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민족 디아스포라 분석연구 : 조선족 사례연구
Analyzing the Korean Diaspora: A Case Study of the Korean-Chinese 원문보기


서민규 (숭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일원) 통일.북한학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민족 디아스포라는 비교적 짧은 이산(離散)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720만 명이라는 엄청난 숫자와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세계 170여개 나라에 분산(分散)된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한민족 디아스포라 중 230만 이라는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조선족은 자신들의 위치를 표현할 때 종종 “사과배”라고 하는데 이는 ‘국적은 중국공민이지만 소수민족으로서 중국사회의 주류가 될 수 없고, 한민족의 언어(조선어)를 사용하고 삶의 방식도 비슷하지만 한국에서는 조선족의 바람과 다르게 성가신 동포나 외국인노동자’로 여김 받는 것에 대한 자괴(自愧)적인 표현이다.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로는 첫째, 한민족은 “One People, Three Koreans”이다. 둘째, 조선족의 정체성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민족 정체성의 변화를 겪고 있는 조선족이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통일을 위해 글로벌 행위자로서 역할을 감당해야하기 때문이다. 넷째, 한민족(韓民族)에 대한 중국의 역사왜곡을 남한과 북한, 그리고 조선족이 함께 대응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디아스포라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조선족을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규정할 수 있을 것인지, 규정할 수 있다면 언제부터인지를 보인다. 한민족 디아스포라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조선족이 기존에 연구된 디아스포라이론의 정의와 특성에 부합하는가는 (1) 거주국과의 관계를 민족이산(民族離散), 비(非)자발성, 민족 정체성 유지 측면에서 이주원인과 거주국의 경험으로 살펴보았고, (2) 모국과의 관계는 모국에 대한 기억, 귀환의식, 모국에 헌신하는 마음 측면인 심리적인 특성으로 살펴보았으며, (3) 국제환경과의 관계는 모국과의 연계, 초국적 네트워크 구축 측면에서 초(超)국적활동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이 거주국과의 관계, 모국과의 관계, 국제환경과의 관계라는 3가지 측면, 8가지 특성에 모두 부합하는 시기는 중국의 개혁․개방 시기(1978년)부터이며, 특히 1992년 한중수교 이후이다. 둘째,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이 ‘거주국-모국-국제환경 간의 관계’ 속에서 차지하는 ‘디아스포라 위치(place of diaspora)’를 분석하고자 한다.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이 ‘국제환경-중국-한국 간의 관계’속에서 차지하는 조선족 위치는 정치, 경제, 사회영역에서 중국과 한국에서의 위치를 분석하고 국제환경에서의 위치는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 및 세계화시대에 따른 초(超)국가적인 이동을 분석하였다.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의 위치는 1978-1992년까지는 경직된 국제환경과 한중간의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한국에서는 배제된 상태였음으로 ‘B’라고 할 수 있으며 1992년 한중수교 이후부터 현재까지 조선족의 위치는 ‘A′’라고 할 수 있는데, 세계화시대에 따른 유연한 국제환경 안에서 한국에서는 한민족 디아스포라를 민족의 자산(資産)으로 여기는 가운데 중국에서는 중국발전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조선족에 대한 포용정책이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의 확장성으로는 향후 북한의 정책적 변화를 포괄하여 조선족에 대한 논의를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뿐만 아니라 재미동포, 재일동포,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diaspora has a short history of migration, but there are 7,200,000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distributed among some 170 countries in the world. In particular there are 2,300,000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in China, which represents the country with the biggest portion of the Kore...

주제어

#한민족 디아스포라 한민족 디아스포라 조선족 중국조선족 디아스포라 위치 

학위논문 정보

저자 서민규
학위수여기관 숭실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정치외교학과(일원) 통일.북한학
지도교수 한정훈
발행연도 2013
총페이지 217
키워드 한민족 디아스포라 한민족 디아스포라 조선족 중국조선족 디아스포라 위치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218105&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