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외식 산업 시장은 전쟁을 치른다고 할만큼, 자국 음식 문화를 세계인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미 알려진 식문화 선진국인 프랑스, 미국, 일본과 태국, 이탈리아 등은 자국 음식 세계화를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것은 음식 산업과 타 산업 규모를 비교해 볼 때 식품 산업 시장의 생산 유발 효과가 매우 큰 산업임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식품 산업 시장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여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세계 여러 각국은 자국 음식 세계화에 전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또한 문화의 여러 요소 가운데 음식 문화는 국가 또는 민족의 정체성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것으로서 음식과 음식 문화의 산업화는 전후방으로 연계된 농식품 산업, ...
전 세계 외식 산업 시장은 전쟁을 치른다고 할만큼, 자국 음식 문화를 세계인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미 알려진 식문화 선진국인 프랑스, 미국, 일본과 태국, 이탈리아 등은 자국 음식 세계화를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것은 음식 산업과 타 산업 규모를 비교해 볼 때 식품 산업 시장의 생산 유발 효과가 매우 큰 산업임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식품 산업 시장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여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세계 여러 각국은 자국 음식 세계화에 전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또한 문화의 여러 요소 가운데 음식 문화는 국가 또는 민족의 정체성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것으로서 음식과 음식 문화의 산업화는 전후방으로 연계된 농식품 산업, 식자재 산업, 관광산업, 문화 컨텐츠, 인력 수출을 통한 고용 창출 등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이라는 커다란 의미를 내포한다. 한과는 한식의 한 부분이다. 특히 디저트가 식사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는 서양에서, 한류에 주목하는 세계인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식의 세계화와 더불어 디저트인 한과 또한 함께 홍보와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지만 국내에서조차 한과는 명절에나 찾고 먹는 과자로 인식되어 있다. 하나의 우리 전통적인 관습이나 습관에 묶어두기에 한과는 소중하고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명절 선물정도로 인식되는 한과에 대해 업계에서는 좀 더 분발하여 서양과자에 입맛이 길들여져 가는 국민들에게 좀 더 접근하기 쉽고 개선된 한과의 맛을 제공하고 디자인 시대에 걸맞는 한국적 디자인으로 재포장하여 호감을 유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정부에서는 한식세계화와 함께 한과를 정책의 아이템으로 삼아 한류로 모아진 세계인의 관심을 바탕으로 한국 식문화의 이모저모를 제대로 심어가는 데 보다 더 적극적이어야 할 것이다. 한과의 전통을 계승하고 아름다운 한국의 전통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림과 동시에 산업적 수요 창출로 수익을 창출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의 문화 산업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우리의 문화 역량에 세계가 함께 열광하고 한류 문화를 접하면서 한국 문화와 함께 음식 문화에 대한 관심도 늘어 이제 전 세계인이 우리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우리와 같은 문화를 경험하고 먹거리를 체험하며 문화와 정서를 공유하는 시대가 되었다.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관광시장의 지속적인 성장도 한식 세계화에 좋은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음식은 그 나라의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관광자원이 되기도 한다. 최근 한국은 국제기구를 유치하는 등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는 것을 계기로 정부의 한식 세계화 사업에 좀 더 박차를 가해야하는 당위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이라면, 이렇게 우리나라의 국가 위상이 높아지고 그 가운데 한식 세계화의 정책적 추진 전략이 소귀의 성과를 이루어가는 이때에, 우수한 전통 식문화인 한과를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상품을 개발하고 디자인을 개선하는 노력을 통해 한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 한과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을 도모해 대중화하며 한식을 세계화함과 더불어 세계인들에게도 한과의 맛과 멋을 알릴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하는데 있다. 먼저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나 업계 현황으로 보아 독자적으로 한과를 세계화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추정했다. 그래서 한식을 세계화하는 정책에 동반하여 간접적인 지원을 활용하는 방법이 더 현실적이라 보고 한국음식을 연구 개발하고 한식당의 인테리어와 매뉴얼을 구축하는 과정에 한 묶음으로 한과를 포함시켜 한식 세계화가 더욱 완성도 있게 진행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한다. 심층 면접을 통해 얻은 정보로는, 한과가 외국인들에게 접근성이 가장 좋은 것은 자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공항에 갔을 때 선물용으로, 또 유서깊은 식품박람회나 식품관련 전시회에서 맛을 보고 느낌이 좋았을 때, 그리고 한식당에서 접했을 때 관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과에 대한 홍보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아 외국인들이 한과에 대한 정보를 접할 방법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요즘 홍보의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통해 각 국 언어로 된 한과 소개 자료를 정부의 홍보 사이트에서 제대로 알려주는 일도 효과적일 듯하다. 정부의 지원으로 해외 한식당 메뉴얼 구축에 있어 한과를 디저트로 제공하도록 전략적 기획을 한다면 해외 각국 한식당 이용 고객에게 꾸준히 한과가 노출되고 자연스럽게 습관화 되도록 하는 홍보 마케팅안을 도출해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와 정책적 전략 분석, 심층 인터뷰 등을 총체적으로 검토하여 한과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과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한과 원형 DB 구축이다. 둘째, 한과의 맛과 디자인, 패키지 개선 및 기능성 한과 연구 등 연구 개발 부분이다. 