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작문 과정에서 독자를 고려하는 것을 능숙한 필자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보고, 독자 고려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필자가 독자를 고려하는 양상이 필자의 인식 안이 아닌 텍스트 위의 여러 가지 장치들을 통해 나타나는 것임을 제시하고, 이렇게 독자를 고려하는 장치 중에 하나인 텍스트 구조 표지를 통해 실제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하는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기본적인 개념인 독자 개념을 독자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필자의 외부 영역, 필자의 내적 사고, 담화공동체, 맥락과 같은 독자의 위치에 따라 독자의 개념과 역할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떠한 하나의 독자 개념으로는 작문 상황 속에 드러나는 다양한 독자의 모습과 역할을 모두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독자의 개념을 절충하는 포괄적 독자 개념을 통해 독자 개념의 혼동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독자 인식과 독자 고려의 개념이 같게 혹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면서 많은 혼동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독자 인식은 필자가 독자에 관한 지식을 가지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독자 고려는 독자 인식을 바탕으로 작문 과정 혹은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독자를 위한 장치나 이러한 장치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개념 구분을 통해 독자 고려가 필자의 사고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독자 고려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독자를 고려하는 것이 작문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독자 고려는 반성적 사고의 하나로, 필자는 독자 고려를 통해 작문 내용을 관리, 검토, 제어할 뿐만 아니라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자신이 쓰고 있는 글에 보편성과 타당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독자 고려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했던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서 작문 과정에서 필자가 독자를 어떠한 방식으로 고려하고 있는지와 함께 고려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 기준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많은 연구에서 독자 고려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
본 연구는 작문 과정에서 독자를 고려하는 것을 능숙한 필자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보고, 독자 고려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필자가 독자를 고려하는 양상이 필자의 인식 안이 아닌 텍스트 위의 여러 가지 장치들을 통해 나타나는 것임을 제시하고, 이렇게 독자를 고려하는 장치 중에 하나인 텍스트 구조 표지를 통해 실제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하는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기본적인 개념인 독자 개념을 독자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필자의 외부 영역, 필자의 내적 사고, 담화공동체, 맥락과 같은 독자의 위치에 따라 독자의 개념과 역할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떠한 하나의 독자 개념으로는 작문 상황 속에 드러나는 다양한 독자의 모습과 역할을 모두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독자의 개념을 절충하는 포괄적 독자 개념을 통해 독자 개념의 혼동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독자 인식과 독자 고려의 개념이 같게 혹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면서 많은 혼동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독자 인식은 필자가 독자에 관한 지식을 가지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독자 고려는 독자 인식을 바탕으로 작문 과정 혹은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독자를 위한 장치나 이러한 장치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개념 구분을 통해 독자 고려가 필자의 사고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독자 고려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독자를 고려하는 것이 작문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독자 고려는 반성적 사고의 하나로, 필자는 독자 고려를 통해 작문 내용을 관리, 검토, 제어할 뿐만 아니라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자신이 쓰고 있는 글에 보편성과 타당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독자 고려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했던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서 작문 과정에서 필자가 독자를 어떠한 방식으로 고려하고 있는지와 함께 고려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 기준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많은 연구에서 독자 고려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텍스트 분석 기준으로 사용하였던 ‘수사적 이동’의 개념을 살피고, ‘수사적 이동’이 지닌 한계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분석 기준의 필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독자 고려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새로운 분석 기준으로 텍스트 구조 표지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작문 과정에서 독자를 고려하려는 필자의 목적에 따라 기존의 텍스트 구조 표지를 재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독자 고려와 텍스트 구조 표지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하기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텍스트 구조 표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독자 유형이 다르게 제시된 작문 과제의 결과물에서 텍스트 구조 표지의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하였지만, 독자 유형에 따라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큰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독자가 구체화되어 제시되거나,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이 풍부한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작문 과제에서, 필자는 텍스트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 표지를 사용하기 보다는 독자의 동의와 참여를 구하는 독자 정보 표지를 많이 사용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필자가 사용한 텍스트 구조 표지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에서, 독자 유형에 따른 텍스트 구조 표지 사용 양상의 차이점이 더욱 뚜렷이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작문 과제에서 필자는 비교, 대조 관계 표지, 부가 관계 표지를 더 많은 비율로 사용하였다. 