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랙크식 자동창고의 화재대응성 증가를 위한 소방시설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ire prevention facilities to increase fire responsiveness of rack-type automatic warehouse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으로 물품을 적재하여 높은 화재하중을 가지는 자동창고의 화재안전을 위하여 적용되는 소방시설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동창고는 일반 창고와 달리 내부에 랙을 설치하여 수직적으로 물품의 적재가 가능한 시설로서 대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가지며 단층이거나 2층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화재하중을 가진다. 2)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적용은 층수와 ...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으로 물품을 적재하여 높은 화재하중을 가지는 자동창고의 화재안전을 위하여 적용되는 소방시설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동창고는 일반 창고와 달리 내부에 랙을 설치하여 수직적으로 물품의 적재가 가능한 시설로서 대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가지며 단층이거나 2층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화재하중을 가진다. 2)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적용은 층수와 연면적을 기준으로 적용하게 되므로 자동창고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 있어서는 대상물의 특성에 따른 소방시설의 적용이 어렵게 된다. 3) 소방시설의 적용에 있어서 단순히 연면적과 층수로 적용하기 보다는 내부 가연물의 특성, 화재하중의 크기, 소화난이도 등을 반영하여 소방시설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랙크식 자동창고의 경우 랙 부분의 단수와 높이에 대한 규정을 정하여 일정높이 이상의 랙이 설치되었거나 일정크기 이상의 화재하중이 존재할 경우 성능위주 소방설계를 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4) 자동창고는 물류의 이동 때문에 수동적 방화기능의 역할을 하는 방화구획이 면제가 되므로 이에 대한 대체시설로 수막설비나 방화스크린등을 설치하도록 하여야 하며 화재발생시 천정에 축연된 연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연설비가 설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건축관련 법규와 소방관련 법규가 함께 보완해 나가야 할 사항이다. 5)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높이를 일률적으로 정하기보다는 상부 랙에 적재된 물품에 의해 살수장애가 발생하여 하부 랙에 살수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랙 1단마다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 해야 한다. 6) 화재하중을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표준화 하여 자동창고 같은 화재하중이 큰 특정대상물은 화재하중을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하중에 적합한 소방시설이 적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실제 설계되고 시공되는 자동창고의 사례를 중심으로 법규적 사항과 기술적 사항을 분석한 연구이므로 향후 실제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방화공학적인 접근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으로 물품을 적재하여 높은 화재하중을 가지는 자동창고의 화재안전을 위하여 적용되는 소방시설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동창고는 일반 창고와 달리 내부에 랙을 설치하여 수직적으로 물품의 적재가 가능한 시설로서 대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가지며 단층이거나 2층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화재하중을 가진다. 2)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적용은 층수와 연면적을 기준으로 적용하게 되므로 자동창고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 있어서는 대상물의 특성에 따른 소방시설의 적용이 어렵게 된다. 3) 소방시설의 적용에 있어서 단순히 연면적과 층수로 적용하기 보다는 내부 가연물의 특성, 화재하중의 크기, 소화난이도 등을 반영하여 소방시설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랙크식 자동창고의 경우 랙 부분의 단수와 높이에 대한 규정을 정하여 일정높이 이상의 랙이 설치되었거나 일정크기 이상의 화재하중이 존재할 경우 성능위주 소방설계를 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4) 자동창고는 물류의 이동 때문에 수동적 방화기능의 역할을 하는 방화구획이 면제가 되므로 이에 대한 대체시설로 수막설비나 방화스크린등을 설치하도록 하여야 하며 화재발생시 천정에 축연된 연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연설비가 설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건축관련 법규와 소방관련 법규가 함께 보완해 나가야 할 사항이다. 5)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높이를 일률적으로 정하기보다는 상부 랙에 적재된 물품에 의해 살수장애가 발생하여 하부 랙에 살수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랙 1단마다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 해야 한다. 6) 화재하중을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표준화 하여 자동창고 같은 화재하중이 큰 특정대상물은 화재하중을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하중에 적합한 소방시설이 적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실제 설계되고 시공되는 자동창고의 사례를 중심으로 법규적 사항과 기술적 사항을 분석한 연구이므로 향후 실제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방화공학적인 접근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In this study, the fire prevention facilities applied for fire safety of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with high fire load from stored products were investigated, and improving methods were sugges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unlike storages in ...
In this study, the fire prevention facilities applied for fire safety of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with high fire load from stored products were investigated, and improving methods were sugges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unlike storages in general, is a facility with a rack installed inside to allow vertical loading of products that have structurally larger characteristics and have extremely high fire load, despite one or two-story structure. 2) Since fire prevention facilities for specific target for fire-fighting is applied based on the number of floors and total floor area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Safety Control of Fire-Fighting Systems Act, application of fire facilit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arget subjects becomes difficult under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3) In application of fire prevention facilities, characteristics of internal combustibles, size of fire load, and difficulty of fire-fighting should be reflected instead of simply using total floor area and number of floors. In case of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the number of layers and height of the rack must be regulated so that performance-based fire-fighting design can be applied when a rack above a certain height is installed or a fire load larger than regular size exists. 4) For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fire separation which has the role of manual fire protection is exempted due to movement of logistics. Water curtain systems or fire protection screens should be installed as an alternative facility, and a smoke exhaustion facility must be installed to discharge smoke gathered at the ceiling during a fire. These issues are to be supplemented together in laws related to construction and laws related to fire-fighting. 5) Instead of having uniform installation height for all sprinkler heads, sprinkler heads should be installed for each layer of rack because sprinkling failure at the bottom rack can cause sprinkling errors of products loaded at the top rack. 6) Data for computation of fire load must be collected and standardized. Specific targets with large fire load such as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should have fire load computed and fire-fighting facility appropriate for the computed fire load applied. Lastl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study analyzed legal and technological matters of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cases actu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uture studies on fire protection engineering approach through actual experiments and simulations are deemed necessary.
In this study, the fire prevention facilities applied for fire safety of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with high fire load from stored products were investigated, and improving methods were sugges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unlike storages in general, is a facility with a rack installed inside to allow vertical loading of products that have structurally larger characteristics and have extremely high fire load, despite one or two-story structure. 2) Since fire prevention facilities for specific target for fire-fighting is applied based on the number of floors and total floor area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Safety Control of Fire-Fighting Systems Act, application of fire facilit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arget subjects becomes difficult under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3) In application of fire prevention facilities, characteristics of internal combustibles, size of fire load, and difficulty of fire-fighting should be reflected instead of simply using total floor area and number of floors. In case of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the number of layers and height of the rack must be regulated so that performance-based fire-fighting design can be applied when a rack above a certain height is installed or a fire load larger than regular size exists. 4) For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fire separation which has the role of manual fire protection is exempted due to movement of logistics. Water curtain systems or fire protection screens should be installed as an alternative facility, and a smoke exhaustion facility must be installed to discharge smoke gathered at the ceiling during a fire. These issues are to be supplemented together in laws related to construction and laws related to fire-fighting. 5) Instead of having uniform installation height for all sprinkler heads, sprinkler heads should be installed for each layer of rack because sprinkling failure at the bottom rack can cause sprinkling errors of products loaded at the top rack. 6) Data for computation of fire load must be collected and standardized. Specific targets with large fire load such as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should have fire load computed and fire-fighting facility appropriate for the computed fire load applied. Lastl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study analyzed legal and technological matters of rack-type automatic warehouse cases actu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uture studies on fire protection engineering approach through actual experiments and simulations are deemed necessa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