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문화재는 대부분 야외에 있어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에 의한 손상의 저감과 장기적인 보존을 위해 보호각이 필요하다. 석조문화재 보호각의 형식과 기능에 관한 고찰을 위해 우리나라 석조문화재 보호각의 현황과 보호각에 대하여 유형별 사례를 살펴보았다. 2013년도 문화재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국가지정 석조문화재는 총 565건이 있으며, 그 중에서 110건의 문화재에 보호각이 건립되었다. 석조문화재의 훼손은 크게 자연적 손상과 인위적 손상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연적 훼손은 빗물, 대기오염, 수분동결, 지반습기침투, 염석출, 생물서식, 구조불안정, 암석의 물성 그리고 우수의 작용을 들 수 있으며, 인위적 훼손은 대부분 복합적이다. 이러한 훼손을 저감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이상적인 보호각의 건립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각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앞으로 세워질 바람직한 보호각의 형태나 기능에 대해 검토하였다. 석조문화재의 보호각은 문화재를 자연적 및 인위적 훼손으로 부터 방어하기 위해 만든 건조물이며 보호각의 건립목적은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문화재 보존에 있다. 현존하는 보호각은 석불과 ...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야외에 있어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에 의한 손상의 저감과 장기적인 보존을 위해 보호각이 필요하다. 석조문화재 보호각의 형식과 기능에 관한 고찰을 위해 우리나라 석조문화재 보호각의 현황과 보호각에 대하여 유형별 사례를 살펴보았다. 2013년도 문화재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국가지정 석조문화재는 총 565건이 있으며, 그 중에서 110건의 문화재에 보호각이 건립되었다. 석조문화재의 훼손은 크게 자연적 손상과 인위적 손상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연적 훼손은 빗물, 대기오염, 수분동결, 지반습기침투, 염석출, 생물서식, 구조불안정, 암석의 물성 그리고 우수의 작용을 들 수 있으며, 인위적 훼손은 대부분 복합적이다. 이러한 훼손을 저감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이상적인 보호각의 건립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각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앞으로 세워질 바람직한 보호각의 형태나 기능에 대해 검토하였다. 석조문화재의 보호각은 문화재를 자연적 및 인위적 훼손으로 부터 방어하기 위해 만든 건조물이며 보호각의 건립목적은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문화재 보존에 있다. 현존하는 보호각은 석불과 마애불 같은 불상을 중심으로 건립되었고 이 중에서도 손상정도가 심한 유물이 대상이다. 석조문화재 유형별 종류와 보호각 현황을 살펴보면, 형태와 형식에 따라 전통건축식과 현대식 보호각으로 크게 나뉘며, 전통건축식에는 법당형과 전각형으로 세분된다. 현대식은 골굴암마애여래좌상식과 원각사지석탑식이 대표적이다. 법당형은 창녕 관룡사 석조여래좌상과 같이 예배대상을 법당에 봉안하고 종교적 예배가 가능하도록 설립된 형태이며 현재의 보호각 역할을 겸한 종교적 기능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이다. 전각형은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와 같이 기둥만 조성되거나 창살형 벽체로 구성된 경우가 개방형이며, 밀폐형 보호각은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이 있다. 현대식은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개방형에는 골굴암마애여래좌상, 단석산 신선사마애불상군, 그리고 황상동 마애불상이 있다. 원각사지 석탑은 현대식 완전 밀폐형이다. 보호각의 형태와 기능을 개방형 보호각과 반개방형 보호각 그리고 폐쇄형 보호각으로 나누어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개방형 보호각은 간단한 지붕구조만의 설치로 반노출형인 경우에 태양에 일사를 막을 수 있고 눈, 비, 먼지, 이슬에 직접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연환경에 대해 일부 보호가 가능하고 외부환경변화에 대비하기가 쉬우며 운영이 안정적이다. 장비 설치 및 이용과 관리유지에 경제적 장점이 많다. 전통건축식 보호각의 장점은 석조문화재 풍화의 원인인 수분, 특히 빗물차단, 이끼류의 발생을 감소하고 태양광의 감소로 지의류 번식이나 가능성이 감소된다는 점이 있으나, 단점으로는 주변의 통기문제와 먼지유입이 쉽다는 점이 있다. 폐쇄형의 장점은 빗물, 태양광, 바람 등 주변 환경에서 풍화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통풍이 잘되지 않아 내부의 습도가 높고 수분유입이 쉽다는 것이다. 보호각 건립에는 보호각의 형식과 기능에 관한 고찰을 통해 미기상환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야 하고 종합적 분석결과를 기준으로 보호각이 설계되어야 한다. 보호각을 조성하거나 보수할 때는 해당문화재의 훼손요인이 우선 고려되어야 하며, 보호각의 규모, 위치, 형태 등을 검토해야 한다. 