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예술 공연장 전문화 방안 연구
Possible ways to specialize performance venue of Korean traditional arts 원문보기


정재왈 (고려대학교 대학원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문화콘텐츠전공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문요약 한국 전통예술 공연장 전문화 방안 연구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공연예술계에서는 극장이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하지만 요즘엔 그런 말은 거의 들리지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2011년 현재 대학로 일대 소극장 수가 1백50개가 넘고, 전국적으로 8백68개 공연시설의 보유 공연장 수가 1천93개에 이른다. 2000년대 이후 급격히 불어난 결과이다. 공연예술 가운데 전통예술 분야라고 예외는 아니다. ‘국립’이라는 문패를 단 국악원이 서울의 국립국악원을 비롯해 국립민속국악원(전북 남원)·국립남도국악원(전남 진도)·국립부산국악원(부산) 등 네 곳이나 된다. ‘한국문화의집(KOUS)’ 같은 역량 있는 공공 공연장도 많이 생겨 전통예술계에서도 공연장 가뭄은 옛말이 됐다. 공연예술이 공연장을 중심으로 유통되는 ‘문화산업(culture industry)’이라면, 그 발전의 밑바탕이 공연장이어야 함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공연장의 개수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양도 무시할 수 없지만, 내용 즉 공연장의 질이 더 중요하다. 이 ‘공연장의 질’을 결정하는 데는 각 개별 공연장이 공연예술의 장르적인 특성에 맞게 잘 설계돼 있는지 여부도 포함된다. 이제는 공연장의 양적인 성장 못지않게 질적인 고려를 할 때가 됐다. 특히 서양 예술 양식과 전혀 다른 토양에서 나서 발전해온 우리 전통예술 입장에서, 이제 이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이다. 이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을 안고 출발했다. 우리의 전통예술은 개별 특성에 맞는 공연장에서 공연할 때 십분 제 멋을 발휘할 수 있으며, 그게 근본적으로 한국의 문화예술 발전을 도모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무조건 서양식 극장을 따르기 보다는 우리 전통예술의 원리를 수용한 한국식 전통극장에서 공연하는 게 좀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말이다. 그래서 이 논문은 우선 한국 전통극장의 양상을 살피는 것으로부터 출발했다.(제Ⅱ장) 다행히 최근 이 분야에 관심을 보인 몇몇 선행 연구 덕분에 ‘비록 유형의 물리적인 실체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한국에도 나름대로의 극장 전통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것은 한국 극장 역사의 시발점이 1900년대 초 서양식 프로시니엄 무대의 등장 이후라는 연구자의 고정관념을 깼다. 우리의 극장문화를 한국인의 시각에서 주체적으로 바라봐야 할 때가 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오늘날 공연하고 있는 전통예술의 설자리가 어디여야 하는 지가 좀 분명해졌다. 한 세기 전, 급격하게 닥치던 서양 문물의 밀물 속에서 이것저것 따져볼 겨를도 없이 우리의 전통예술은 서양식 프로시니엄 무대에 적응했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 상당한 발전을 거듭한 것은 맞지만, 이제 이 ‘당연함’에 대한 반성과 숙고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 또한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그 방안을 찾기 전, 오늘날 전통예술이 공연예술 시장 전체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도 알 필요가 있었다.(제Ⅲ장) 전통예술 시장의 규모와 현황, 전통예술 공연장의 실태 등이 이 부분에 담겼다. 여기에서 통계적인 수치를 많이 제시한 것은 이 논문이 서 있는 입장에 기인한다. 이 논문은 ‘오늘’의 관점에서 공연예술을 바라보고, 거기에서 해법을 찾는 ‘응용연구’를 지향한다. ‘과거에 이랬다’보다는 ‘오늘 이런 것’에 무게를 두어, 관객과의 거리감을 좁혀보고자 했다. 그래서 ‘실태 파악’이 중요했던 것이다. 이 논문의 주요 부분 중 하나인 ‘전통예술의 무대 미학적 특성’은 판소리·창극·전통무용·국악 등 네 가지 장르로 나누어 살폈다. 각 장르별 전문화 방안 제시에 앞서 연행적인 특성을 먼저 살피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제Ⅳ장) 전통예술 장르를 네 가지로 구분한 것은 전통예술의 일반적 특징인 ‘가(歌)·무(舞)·악(樂)·극(劇)’의 요소를 포괄하고자 한 의도였다. 각 장르별 대표성은 정부가 지정한 ...

주제어

#전통예술 공연장 전문화 

학위논문 정보

저자 정재왈
학위수여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문화콘텐츠전공
지도교수 유영대
발행연도 2013
총페이지 xiii, 225 p.
키워드 전통예술 공연장 전문화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241183&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