셋째, 영유아 및 신세대의 한과 체험 확대와 범국민 한과에 대한 인식 재고 캠페인과 심화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과 세계 유명 요리학교에 한과 강좌 개설 등의 교육 부분이다. 넷째, 한과 관련 Multiful Flagshipshop(대표 매장)을 전세계 주요국에 설립하고 한과업체 해외 창업 시 경영 컨설팅 지원 등의 투자 활성화 부분이다. 다섯째, 식문화 홍보 마케팅으로 재외 공관을 활용한 한과 홍보 및 주요 국가 행사에 한과 활용이다. 또 해외 FG(Focus Group) 운영을 통한 해외 네트워크 구성, 한류 스타 마케팅 활용과 축제 및 공연을 연계한 시너지 효과 유도 등이다. 본 연구는 그간 선행연구가 부재하다시피 한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기여는 물론 본 연구를 통해 한과 세계화를 화두로 꺼내고 그 방안을 제안하여 한과를 세계화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제언했다. 향후 제도적, 전략적인 접근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한과가 세계 시장에 진출함에 있어 그 근거를 마련하고 한식 세계화라는 국가사업의 전략적 진행에 동반하여 보다 더 완성도 있는 정책을 구현하도록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 종국에는 한과가 세계시장에서 문화산업적 가치를 발휘하며 포지셔닝하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전 세계 외식 산업 시장은 전쟁을 치른다고 할만큼, 자국 음식 문화를 세계인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미 알려진 식문화 선진국인 프랑스, 미국, 일본과 태국, 이탈리아 등은 자국 음식 세계화를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것은 음식 산업과 타 산업 규모를 비교해 볼 때 식품 산업 시장의 생산 유발 효과가 매우 큰 산업임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식품 산업 시장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여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세계 여러 각국은 자국 음식 세계화에 전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또한 문화의 여러 요소 가운데 음식 문화는 국가 또는 민족의 정체성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것으로서 음식과 음식 문화의 산업화는 전후방으로 연계된 농식품 산업, 식자재 산업, 관광산업, 문화 컨텐츠, 인력 수출을 통한 고용 창출 등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이라는 커다란 의미를 내포한다. 한과는 한식의 한 부분이다. 특히 디저트가 식사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는 서양에서, 한류에 주목하는 세계인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식의 세계화와 더불어 디저트인 한과 또한 함께 홍보와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지만 국내에서조차 한과는 명절에나 찾고 먹는 과자로 인식되어 있다. 하나의 우리 전통적인 관습이나 습관에 묶어두기에 한과는 소중하고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명절 선물정도로 인식되는 한과에 대해 업계에서는 좀 더 분발하여 서양과자에 입맛이 길들여져 가는 국민들에게 좀 더 접근하기 쉽고 개선된 한과의 맛을 제공하고 디자인 시대에 걸맞는 한국적 디자인으로 재포장하여 호감을 유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정부에서는 한식세계화와 함께 한과를 정책의 아이템으로 삼아 한류로 모아진 세계인의 관심을 바탕으로 한국 식문화의 이모저모를 제대로 심어가는 데 보다 더 적극적이어야 할 것이다. 한과의 전통을 계승하고 아름다운 한국의 전통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림과 동시에 산업적 수요 창출로 수익을 창출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의 문화 산업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우리의 문화 역량에 세계가 함께 열광하고 한류 문화를 접하면서 한국 문화와 함께 음식 문화에 대한 관심도 늘어 이제 전 세계인이 우리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우리와 같은 문화를 경험하고 먹거리를 체험하며 문화와 정서를 공유하는 시대가 되었다.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관광시장의 지속적인 성장도 한식 세계화에 좋은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음식은 그 나라의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관광자원이 되기도 한다. 최근 한국은 국제기구를 유치하는 등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는 것을 계기로 정부의 한식 세계화 사업에 좀 더 박차를 가해야하는 당위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이라면, 이렇게 우리나라의 국가 위상이 높아지고 그 가운데 한식 세계화의 정책적 추진 전략이 소귀의 성과를 이루어가는 이때에, 우수한 전통 식문화인 한과를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상품을 개발하고 디자인을 개선하는 노력을 통해 한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 한과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을 도모해 대중화하며 한식을 세계화함과 더불어 세계인들에게도 한과의 맛과 멋을 알릴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하는데 있다. 먼저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나 업계 현황으로 보아 독자적으로 한과를 세계화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추정했다. 그래서 한식을 세계화하는 정책에 동반하여 간접적인 지원을 활용하는 방법이 더 현실적이라 보고 한국음식을 연구 개발하고 한식당의 인테리어와 매뉴얼을 구축하는 과정에 한 묶음으로 한과를 포함시켜 한식 세계화가 더욱 완성도 있게 진행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한다. 심층 면접을 통해 얻은 정보로는, 한과가 외국인들에게 접근성이 가장 좋은 것은 자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공항에 갔을 때 선물용으로, 또 유서깊은 식품박람회나 식품관련 전시회에서 맛을 보고 느낌이 좋았을 때, 그리고 한식당에서 접했을 때 관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과에 대한 홍보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아 외국인들이 한과에 대한 정보를 접할 방법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요즘 홍보의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통해 각 국 언어로 된 한과 소개 자료를 정부의 홍보 사이트에서 제대로 알려주는 일도 효과적일 듯하다. 정부의 지원으로 해외 한식당 메뉴얼 구축에 있어 한과를 디저트로 제공하도록 전략적 기획을 한다면 해외 각국 한식당 이용 고객에게 꾸준히 한과가 노출되고 자연스럽게 습관화 되도록 하는 홍보 마케팅안을 도출해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와 정책적 전략 분석, 심층 인터뷰 등을 총체적으로 검토하여 한과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과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한과 원형 DB 구축이다. 