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 노화 과정이 어느 한 순간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야 할 것이라면, 전환기를 겪고 있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더욱이 미래에 예고된 초고령 사회를 염두에 둔다면,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문제는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노년기 적응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중년기 성인의 중년기 위기감, ...
성공적 노화 과정이 어느 한 순간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야 할 것이라면, 전환기를 겪고 있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더욱이 미래에 예고된 초고령 사회를 염두에 둔다면,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문제는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노년기 적응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중년기 성인의 중년기 위기감, 자아존중감을 외생변수로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성공적 노화를 내생변수로 설정하여 구조적 관계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만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402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6.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제안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성인의 중년기 위기감의 수준은 응답의 평균이 3.08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혼불만족도(M=2.73), 자녀관계 불만족도(M=2.67)가 낮게 나타났고, 생의 불만족도(M=3.55), 정서적 위기감(M=3.39)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결혼과 자녀에 대한 불만족은 다소 낮은데 반해, 인생에 대한 불만족과 정서적 위기감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중년기 성인의 현재 성공적 노화수준은 평균 3.29로 나타나 보통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하위 변수로 보면, 자녀만족(M=3.46), 자기수용(M=3.35), 자율적 삶(M=3.35), 타인수용(M=3.24), 자기완성 지향(M=3.24), 적극적 인생참여(M=3.12)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차이 검증을 위해 T-test, ANOVA를 실시한 결과 성별, 직업유무, 월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결정요인 제안모델 적합도는 χ2값이 유의도 0.05보다 작은 0.000으로 나타났으나, RMR=.032, GFI=.903, NFI=.855, CFI=.896, RMSEA=.051로 모두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기 성인의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년기 위기감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성공적 노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서 중년기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훈련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중년기 위기감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인 노화 수준을 높일 뿐만 아니라, 현재 시점에서의 활력적인 생활을 위해서 중년기 위기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심리적인 프로그램, 가족지지를 위한 부부와 자녀,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다른 사람과의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강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관리 방안에 대한 프로그램 등의 개발과 실질적인 교육과 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또한, 중년기 위기는 개인의 심리적 차원이기도 하지만 사회적 차원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사회복지 대상이 기존의 저 소득자나 사회적 약자들 중심에서 복지욕구가 있는 모든 대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위기문제에 대한 사회 복지적 차원의 대응책이 필요하다. 더욱이 미래에 예고된 초고령 사회를 염두에 둔다면,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문제는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에 정부는 구체적인 장ㆍ단기 목표와 중년기 성인에 대한 복지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기구, 지방자치 단체, 각종 사회기관 및 단체 등의 활동이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활성화 하는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성공적 노화 과정이 어느 한 순간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야 할 것이라면, 전환기를 겪고 있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더욱이 미래에 예고된 초고령 사회를 염두에 둔다면,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문제는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노년기 적응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중년기 성인의 중년기 위기감, 자아존중감을 외생변수로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성공적 노화를 내생변수로 설정하여 구조적 관계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만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402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6.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제안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성인의 중년기 위기감의 수준은 응답의 평균이 3.08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혼불만족도(M=2.73), 자녀관계 불만족도(M=2.67)가 낮게 나타났고, 생의 불만족도(M=3.55), 정서적 위기감(M=3.39)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결혼과 자녀에 대한 불만족은 다소 낮은데 반해, 인생에 대한 불만족과 정서적 위기감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중년기 성인의 현재 성공적 노화수준은 평균 3.29로 나타나 보통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하위 변수로 보면, 자녀만족(M=3.46), 자기수용(M=3.35), 자율적 삶(M=3.35), 타인수용(M=3.24), 자기완성 지향(M=3.24), 적극적 인생참여(M=3.12)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차이 검증을 위해 T-test, ANOVA를 실시한 결과 성별, 직업유무, 월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결정요인 제안모델 적합도는 χ2값이 유의도 0.05보다 작은 0.000으로 나타났으나, RMR=.032, GFI=.903, NFI=.855, CFI=.896, RMSEA=.051로 모두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기 성인의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년기 위기감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성공적 노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서 중년기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훈련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중년기 위기감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인 노화 수준을 높일 뿐만 아니라, 현재 시점에서의 활력적인 생활을 위해서 중년기 위기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심리적인 프로그램, 가족지지를 위한 부부와 자녀,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다른 사람과의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강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관리 방안에 대한 프로그램 등의 개발과 실질적인 교육과 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또한, 중년기 위기는 개인의 심리적 차원이기도 하지만 사회적 차원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사회복지 대상이 기존의 저 소득자나 사회적 약자들 중심에서 복지욕구가 있는 모든 대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위기문제에 대한 사회 복지적 차원의 대응책이 필요하다. 더욱이 미래에 예고된 초고령 사회를 염두에 둔다면,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문제는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에 정부는 구체적인 장ㆍ단기 목표와 중년기 성인에 대한 복지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기구, 지방자치 단체, 각종 사회기관 및 단체 등의 활동이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활성화 하는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by a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on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adults who are experiencing transition period with the implication that the successful aging process does not start at a certain point but happens throughout the life span. In consideration of the fore...