비교, 대조 관계 표지와 부가 관계 표지는 새로운 정보를 제시하기 보다는 기존의 정보를 설명하는 보충 정보를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필자가 이러한 텍스트 구조 표지를 집중해서 사용하는 이유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자가 독자를 고려하는 장치로 텍스트 구조 표지를 사용하고 있고, 독자의 유형에 따라 텍스트 구조 표지를 다양하게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독자를 고려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필자가 다양한 장치를 통해 독자를 고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텍스트 분석 기준만으로 그 양상을 파악하고자 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독자 고려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미숙한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독자 고려 작문 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핵심어 : 독자, 독자 인식, 독자 고려, 수사적 이동, 독자 고려 양상, 텍스트 구조 표지, 독자 정보 표지, 비교, 대조 관계 표지, 부가 관계 표지
본 연구는 작문 과정에서 독자를 고려하는 것을 능숙한 필자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보고, 독자 고려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필자가 독자를 고려하는 양상이 필자의 인식 안이 아닌 텍스트 위의 여러 가지 장치들을 통해 나타나는 것임을 제시하고, 이렇게 독자를 고려하는 장치 중에 하나인 텍스트 구조 표지를 통해 실제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하는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기본적인 개념인 독자 개념을 독자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필자의 외부 영역, 필자의 내적 사고, 담화공동체, 맥락과 같은 독자의 위치에 따라 독자의 개념과 역할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떠한 하나의 독자 개념으로는 작문 상황 속에 드러나는 다양한 독자의 모습과 역할을 모두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독자의 개념을 절충하는 포괄적 독자 개념을 통해 독자 개념의 혼동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독자 인식과 독자 고려의 개념이 같게 혹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면서 많은 혼동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독자 인식은 필자가 독자에 관한 지식을 가지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독자 고려는 독자 인식을 바탕으로 작문 과정 혹은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독자를 위한 장치나 이러한 장치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개념 구분을 통해 독자 고려가 필자의 사고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독자 고려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독자를 고려하는 것이 작문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독자 고려는 반성적 사고의 하나로, 필자는 독자 고려를 통해 작문 내용을 관리, 검토, 제어할 뿐만 아니라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자신이 쓰고 있는 글에 보편성과 타당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독자 고려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했던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서 작문 과정에서 필자가 독자를 어떠한 방식으로 고려하고 있는지와 함께 고려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 기준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많은 연구에서 독자 고려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텍스트 분석 기준으로 사용하였던 ‘수사적 이동’의 개념을 살피고, ‘수사적 이동’이 지닌 한계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분석 기준의 필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독자 고려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새로운 분석 기준으로 텍스트 구조 표지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작문 과정에서 독자를 고려하려는 필자의 목적에 따라 기존의 텍스트 구조 표지를 재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독자 고려와 텍스트 구조 표지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하기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텍스트 구조 표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독자 유형이 다르게 제시된 작문 과제의 결과물에서 텍스트 구조 표지의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하였지만, 독자 유형에 따라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큰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독자가 구체화되어 제시되거나,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이 풍부한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작문 과제에서, 필자는 텍스트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 표지를 사용하기 보다는 독자의 동의와 참여를 구하는 독자 정보 표지를 많이 사용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필자가 사용한 텍스트 구조 표지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에서, 독자 유형에 따른 텍스트 구조 표지 사용 양상의 차이점이 더욱 뚜렷이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작문 과제에서 필자는 비교, 대조 관계 표지, 부가 관계 표지를 더 많은 비율로 사용하였다. 비교, 대조 관계 표지와 부가 관계 표지는 새로운 정보를 제시하기 보다는 기존의 정보를 설명하는 보충 정보를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필자가 이러한 텍스트 구조 표지를 집중해서 사용하는 이유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자가 독자를 고려하는 장치로 텍스트 구조 표지를 사용하고 있고, 독자의 유형에 따라 텍스트 구조 표지를 다양하게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독자를 고려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필자가 다양한 장치를 통해 독자를 고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텍스트 분석 기준만으로 그 양상을 파악하고자 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독자 고려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미숙한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독자 고려 작문 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핵심어 : 독자, 독자 인식, 독자 고려, 수사적 이동, 독자 고려 양상, 텍스트 구조 표지, 독자 정보 표지, 비교, 대조 관계 표지, 부가 관계 표지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