둘째, 한과의 맛과 디자인, 패키지 개선 및 기능성 한과 연구 등 연구 개발 부분이다. 셋째, 영유아 및 신세대의 한과 체험 확대와 범국민 한과에 대한 인식 재고 캠페인과 심화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과 세계 유명 요리학교에 한과 강좌 개설 등의 교육 부분이다. 넷째, 한과 관련 Multiful Flagshipshop(대표 매장)을 전세계 주요국에 설립하고 한과업체 해외 창업 시 경영 컨설팅 지원 등의 투자 활성화 부분이다. 다섯째, 식문화 홍보 마케팅으로 재외 공관을 활용한 한과 홍보 및 주요 국가 행사에 한과 활용이다. 또 해외 FG(Focus Group) 운영을 통한 해외 네트워크 구성, 한류 스타 마케팅 활용과 축제 및 공연을 연계한 시너지 효과 유도 등이다. 본 연구는 그간 선행연구가 부재하다시피 한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기여는 물론 본 연구를 통해 한과 세계화를 화두로 꺼내고 그 방안을 제안하여 한과를 세계화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제언했다. 향후 제도적, 전략적인 접근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한과가 세계 시장에 진출함에 있어 그 근거를 마련하고 한식 세계화라는 국가사업의 전략적 진행에 동반하여 보다 더 완성도 있는 정책을 구현하도록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 종국에는 한과가 세계시장에서 문화산업적 가치를 발휘하며 포지셔닝하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All countries over the world are intensively competing to appeal their own foods to consumers globally. Especially, France, USA, Japan, Italy and Thailand are the countries in far ahead of that competition environment. These countries have already proved that a food industry has a high potential to ...
All countries over the world are intensively competing to appeal their own foods to consumers globally. Especially, France, USA, Japan, Italy and Thailand are the countries in far ahead of that competition environment. These countries have already proved that a food industry has a high potential to create a additional economic value. Therefore many countrie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on promoting a food industry as one of future economic growth engines. And a food industry and food culture industrialization is very meaningful because it can develop in line with an agriculture industry, food ingredients industry, tourism industry, cultural contents and increased employment through human resource export. It is more than important if considering the fact that food culture is very much representative of a country or national identity. HanGwa(Korean traditional cookie:confections)is a part of Korean food. We have to put a big effort on the promo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anGwa if we want to globalize it considering western people very much enjoy a dessert which is very important part of total meal and they are noticing Korea culture wave. This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fact that HanGwa is perceived as a snack that we eat only at the occasion of traditional holidays even in Korea. We can not disregard it just as an our custom because it is very precious and a highly possible to develop further. Therefore HanGwan manufactures have to put a lot of effort on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design and tastes to appeal to Korean also who are very familiar with the western style confections. In other side, Koean government should be more aggressive in promoting Korean food culture in global market by leveraging the world citizen's interest in Korean culture wave.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succeed HanGwa tradition continuously and advertiz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t will be a beginning point of creating an economic value. In line with continuous increase of tourists all over the world, we have a lot of opportunity of promoting HanGwa and Korean food. Food is a great item for foreigners to experience with Korean culture. So we cab say food is a very important a tourism resource. Recently, it has been successful attracting international meetings and organizations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ese, brand Korea has been enhanced very much. This can also help expedit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With this great mo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identity of Hankwa through the effort of in-depth research on how to develop new products and to improve the product design. And it is aimed to create a moment to promote the taste and beauty of Hankwa, and to more popularize it to Korean by improving its perception among them. It is assumed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HanGwa manufacturers to globalize it by themselves considering their lack of