보호각의 형태는 문화재를 보존할 수 있는 보존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이 반영되어야 하고, 다양한 설계를 통해 보호각의 심미적인 측면도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해 적합한 형식을 선택하되 보존은 물론 자연채광과 예배공간도 배려하고 디자인과 영구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한편 보호각의 건립에는 문화재의 크기와 형태를 훼손시키지 않도록 미리 지반조사, 배수현상, 지하수 현황 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 배수로 우회설치, 지반보강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경우 지반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재에 적합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보호각 설계와 설립이 필요하다.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야외에 있어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에 의한 손상의 저감과 장기적인 보존을 위해 보호각이 필요하다. 석조문화재 보호각의 형식과 기능에 관한 고찰을 위해 우리나라 석조문화재 보호각의 현황과 보호각에 대하여 유형별 사례를 살펴보았다. 2013년도 문화재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국가지정 석조문화재는 총 565건이 있으며, 그 중에서 110건의 문화재에 보호각이 건립되었다. 석조문화재의 훼손은 크게 자연적 손상과 인위적 손상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연적 훼손은 빗물, 대기오염, 수분동결, 지반습기침투, 염석출, 생물서식, 구조불안정, 암석의 물성 그리고 우수의 작용을 들 수 있으며, 인위적 훼손은 대부분 복합적이다. 이러한 훼손을 저감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이상적인 보호각의 건립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각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앞으로 세워질 바람직한 보호각의 형태나 기능에 대해 검토하였다. 석조문화재의 보호각은 문화재를 자연적 및 인위적 훼손으로 부터 방어하기 위해 만든 건조물이며 보호각의 건립목적은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문화재 보존에 있다. 현존하는 보호각은 석불과 마애불 같은 불상을 중심으로 건립되었고 이 중에서도 손상정도가 심한 유물이 대상이다. 석조문화재 유형별 종류와 보호각 현황을 살펴보면, 형태와 형식에 따라 전통건축식과 현대식 보호각으로 크게 나뉘며, 전통건축식에는 법당형과 전각형으로 세분된다. 현대식은 골굴암마애여래좌상식과 원각사지석탑식이 대표적이다. 법당형은 창녕 관룡사 석조여래좌상과 같이 예배대상을 법당에 봉안하고 종교적 예배가 가능하도록 설립된 형태이며 현재의 보호각 역할을 겸한 종교적 기능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이다. 전각형은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와 같이 기둥만 조성되거나 창살형 벽체로 구성된 경우가 개방형이며, 밀폐형 보호각은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이 있다. 현대식은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개방형에는 골굴암마애여래좌상, 단석산 신선사마애불상군, 그리고 황상동 마애불상이 있다. 원각사지 석탑은 현대식 완전 밀폐형이다. 보호각의 형태와 기능을 개방형 보호각과 반개방형 보호각 그리고 폐쇄형 보호각으로 나누어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개방형 보호각은 간단한 지붕구조만의 설치로 반노출형인 경우에 태양에 일사를 막을 수 있고 눈, 비, 먼지, 이슬에 직접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연환경에 대해 일부 보호가 가능하고 외부환경변화에 대비하기가 쉬우며 운영이 안정적이다. 장비 설치 및 이용과 관리유지에 경제적 장점이 많다. 전통건축식 보호각의 장점은 석조문화재 풍화의 원인인 수분, 특히 빗물차단, 이끼류의 발생을 감소하고 태양광의 감소로 지의류 번식이나 가능성이 감소된다는 점이 있으나, 단점으로는 주변의 통기문제와 먼지유입이 쉽다는 점이 있다. 폐쇄형의 장점은 빗물, 태양광, 바람 등 주변 환경에서 풍화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통풍이 잘되지 않아 내부의 습도가 높고 수분유입이 쉽다는 것이다. 보호각 건립에는 보호각의 형식과 기능에 관한 고찰을 통해 미기상환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야 하고 종합적 분석결과를 기준으로 보호각이 설계되어야 한다. 보호각을 조성하거나 보수할 때는 해당문화재의 훼손요인이 우선 고려되어야 하며, 보호각의 규모, 위치, 형태 등을 검토해야 한다. 보호각의 형태는 문화재를 보존할 수 있는 보존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이 반영되어야 하고, 다양한 설계를 통해 보호각의 심미적인 측면도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해 적합한 형식을 선택하되 보존은 물론 자연채광과 예배공간도 배려하고 디자인과 영구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한편 보호각의 건립에는 문화재의 크기와 형태를 훼손시키지 않도록 미리 지반조사, 배수현상, 지하수 현황 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 배수로 우회설치, 지반보강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경우 지반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재에 적합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보호각 설계와 설립이 필요하다.
Stone culture heritages need protective shelter to be preserved and protected because most of them are built outside. When condering the function and form for the stone culture heritage structure, I looked at definitions and functions of current protective shelters as an example and pattern for the ...
