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y in relation with Nuri curriculum in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me for young children on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교육과학기술부, 2012a)을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하여,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이 어릴 때부터 생활 속에서 녹색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아녹색성장 교육 프로그램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 소재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4명으로 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이다. 연구에 활용된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학기술부(2012a)가 발행한 ‘유치원 운영지원을 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프로그램’(지옥정, 이희경, 장정애, 오창길, 2012) 중에서 누리과정(2013)의 영역별 요소 및 생활주제를 바탕으로 통합 구성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 56개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환경보전지식 검사, 자연환경감수성 검사, 환경보전태도 검사이다.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은 윤기영과 조경희(1993), 윤애희와 박정민(1998)의 연구를 토대로 한태현(2001)이 제작한 ‘환경보전지식’ 검사 도구를, 유아의 자연환경감수성은 한은주(2006)의 척도를 유아에게 적합하도록 부분적으로 선정‧보완하여 재구성 한 장정애(2011)의 ‘자연환경감수성’ 검사 도구를, 유아의 환경보전태도는 유혜숙(1999)의 연구를 참고하여 김세영(2002)이 제작한 ‘환경보전태도’ 교사용 관찰지를 홍지명(2006)이 수정 보완한 ‘환경보전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은 12주 동안 실험집단에서 학급담임에 의해 누리과정에 통합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비교집단에서는 학급담임에 의해 기존의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
본 연구는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교육과학기술부, 2012a)을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하여,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이 어릴 때부터 생활 속에서 녹색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아녹색성장 교육 프로그램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 소재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4명으로 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이다. 연구에 활용된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학기술부(2012a)가 발행한 ‘유치원 운영지원을 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프로그램’(지옥정, 이희경, 장정애, 오창길, 2012) 중에서 누리과정(2013)의 영역별 요소 및 생활주제를 바탕으로 통합 구성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 56개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환경보전지식 검사, 자연환경감수성 검사, 환경보전태도 검사이다.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은 윤기영과 조경희(1993), 윤애희와 박정민(1998)의 연구를 토대로 한태현(2001)이 제작한 ‘환경보전지식’ 검사 도구를, 유아의 자연환경감수성은 한은주(2006)의 척도를 유아에게 적합하도록 부분적으로 선정‧보완하여 재구성 한 장정애(2011)의 ‘자연환경감수성’ 검사 도구를, 유아의 환경보전태도는 유혜숙(1999)의 연구를 참고하여 김세영(2002)이 제작한 ‘환경보전태도’ 교사용 관찰지를 홍지명(2006)이 수정 보완한 ‘환경보전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은 12주 동안 실험집단에서 학급담임에 의해 누리과정에 통합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비교집단에서는 학급담임에 의해 기존의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이 비교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환경보전지식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즉,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환경보전지식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둘째,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자연환경감수성 점수가 높았으며, 자연환경감수성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즉,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자연환경감수성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셋째,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환경보전태도 점수가 높았으며, 환경보전태도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즉,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환경보전태도가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을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하여 유아의 녹색생활이 일과 속에 실천되어야 한다. 둘째, 녹색성장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녹색성장교육의 기회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은 유아교육기관뿐만 아니라, 가정, 지역사회가 함께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생활이 실천될 수 있도록 공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교육과학기술부, 2012a)을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하여,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이 어릴 때부터 생활 속에서 녹색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아녹색성장 교육 프로그램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 소재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4명으로 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이다. 연구에 활용된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학기술부(2012a)가 발행한 ‘유치원 운영지원을 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프로그램’(지옥정, 이희경, 장정애, 오창길, 2012) 중에서 누리과정(2013)의 영역별 요소 및 생활주제를 바탕으로 통합 구성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 56개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환경보전지식 검사, 자연환경감수성 검사, 환경보전태도 검사이다.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은 윤기영과 조경희(1993), 윤애희와 박정민(1998)의 연구를 토대로 한태현(2001)이 제작한 ‘환경보전지식’ 검사 도구를, 유아의 자연환경감수성은 한은주(2006)의 척도를 유아에게 적합하도록 부분적으로 선정‧보완하여 재구성 한 장정애(2011)의 ‘자연환경감수성’ 검사 도구를, 유아의 환경보전태도는 유혜숙(1999)의 연구를 참고하여 김세영(2002)이 제작한 ‘환경보전태도’ 교사용 관찰지를 홍지명(2006)이 수정 보완한 ‘환경보전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은 12주 동안 실험집단에서 학급담임에 의해 누리과정에 통합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비교집단에서는 학급담임에 의해 기존의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이 비교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환경보전지식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즉,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환경보전지식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둘째,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자연환경감수성 점수가 높았으며, 자연환경감수성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즉,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자연환경감수성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셋째,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환경보전태도 점수가 높았으며, 환경보전태도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즉,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환경보전태도가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을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하여 유아의 녹색생활이 일과 속에 실천되어야 한다. 둘째, 녹색성장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녹색성장교육의 기회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유아녹색성장 프로그램은 유아교육기관뿐만 아니라, 가정, 지역사회가 함께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생활이 실천될 수 있도록 공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aims at seeking ways to support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Growth’ for children. In order for children to practice green life from their infancy and studying effects of their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