capability and the probability of the government. So it would be suggested as a more realistic solution to promote HanGwa by bundling its offer to foreigners in line with the interior and manual development of Korean restaurants which is getting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purpose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is suggestion is based on the inform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foreigners are very much interested in HanGwa when they are offered at airports as a gift when they are back home, when they try and like its taste at traditionally popular exhibitions and when they experienced at Korean restaurants. Considering the finding from the interview that foreigners have extremely limited contacts with the information on Hankwa, it can be very effective to communication on Hankwa at the web-sites promoting the brand and government of Korea in diverse foreign languages. And also it can help promote Hankwa if we offer it as a dessert at the Korean restaurants in foreign countries as a part of a restaurant manual. Through the comprehensive study of the articles, the government policy analysis, and the in-depth interview, the ways of HanGwa globaliz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reating a database of HanGwa information for its infrastructure building. secondly,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s such as its taste, design and package development, and functional HanGwa products development. Thirdly, education areas such as expanded sampling for children and younsters, right image building among all Koreans, experts training and opening HanGwa classes at foreign popular cooking schools. Fourthly, expanded investment such as building Multi Flagship Stores in majo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nd business administration consulting for its manufacturers when they enter into foreign countries market. Fifthly, its promotion activities such as products displays and sampling at Korea's diplomatic offices in foreign countries, using it at major government events, focus group operation in foreign countries, and tie-in marketing with Korean wave celebrities concerts and festiv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first ever academic study in this field, raising an issue of HanGwa globalization for the first time and building the cornerstone of its globalization by suggesting the five strategic approaches. Also this provides the theoretical fundamental for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and strategic systems and processe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national government policies as part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when HanGwa will be launched in global market in the future.
All countries over the world are intensively competing to appeal their own foods to consumers globally. Especially, France, USA, Japan, Italy and Thailand are the countries in far ahead of that competition environment. These countries have already proved that a food industry has a high potential to create a additional economic value. Therefore many countrie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on promoting a food industry as one of future economic growth engines. And a food industry and food culture industrialization is very meaningful because it can develop in line with an agriculture industry, food ingredients industry, tourism industry, cultural contents and increased employment through human resource export. It is more than important if considering the fact that food culture is very much representative of a country or national identity. HanGwa(Korean traditional cookie:confections)is a part of Korean food. We have to put a big effort on the promo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anGwa if we want to globalize it considering western people very much enjoy a dessert which is very important part of total meal and they are noticing Korea culture wave. This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fact that HanGwa is perceived as a snack that we eat only at the occasion of traditional holidays even in Korea. We can not disregard it just as an our custom because it is very precious and a highly possible to develop further. Therefore HanGwan manufactures have to put a lot of effort on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design and tastes to appeal to Korean also who are very familiar with the western style confections. In other side, Koean government should be more aggressive in promoting Korean food culture in global market by leveraging the world citizen's interest in Korean culture wave.