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태 예보 기준우량 설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stablishment of landslide early warning standard by rainfall 원문보기


강원석 (慶尙大學校 山林資源學科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발생 자료 및 강우자료를 구축하여 현재 전국을 동일하게 사용하는 기존의 산사태 주의보, 경보발령 기준을 검토하고 지역별로 지형 및 강우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전국 및 지역별 산사태 예보 강우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우와 산사태와의 관계 1) 전국의 산사태 예보 기준에 따라 강우량별 산사태 개소수를 살펴보면 일강우량의 경우 150mm이상인 강우에서 1520개소 중 528개소로 가장 많은 산사태가 발생하였으며 10mm미만, 120∼130mm미만에서 145개소씩 산사태가 발생하였다. 최대시우량의 경우 30mm이상에서 702개소로 가장 많은 산사태가 발생하였고 20∼30mm미만은 317개소 10mm미만은 292개소가 발생하였다. 연속강우량의 경우 200mm이상의 강우에서 891건으로 산사태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10mm미만의 경우에서 153개소, 170∼180mm미만에서 105개소 순으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였다. 2. 산사태 발생 강우 유형 분석 1) 우리나라에서 강우가 주요인이 되어 발생한 산사태의 강우유형을 일강우량형, 최대시우량형, 연속시우량형, 누적강우량형(Ⅰ)(Ⅱ)(Ⅱ) 총 6가지로 나타내었다. 산사태 예보 기준우량 설정을 위해서 다양한 강우사례를 통해 일강우량, 최대시우량 유형들도 있지만 누적강우량형과 같이 기존의 산림청 예보 기준우량인 시우량, 일강우량, 연속강우량으로 예측할 수 없는 유형들도 있고 연속시우량과 같이 최근 들어 발생하는 유형들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들을 커버하기 위해 기존의 연속강우량을 대신해 누적강우량과 연속시우량 기준을 추가적으로 제시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3. 산사태 주의보·경보 예측도 분석 1) 전국 산사태 예보 기준우량의 예측도는 일강우량 (경보)34.7% > 55.3%(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46.1% > 53.9%(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58.5% > 41.5%(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현재 산사태예보 기준을 바탕으로 예측도를 보면 연속강우량을 제외한 강우기준에서 50%이상이 산사태 경보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였다. 2) 경상남도는 일강우량 (경보)41.9% > 58.1%(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55.6% > 44.4%(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66.2% > 33.8%(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경상북도는 일강우량 (경보)39.1% > 60.9%(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46.9% > 53.1%(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35.6% > 64.4%(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전라남도는 일강우량 (경보)25.6% > 74.4%(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28.2% > 71.8%(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58.9% > 41.1%(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전라북도는 일강우량 (경보)17.1% > 82.9%(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34.3% > 65.7%(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71.7% > 28.3%(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3) 충청남도는 일강우량 (경보)22.6% > 77.4%(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35.5% > 64.5%(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54.7% > 45.3%(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충청북도는 일강우량 (경보)37.8% > 62.2%(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51.2% > 48.8%(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65.1% > 34.9%(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경기도는 일강우량 (경보)54.3% > 45.7%(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65.7% > 34.3%(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88.6% > 11.4%(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강원도는 일강우량 (경보)30.3% > 69.7%(주의보 및 무예보), 최대시우량 (경보)28.7% > 71.3%(주의보 및 무예보), 연속강우량 (경보)43.3% > 56.7%(주의보 및 무예보)의 예측도를 보였다. 4. 새로운 산사태 예보 기준우량 설정 및 제시 1) 전국의 기준우량 설정 결과 일강우량은 90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의 경우 24mm이상을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53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3일 누적강우량은 133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189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20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261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296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2) 경상남도는 일강우량은 9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의 경우 28mm이상을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70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3일 누적강우량은 12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211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24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275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349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3) 경상북도는 일강우량은 123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의 경우 26mm이상을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63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3일 누적강우량은 145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18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193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210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256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4) 전라남도는 일강우량은 25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의 경우 7mm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나타나지 않았고 3일 누적강우량은 59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13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154mm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180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243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5) 전라북도는 일강우량은 6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의 경우 22mm이상을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23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3일 누적강우량은 8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169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177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185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23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6) 충청남도는 일강우량은 36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의 경우 10mm이상을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31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3일 누적강우량은 76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152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17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24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336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7) 충청북도는 95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의 경우 27mm이상을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56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3일 누적강우량은 157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19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229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27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32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8) 경기도는 9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의 경우 44mm이상을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62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3일 누적강우량은 145mm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234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24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260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52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9) 강원도는 일강우량은 123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최대시우량은 26mm이상을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연속시우량은 86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고 3일 누적강우량은 138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7일 누적강우량은 219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10일 누적강우량은 227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로 분석되었다. 14일 누적강우량은 269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고 20일 누적강우량은 462mm이상에서 산사태 경보 기준우량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기상학자들은 앞으로 기상변화로 인한 ...

학위논문 정보

저자 강원석
학위수여기관 慶尙大學校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山林資源學科
발행연도 2013
총페이지 xiv, 118장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232710&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