Stone culture heritages need protective shelter to be preserved and protected because most of them are built outside. When condering the function and form for the stone culture heritage structure, I looked at definitions and functions of current protective shelters as an example and pattern for the stone culture heri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the present condition there are 565 items of the stone culture heritages and 110 with protective shelters. Stone culture heritages is divided the damages from nature or people. Natural damages are rainwater, air pollution, water freezing, permeation of base moisture, salt deposition, creature inhabitation, structural instability, properties of rock ect. Damages caused by people are mostly compositive. By researching function and form for the stone culture heritage shelters, I have started to research a desirable shelter design that can be built in the future. Simply a shelter is a building to protect from natural or people induced damage the shelter's main goals would be to preserve, protect and manage the stone culture heritages. Existing shelters were built focused on buddhist images and Buddha image with the most damaged first. To find a good modle for a shelter, I reworked the stone shelter, patterns and forms and the mentioned example. I separated the traditional and mordern methods for building the cultural heritage shelter. The former are divided representative Bupdangheong into Jeongakheong , the latter divided golgularmyeraejasangsik into wongaksagisektapsik. Bupdangheong, Changneong Gwanrongsa Sekjoyeraejasan is not only role of protective shelter but also the role of religious function. Jeongakheong can be divided an open-ended shelter with a closed shelter. The former is Bonarmsa jijeongdaesa jekjotapbe with made columns and grilled wall the latter is haenam Daeheongsa Bukmiregar maaeyeraejasong. Mordern methods are divided open-ended shelter with a closed shelter. The former is Golgularm Yeraejasan Danseksan Sinsunsam maebulsanggun and hwangsangdong maebulsang. Wongaksagisektap is completely mordern method with a closed shelter. I considered the advantages of traditional methods in the analysis of the pros and cons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 shelters, Using traditional methods prevents rainwater, water and decreases the mount of moss. The disadvantage of using traditional methods is an accumulation of dust around the shelter. The merits of a closed shelter the elimination of the weathering factor ( rainwater, wind, sun'srays, and so forth). On the other hand, the poor weather of the closed shelter tends to high humidity within the structure. Before we build the protective shelter we must monitor themicroclimate environment and design it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analysis. As we make or repair the shelter, damage causing environmental factors must first be taken in ton account, followed by the size, location and shape of the structure. As we make or repair the shelter, damage causing environment factors must first be taken into account, follow by the size, location and shape of the structure. The form of the shelter should take into account function and durability as well as variety of design and aesthetics. It is essentional to follow architectural form of traditional style but it is also important to vary the appearances and forms. In order to make the shelter more durable, a survey of the underground, the water drainage route and the surrounding ground properties must be conducted. The shelter must be planned and built to addr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tone culture heritages need protective shelter to be preserved and protected because most of them are built outside. When condering the function and form for the stone culture heritage structure, I looked at definitions and functions of current protective shelters as an example and pattern for the stone culture heri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the present condition there are 565 items of the stone culture heritages and 110 with protective shelters. Stone culture heritages is divided the damages from nature or people. Natural damages are rainwater, air pollution, water freezing, permeation of base moisture, salt deposition, creature inhabitation, structural instability, properties of rock ect. Damages caused by people are mostly compositive. By researching function and form for the stone culture heritage shelters, I have started to research a desirable shelter design that can be built in the future. Simply a shelter is a building to protect from natural or people induced damage the shelter's main goals would be to preserve, protect and manage the stone culture heritages. Existing shelters were built focused on buddhist images and Buddha image with the most damaged first. To find a good modle for a shelter, I reworked the stone shelter, patterns and forms and the mentioned example. I separated the traditional and mordern methods for building the cultural heritage shelter. The former are divided representative Bupdangheong into Jeongakheong , the latter divided golgularmyeraejasangsik into wongaksagisektapsik. Bupdangheong, Changneong Gwanrongsa Sekjoyeraejasan is not only role of protective shelter but also the role of religious function. Jeongakheong can be divided an open-ended shelter with a closed shelter. The former is Bonarmsa jijeongdaesa jekjotapbe with made columns and grilled wall the latter is haenam Daeheongsa Bukmiregar maaeyeraejasong. Mordern methods are divided open-ended shelter with a closed shelter. The former is Golgularm Yeraejasan Danseksan Sinsunsam maebulsanggun and hwangsangdong maebulsang. Wongaksagisektap is completely mordern method with a closed shelter. I considered the advantages of traditional methods in the analysis of the pros and cons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 shelters, Using traditional methods prevents rainwater, water and decreases the mount of moss. The disadvantage of using traditional methods is an accumulation of dust around the shelter. The merits of a closed shelter the elimination of the weathering factor ( rainwater, wind, sun'srays, and so forth). On the other hand, the poor weather of the closed shelter tends to high humidity within the structure. Before we build the protective shelter we must monitor themicroclimate environment and design it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analysis. As we make or repair the shelter, damage causing environmental factors must first be taken in ton account, followed by the size, location and shape of the structure. As we make or repair the shelter, damage causing environment factors must first be taken into account, follow by the size, location and shape of the structure. The form of the shelter should take into account function and durability as well as variety of design and aesthetics. It is essentional to follow architectural form of traditional style but it is also important to vary the appearances and forms. In order to make the shelter more durable, a survey of the underground, the water drainage route and the surrounding ground properties must be conducted. The shelter must be planned and built to address the results of the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