan deoxygenase (TDO), glucose-6-phosphatase (G6P), ornithine carbamoyl transferase (OCT), CYP1A2 와 CYP3A4 의 시간의존적인 (time-dependent) 유전자 upregulation 을 보여주었다. AFP, ALB 그리고 ASGPR1 의 발현은 면역염색과 웨스턴블롯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양측에서 유래된 간세포들은 glycogen 을 축적하였으며 albumin 을 분비하고 indocyanine green uptake 를 보이는 등 성숙간세포의 기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생체외에서 모두 간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유도만능줄기세포는 신약의 개발, 발생생물학 그리고 치료적인 용도를 위하여 기능적인 간세포로 분화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간세포로의 분화능에 대하여 비교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저자들은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인간 만능줄기만능줄부터 수립된 embryoid body를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를 조합하여 일련의 처치를 하여 간세포 lineage 로 효율적인 분화를 하도록 하는 적절한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4주간의 처치 후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다각형의 모양을 가진 세포를 얻었고 광학현미경, 전자현미경과 정량 RT-PCR 분석을 통해 간세포와 유사한 세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양쪽에서 유래된 간세포유사세포는 조기 그리고 후기 간세포분화와 연관된 AFP, CK8, CK18, albumin (ALB), asialoglycoprotein 1 (ASGPR1), tryptophan deoxygenase (TDO), glucose-6-phosphatase (G6P), ornithine carbamoyl transferase (OCT), CYP1A2 와 CYP3A4 의 시간의존적인 (time-dependent) 유전자 upregulation 을 보여주었다. AFP, ALB 그리고 ASGPR1 의 발현은 면역염색과 웨스턴블롯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양측에서 유래된 간세포들은 glycogen 을 축적하였으며 albumin 을 분비하고 indocyanine green uptake 를 보이는 등 성숙간세포의 기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생체외에서 모두 간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iPS) may provide functional hepatocytes for drug discovery, developmental biology, and therapeutic use.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are the capacity of hESC and hiPS to differentiate towards hepatocytes. Using sequential treat...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iPS) may provide functional hepatocytes for drug discovery, developmental biology, and therapeutic use.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are the capacity of hESC and hiPS to differentiate towards hepatocytes. Using sequential treatments of embryoid bodies established from hESC and hiPS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we have developed an optimal protocol permitting efficient differentiation towards hepatocytic lineage. After 4 weeks of treatment, both hESC and hiPS acquired a polygonal shape and differentiated into hepatocyte-like cells as judg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nd quantitative RT-PCR analysis. Both hESC and hiPS-derived hepatocyte-like cells exhibited a time-dependent upregulation of genes associated with early- and late-stage hepatic differentiation, including α-fetoprotein (AFP), CK8, CK18, albumin (ALB), asialoglycoprotein 1(ASGPR1), tryptophan deoxygenase (TDO), glucose-6-phosphatase (G6P), ornitine carbamoyl transferase (OCT), CYP1A2, and CYP3A4. Increased expression of AFP, ALB and ASGPR1 was confirmed by immuno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hESC- and hiPS-derived hepatocytes accumulated glycogen, secreted high levels of albumin and showed signs of indocyanine green uptake indicative of mature hepatocyte function. In conclusion, hESC and hiPS showed a comparable potential to differentiate towards hepatocytes in vitro.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iPS) may provide functional hepatocytes for drug discovery, developmental biology, and therapeutic use.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are the capacity of hESC and hiPS to differentiate towards hepatocytes. Using sequential treatments of embryoid bodies established from hESC and hiPS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we have developed an optimal protocol permitting efficient differentiation towards hepatocytic lineage. After 4 weeks of treatment, both hESC and hiPS acquired a polygonal shape and differentiated into hepatocyte-like cells as judg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nd quantitative RT-PCR analysis. Both hESC and hiPS-derived hepatocyte-like cells exhibited a time-dependent upregulation of genes associated with early- and late-stage hepatic differentiation, including α-fetoprotein (AFP), CK8, CK18, albumin (ALB), asialoglycoprotein 1(ASGPR1), tryptophan deoxygenase (TDO), glucose-6-phosphatase (G6P), ornitine carbamoyl transferase (OCT), CYP1A2, and CYP3A4. Increased expression of AFP, ALB and ASGPR1 was confirmed by immuno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hESC- and hiPS-derived hepatocytes accumulated glycogen, secreted high levels of albumin and showed signs of indocyanine green uptake indicative of mature hepatocyte function. In conclusion, hESC and hiPS showed a comparable potential to differentiate towards hepatocytes in vitro.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