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자살사망률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간 사회경제 및 보건 관련 요인 분포 Distributions of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between Regions with High and Regions with Low Suicide Mortality Rates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자살사망률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지역별 정신보건사업 및 자살예방사업 정책을 제안하기 위함이었다. 자료는 통계청의 사망원인자료에서 2009년 연령표준화자살사망률(인구십만명당)과 2012년 2월에 공개된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 검정분석의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자살사망률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지역별 정신보건사업 및 자살예방사업 정책을 제안하기 위함이었다. 자료는 통계청의 사망원인자료에서 2009년 연령표준화자살사망률(인구십만명당)과 2012년 2월에 공개된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 검정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사망률의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경제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가구원수, 월 가구소득, 직업, 민간의료보험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 둘째, 자살사망률의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태를 분석한 결과 현재흡연여부, 고위험음주여부,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운동시설접근성, 지역사회 내 운동프로그램 참여, 비만율,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 주요 질환 평생의사진단의 복합질병진단여부, 필요의료서비스 미수진 경험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 셋째, 자살사망률의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수준을 분석한 결과 우울감경험, 자살생각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살사망률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이 낮은 지역 주민에 비해 우울증 같은 개인의 정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기반 시설 및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자살에 의한 사망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지역사회에서 수행되어지는 정신보건사업은 보건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살사망률이 높은 지역에서 자살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신보건사업이 보건소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반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대책이 수립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자살사망률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지역별 정신보건사업 및 자살예방사업 정책을 제안하기 위함이었다. 자료는 통계청의 사망원인자료에서 2009년 연령표준화자살사망률(인구십만명당)과 2012년 2월에 공개된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 검정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사망률의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경제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가구원수, 월 가구소득, 직업, 민간의료보험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 둘째, 자살사망률의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태를 분석한 결과 현재흡연여부, 고위험음주여부,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운동시설접근성, 지역사회 내 운동프로그램 참여, 비만율,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 주요 질환 평생의사진단의 복합질병진단여부, 필요의료서비스 미수진 경험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 셋째, 자살사망률의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수준을 분석한 결과 우울감경험, 자살생각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살사망률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이 낮은 지역 주민에 비해 우울증 같은 개인의 정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기반 시설 및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자살에 의한 사망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지역사회에서 수행되어지는 정신보건사업은 보건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살사망률이 높은 지역에서 자살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신보건사업이 보건소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반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대책이 수립되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 local residents who resided in the regions where suicidal mortality was high and low and suggest the policies of mental health service and suicide prevention service by region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Age-Standardized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 local residents who resided in the regions where suicidal mortality was high and low and suggest the policies of mental health service and suicide prevention service by region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Age-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per 100,000 population) in 2009 from the data of death causes of Statistics Korea and 2009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Independent variables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ender and ag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family income and occupation, health behavior such as current smoking rate,mental health level such as stress detec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idea. On the other h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regional variable between high suicide mortality and low suicide mortality. x2-test analysis Statistical method with SPSS 19.0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are usually older, less educated and have less family members than those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They relatively work in the lower grade occupations and the rate to get the private medical insurance is also lower.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Second, people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smoke and drink more but exercise less than those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They have less accessibility to sport facilities, do not join the exercise programs in the local community, have one more complex diseases, and do not consider themselves subjectively healthy. The population proportion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that does not get the necessary health care is also higher than the proportion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ird, inhabitants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feel depression more and tend to think about suicide more than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In conclusion, residents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have higher death rate by self-deliverance than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in respect of not only individual mental factor but also lack of external factors such as support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Currently, a community health center mainly conducts the mental health care in local area. Various antisuicide measures should be managed by a community health center as well as the loc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 local residents who resided in the regions where suicidal mortality was high and low and suggest the policies of mental health service and suicide prevention service by region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Age-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per 100,000 population) in 2009 from the data of death causes of Statistics Korea and 2009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Independent variables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ender and ag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family income and occupation, health behavior such as current smoking rate,mental health level such as stress detec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idea. On the other h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regional variable between high suicide mortality and low suicide mortality. x2-test analysis Statistical method with SPSS 19.0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are usually older, less educated and have less family members than those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They relatively work in the lower grade occupations and the rate to get the private medical insurance is also lower.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Second, people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smoke and drink more but exercise less than those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They have less accessibility to sport facilities, do not join the exercise programs in the local community, have one more complex diseases, and do not consider themselves subjectively healthy. The population proportion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that does not get the necessary health care is also higher than the proportion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ird, inhabitants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feel depression more and tend to think about suicide more than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In conclusion, residents in high suicide mortality regions have higher death rate by self-deliverance than in low suicide mortality regions, in respect of not only individual mental factor but also lack of external factors such as support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Currently, a community health center mainly conducts the mental health care in local area. Various antisuicide measures should be managed by a community health center as well as the local socie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