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succeed HanGwa tradition continuously and advertiz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t will be a beginning point of creating an economic value. In line with continuous increase of tourists all over the world, we have a lot of opportunity of promoting HanGwa and Korean food. Food is a great item for foreigners to experience with Korean culture. So we cab say food is a very important a tourism resource. Recently, it has been successful attracting international meetings and organizations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ese, brand Korea has been enhanced very much. This can also help expedit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With this great mo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identity of Hankwa through the effort of in-depth research on how to develop new products and to improve the product design. And it is aimed to create a moment to promote the taste and beauty of Hankwa, and to more popularize it to Korean by improving its perception among them. It is assumed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HanGwa manufacturers to globalize it by themselves considering their lack of capability and the probability of the government. So it would be suggested as a more realistic solution to promote HanGwa by bundling its offer to foreigners in line with the interior and manual development of Korean restaurants which is getting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purpose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is suggestion is based on the inform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foreigners are very much interested in HanGwa when they are offered at airports as a gift when they are back home, when they try and like its taste at traditionally popular exhibitions and when they experienced at Korean restaurants. Considering the finding from the interview that foreigners have extremely limited contacts with the information on Hankwa, it can be very effective to communication on Hankwa at the web-sites promoting the brand and government of Korea in diverse foreign languages. And also it can help promote Hankwa if we offer it as a dessert at the Korean restaurants in foreign countries as a part of a restaurant manual. Through the comprehensive study of the articles, the government policy analysis, and the in-depth interview, the ways of HanGwa globaliz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reating a database of HanGwa information for its infrastructure building. secondly,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s such as its taste, design and package development, and functional HanGwa products development. Thirdly, education areas such as expanded sampling for children and younsters, right image building among all Koreans, experts training and opening HanGwa classes at foreign popular cooking schools. Fourthly, expanded investment such as building Multi Flagship Stores in majo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nd business administration consulting for its manufacturers when they enter into foreign countries market. Fifthly, its promotion activities such as products displays and sampling at Korea's diplomatic offices in foreign countries, using it at major government events, focus group operation in foreign countries, and tie-in marketing with Korean wave celebrities concerts and festiv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first ever academic study in this field, raising an issue of HanGwa globalization for the first time and building the cornerstone of its globalization by suggesting the five strategic approaches. Also this provides the theoretical fundamental for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and strategic systems and processe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national government policies as part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when HanGwa will be launched in global market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