This study is carried out by a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on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adults who are experiencing transition period with the implication that the successful aging process does not start at a certain point but happens throughout the life span. In consideration of the foreseen aged society, a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adults is an issue that cannot be neglected.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iddle-aged adults and the baseline data on successful adaptation . For this matter, we've set the reserch topic and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To obt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the hypothesis was validated with setup of the exogenous variables such as middle-aged adult mid-life crisis and self-esteem, parameters such as stress cop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and endogenous variables as a successful aging by appointing the study target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an empirical survey was executed with a total of 402 questionnaires for middle-aged adults with an age between 40 and 60 reside in Jeollabuk-do. For data analysis, SPSS 17.0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 T-test, and ANOVA and AMOS 16.0 was used to analyze confirmative factors, measurement model, and the proposed model. Theses analyt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the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adults was shown in the level of average with responses 3.08. Looking specifically, unsatisfactory rate on marriage (M=2.73) and unsatisfactory rate on child relationship (M 2.67) appeared at a low level and unsatisfactory rate on life (M=3.55) and emotional crisis (M=3.39) were seen at the highest level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urrent level of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aged adults appears to be more than the average to 3.29. In terms of sub-variables, child satisfaction (M=3.46), self-acceptance (M=3.35), autonomous life (M=3.35), accepting others (M=3.24), active life participation (M=3.12) were in order. Third, it was shown that a successful aging was influenced by gender, occupational status, monthly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a result of the validation by T-test and ANOVA on the difference in successful aging dependent on the population and social characteristics. Fourth, χ2 value of suggesting model was appeared to be 0.000, 0.05 less than the significant value, but RMR=.032, GFI=.903, NFI=.855, CFI=.896, RMSEA=.05 were all on the superior level on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adults. Fifth, self-esteem in middle-aged adults was shown to be a positive (+) influence in successful aging. Sixth, the mid-life crisis was shown to be a negative (-) influence by the medium of stress-cop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 Through these finding, it was advised to prepare the development and training programs for adults to increase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for the middle-aged adults. Mid-life crisis an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response were shown to be affective on a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adults. This society is in need of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special programs and practice management in relation to the stress coping skills,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ti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s in forms of psychological programs, family programs to increase the level of current aging standards to be a successful aging. In addition, the mid-life crisis is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 but it can also be classified as a social dimension. As social welfare used to be only subjected to the existing low-incomers or social minorities is expanding to all targets in need of the social support, successful aging issue cannot be neglected.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must setup the long-term goals and a specific chapter on the welfare of middle-aged adults. In addition, not only the government but also the local government, soci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must suggest measures to bring out the synergy effects.
This study is carried out by a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on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adults who are experiencing transition period with the implication that the successful aging process does not start at a certain point but happens throughout the life span. In consideration of the foreseen aged society, a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adults is an issue that cannot be neglected.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iddle-aged adults and the baseline data on successful adaptation . For this matter, we've set the reserch topic and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To obt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the hypothesis was validated with setup of the exogenous variables such as middle-aged adult mid-life crisis and self-esteem, parameters such as stress cop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and endogenous variables as a successful aging by appointing the study target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an empirical survey was executed with a total of 402 questionnaires for middle-aged adults with an age between 40 and 60 reside in Jeollabuk-do. For data analysis, SPSS 17.0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 T-test, and ANOVA and AMOS 16.0 was used to analyze confirmative factors, measurement model, and the proposed model. Theses analyt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the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adults was shown in the level of average with responses 3.08. Looking specifically, unsatisfactory rate on marriage (M=2.73) and unsatisfactory rate on child relationship (M 2.67) appeared at a low level and unsatisfactory rate on life (M=3.55) and emotional crisis (M=3.39) were seen at the highest level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urrent level of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aged adults appears to be more than the average to 3.29. In terms of sub-variables, child satisfaction (M=3.46), self-acceptance (M=3.35), autonomous life (M=3.35), accepting others (M=3.24), active life participation (M=3.12) were in order. Third, it was shown that a successful aging was influenced by gender, occupational status, monthly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a result of the validation by T-test and ANOVA on the difference in successful aging dependent on the population and social characteristics. Fourth, χ2 value of suggesting model was appeared to be 0.000, 0.05 less than the significant value, but RMR=.032, GFI=.903, NFI=.855, CFI=.896, RMSEA=.05 were all on the superior level on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adults. Fifth, self-esteem in middle-aged adults was shown to be a positive (+) influence in successful aging. Sixth, the mid-life crisis was shown to be a negative (-) influence by the medium of stress-cop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 Through these finding, it was advised to prepare the development and training programs for adults to increase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for the middle-aged adults. Mid-life crisis an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response were shown to be affective on a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adults. This society is in need of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special programs and practice management in relation to the stress coping skills,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ti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s in forms of psychological programs, family programs to increase the level of current aging standards to be a successful aging. In addition, the mid-life crisis is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 but it can also be classified as a social dimension. As social welfare used to be only subjected to the existing low-incomers or social minorities is expanding to all targets in need of the social support, successful aging issue cannot be neglected.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must setup the long-term goals and a specific chapter on the welfare of middle-aged adults. In addition, not only the government but also the local government, soci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must suggest measures to bring out the synergy effec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