This research aims at seeking ways to support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Growth’ for children. In order for children to practice green life from their infancy and studying effects of their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five-four children of five years of age attending the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Incheon, Twenty-seven were classif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Twenty-seven were in the comparative group. Fifty-six programs in green growth excerpted from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for children to help operation of Kindergartens’ (Ji Ok Jeong, Lee Hee Gyeong, Jang Jeong Ae and Oh Chang Gil, 2012)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as used. On the other hand, for the knowledge of children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scale developed by Han Tae Hyeon(2001) on the basis of research by Yun Ki Yeong, Jo Gyeong Hee(1993), Yun Hee Ae and Park Jeong Min(1998) was used. For the receptivity of children to natural environment, scale of ‘receptivity to environment’ modified for the children by Jang Jeong Ae(2011), partially selecting and supplementing the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Han Eun Ju(2006) was used. For the attitudes of children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cale of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Hong Ji Myeong(2006). modified an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observation paper on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developed by Kim Se Yeong(2002)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Yu Hye Suk(1999) was used.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ive days a week, for ten-six weeks by class teachers, as part of the basic curriculum of kindergartens. For experimental group,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was integrated and applied to the basic educational curriculum, whereas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basic curriculum was operated as usual.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e t-test and the analysis of convariance(ANCOV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17.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demonstrated higher score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knowledg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cond, the childr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higher score than those children from the comparative group in recep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ird,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demonstrated higher score than those children of the comparative group in attitudes in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cates that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for children, enhances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receptivity to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ositive changes of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is then advisable to integrate and apply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to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s from early childhood.
This research aims at seeking ways to support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Growth’ for children. In order for children to practice green life from their infancy and studying effects of their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five-four children of five years of age attending the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Incheon, Twenty-seven were classif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Twenty-seven were in the comparative group. Fifty-six programs in green growth excerpted from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for children to help operation of Kindergartens’ (Ji Ok Jeong, Lee Hee Gyeong, Jang Jeong Ae and Oh Chang Gil, 2012)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as used. On the other hand, for the knowledge of children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scale developed by Han Tae Hyeon(2001) on the basis of research by Yun Ki Yeong, Jo Gyeong Hee(1993), Yun Hee Ae and Park Jeong Min(1998) was used. For the receptivity of children to natural environment, scale of ‘receptivity to environment’ modified for the children by Jang Jeong Ae(2011), partially selecting and supplementing the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Han Eun Ju(2006) was used. For the attitudes of children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cale of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Hong Ji Myeong(2006). modified an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observation paper on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developed by Kim Se Yeong(2002)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Yu Hye Suk(1999) was used.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ive days a week, for ten-six weeks by class teachers, as part of the basic curriculum of kindergartens. For experimental group,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was integrated and applied to the basic educational curriculum, whereas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basic curriculum was operated as usual.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e t-test and the analysis of convariance(ANCOV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17.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demonstrated higher score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knowledg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cond, the childr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higher score than those children from the comparative group in recep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ird,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demonstrated higher score than those children of the comparative group in attitudes in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cates that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for children, enhances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 conservation, the receptivity to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ositive changes of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is then advisable to integrate and apply educational activity in green growth to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s from early childhoo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